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과 영향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Core Competencies among Infection Control Nurses in Kore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1, 2014년, pp.11 - 21  

김경미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최정실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core competencies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re competencies among infection control nurses (ICN). Methods: Infection control nurses from hospital with more than 200 beds comprised the sampl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sample via e-mail. 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국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 실태를 조사하고, 개인적 특성과 병원 조직 특성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국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감염관리간호사를 대상으로 핵심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감염관리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핵심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 결과 감염관리간호사는 석사학위 이상을 가지고 감염관리전문간호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과반수가 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 수준을 파악 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2010; Oh & Yi, 2005). 이에 본 연구는 2012년 미국 감염관리자격시험위원회(Certification Board of Infection Control and Epidemiology, CBIC)에서 제시한 감염관리자격(Certified in Infection Control, CIC)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준으로(Murphy et al., 2012) 국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 실태를 조사하고, 개인적 특성과 병원 조직 특성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국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핵심역량이란 특정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 되는 주요 능력을 규명하는 의사결정도구이며, 성과를 극대화 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및 지적전략을 포함하는 역량을 의미한다(McLagan, 1996). 따라서 이러한 핵심역량은 새로운 지식과 실무능력을 통하여 분야별 전문화를 이룩해 왔으며, 임상현장에서 효과적이며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Sung & Jeong, 2006).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었는가?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염관리경력, 감염관리전문간호사 자격증 유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의 감염관리 경력은 평균 5.
석사과정 개설 이전, 감염관리간호사들은 감염관리업무를 시작하기 위해, 어떤 교육을 받았는가? 또한 개정된 의료법에 따라 임상대학원의 감염관리전공 석사과정이 개설되면서 자격시험을 통하여 보건복지부로부터 전문간호사 자격증을 받은 간호사들이 배출되게 되었다(Yi & Choi, 2011). 석사과정 개설 이전 감염관리교육은 서울의 국립대학병원에서 개최하는 한 달간의 감염관리과정이나,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에서 개최되고 있는 연수과정 등을 통해 재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이렇듯 한국의 감염관리간호사들은 석사과정이 개설되기 전부터 업무를 시작한 경우와 전문과정을 이수한 인력이 혼재하면서 다양한 임상 및 교육배경을 가지고 있어, 실제 감염관리 업무 에서 필수적인 감염관리간호사로서의 역량이 어느 정도 되는 지에 대한 기본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bay, K., Gentile, D. L., & Hagle, M. E. (2009). The relationship of nurses'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o levels of clinical nursing expertise. Applied Nursing Research, 22(1), 48-53. http://dx.doi.org/10.1016/j.apnr.2007.03.005 

  2. Certification Board of Infection Control and Epidemiology, Inc (CBIC). Certification in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candidate handbook, 2012. Available from: http://www.cbic.org/UserFiles/file/2012CandidateHandbook_v1.pdf. Accessed February 22, 2012. 

  3. Chang, Y. H., Cho, Y. S., & Kwak, M. J. (2006). A study of factors related nursing competency in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7-19. 

  4. Corbin, J. (1993). Competenci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The Public-Access Computer Systems Review, 4(6), 5-22. 

  5. Friedman, C., Curchoe, R., Foster, M., Hirji, Z., Krystofiak, S., Lark, R. L., et al. (2008). APIC/CHICA-Canada infection prevention, control, and epidemiology: Professional and practice standard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 385-389. 

  6. Goldrick, B. (2007). The certification board of infection control and epidemiology white paper: The value of certification for infection control professional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5, 150-156. 

  7. Her, S., Kim, K. H., & Oh, H. S. (2012). A study on work condition, stres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 327-338. 

  8. Jeong, J. S., Yoon, S. W., Park, E. S., Kim, K. M., Yoo, S. Y., Jeong I. S., et al. (2006). The present situation of infection control professional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in Koran acute care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11(1), 58-69. 

  9. Kim, K. M., Jeong, J. S., & Park, H. R. (2010). Infection control nurse specialist education in Korea.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8 , 413-415. http://dx.doi.org/10.1016/j.ajic.2009.08.018 

  10. Kim, S. J., Choi, M. S., & Sung, K. W. (2010).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9-39, 

  11. McLagan, P. (1996). Great ideas revisited: Job competency models.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50(1), 60-65. 

  12. Miho, S., Yuichi, I., Hiroyoshi, K., Takashi, O., Junko, K., Hiroe, K., et al. (2009).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Japan.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7 , 136-137. http://dx.doi.org/10.1016/j.ajic.2008.03.005 

  13.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51(8), 73-77. 

  14. Murphy, C. L., & McLaws, M. L. (1999). Credentialing, diversit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foundation for an Australian infection control career path.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7, 240-246. 

  15. Murphy, D. M., Hanchett, M., Olmsted, R. N., Farber, M. R., Lee, T. B., Haas, J. P., et al. (2012). Competency in infection prevention: A conceptual approach to guide current and future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0, 296-303. http://dx.doi.org/10.1016/j.ajic.2012.03.002 

  16. Oh, H. S., & Yi, S. E. (2005). National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nurses and their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0(1), 32-42. 

  17. Park, E. S. (2011). A study for the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 medium and small sized hospitals . Osong: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8. Seto, W. H. (1995). Staff compliance with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pplication of behavioural science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30(Suppl), 107-l15. 

  19. Sung, Y. H., & Jeong, J. H. (2006).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nd comparing different unit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1), 76-93. 

  20. Yi, Y. J., & Cho, K. S. (2011). Survey on the students' evaluation and the administration status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in advanced practice nurs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3), 193-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