$\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지역 석탑의 출현과 특성
Beginning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in Jeonnam Region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3 no.1, 2014년, pp.33 - 50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mativ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in Jeonnam area are known in largely two flows. One is that characteristic of stone pagoda in Jeonnam area of the Unified Silla is shown in eastern Jeonnam and some southern Jeonnam. But it is not shown in surroundings of Yeongsan river. Ano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시대의 불교종파에 무엇이 있나? 고려시대의 불교종파로는 화엄종을 비롯하여 자은(법상), 남산(계율), 조계(선종), 천태, 법성, 열반, 시흥 등 12종가가 있었다. 이 중에서 활약상이 큰것은 조계종, 화엄종, 자은종, 천태종이었는데 특히 전남에서는 조계종이 현 송광사를 근본도장으로 펼친 선불교 중흥을 위한 定慧結社를 일으켰고, 화엄사상을 펼치기 위하여 천태종이 강진 만덕사(현 白蓮寺)를 중심으로 한 백련결사를 일으켜 불교중흥을 꿰했다.
전남지역에 불교의 도입이 늦은 이유는? 이처럼 전남지역에는 고구려와 백제에 불교가 들어오고 난 후로 좀 늦게 도입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영산강유역에 마한이라는 강력하고 문화적으로 주체적인 세력이 자리하고 있었고 백제의 중심 세력권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어서 불교의 도입이 늦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전남지방의 현존 사찰 중에서 영광 불갑사, 나주 불회사는 침류왕 원년 마라난타 창건이라 하나 근거가 희박하다.
전남지역에 불교가 도입된 시기는 언제인가? 언제 전남지역에 불교가 도입되었을까? 백제에 불교가 도입된 침류왕 원년(384년) 이후 불교는 점차 남하하면서 영향력이 증대 되었고, 광주. 전남지역에까지 세력이 다다르게 되었을 것이다. 가설적으로 백제가 마한을 통합(근초고왕 24년, 369년)하고 나서 불교가 유입된 것은 분명하지만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불명하다. 다만 불교도입 초기에 위례성이 수도였던 만큼 당시 상황으로 보아 한반도 아래쪽까지 널리 포교된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수도가 웅진과 사비로 점차 이동하면서 성왕을 비롯한 제왕들의 불교장려책으로 사찰들이 전북지역에 까지 지어지게 되었다. 전북 익산의 미륵사를 비롯한 각종 석탑과 사지가 이를 대변하고 있으나 전남에서는 백제시대의 불교유물이 아직 학계에서 공인될 정도로 확실히 나타나지 않고 있고 통일신라시대의 것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불교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 약 400년 가까이 전남지방에는 백제불교미술의 뚜렷한 잔재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특이한 사항이다. 이처럼 전남지역에는 고구려와 백제에 불교가 들어오고 난 후로 좀 늦게 도입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영산강유역에 마한이라는 강력하고 문화적으로 주체적인 세력이 자리하고 있었고 백제의 중심 세력권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어서 불교의 도입이 늦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ang, In-G(u강인구), Culture of Baekje and Honnam(백제의 문화와 호남), Kwangju Museum, 1982 

  2. Sung, Chun-Gung(성춘경), Why is not there Culture of Baekje in Chonnam?, Keumho Culture(금호문화). 1992 

  3. Sung, Chun-Gung(성춘경), Buddhist Statue of Chonnam, Hakyounmunhwasa(학연문화사), 2006 

  4. Go, Yoo-seob(고유섭), Brief Art History of Chosun Dynasty(조선건축미술사 초고), 1964 

  5. Jeong, Young-Ho(정영호), Beauty of Korea-Stone Stupa(한국의미-석탑), Joongang Daily News(중앙일보사), 1989 

  6. Jeong, Young-Ho(정영호), Stone Stupa, Daeweunsa(대원사), 1989 

  7. Park, Kyung-Sik(박경식), A Study of Stone Art of Silla Dynasty(통일신라 석조미술 연구), Yeakyung Publishing Company (예경출판사), 2002 

  8. Jang, Choong-Sik(장충식), A Study of Silla Stone Stupa(신라석탑연구), Ilgisa(일지사), 1987 

  9. Cheon, Deuk-Youm(천득염), Stone Stupa Of Chonnam 1,2,3(전라남도의 석탑-1,2,3),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문화재연구소), 2006 

  10. Cheon, Deuk-Youm(천득염), A Study of Baekje Style Stupa(백제계석탑연구),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전남대학교출판부),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