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패션쇼에 나타나는 인형과 인형이미지의 내적 의미
The Internal Meanings of Dolls and Dolls' Image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w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2 no.1, 2014년, pp.33 - 42  

유주연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권기영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nal meanings of dolls and dolls' image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w. Dolls are used as sacred object, decoration object, playing object, personified object or cherished object. The expression types of doll image in modern fashion are as follow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대 문화에 나타나는 다양한 인형의 양상과 의미를 토대로 패션쇼에 등장한 인형과 인형 이미지의 연출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패션에서 인형이미지가 가지는 내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패션쇼에서 디자이너는 형태나 이미지를 작가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고 조작할 수 있는 인형의 속성을 이용하여 실제 인형을 비롯한 마네킹을 패션쇼에 등장시키거나 인형 이미지를 차용한 패션 모델을 통한 연출을 하였는데, 패션쇼에서 연출된 인형과 인형이미지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내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인형의 정의와 발달, 용도를 고찰하고 현대문화에서 나타나는 인형과 인형이미지를 살핀 뒤 패션에서 나타나는 인형과 인형이미지의 연출 유형 및 내적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인형은 사람을 본 떠 만든 인간과 가장 흡사한 것이라는 의미로, 마네킹을 비롯한 실제 인형을 도입한 패션쇼 및 패션 화보 연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및 모델의 분장이나 의상에서 인형이미지를 도입한 작품을 통해 나타나는 이미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한 산업의 발달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급속한 산업의 발달은 현대인들에게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는 동시에 정신보다는 물질을 우선시하는 물질만능주의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인간에게서 느낄 수 없는 정을 애완동물이나 인형에게서 찾고, 이들을 인격화하여 돌보는 등 어린 시절의 취미와 성향을 유지하는 키덜트(kidult) 세대가 성장하고 있다.
키덜트(kidult) 세대의 특징은? 급속한 산업의 발달은 현대인들에게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는 동시에 정신보다는 물질을 우선시하는 물질만능주의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인간에게서 느낄 수 없는 정을 애완동물이나 인형에게서 찾고, 이들을 인격화하여 돌보는 등 어린 시절의 취미와 성향을 유지하는 키덜트(kidult) 세대가 성장하고 있다. 특히 인형은 유아나 아동의 단순한 장난감으로 인식되던 것에서 더 나아가 인간을 닮은 친숙한 외모로 인해 감정을 이입하고 교류할 대상으로 여겨지며 현대인들의 아날로그적 감수성을 충족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패션쇼 연출에서 마네킹을 비롯한 인형을 중요한 연출도구로 활용한 예는? 또한 패션 디자이너들은 자신들의 작품에 인형을 소품으로 사용하거나 인형 이미지를 차용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패션쇼 연출에서 마네킹을 비롯한 인형을 중요한 연출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9년 2월에 열린 뉴욕의 패션 위크 기간 중에 개최된 바비 50주년 기념 이벤트는 바비 인형의 옷을 실제 사람의 옷으로 디자인한 컬렉션이다. 이는 인형이 단순히 여아들의 놀이나 오락의 대상이 아닌 하나의 문화주체임을 패션계가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J. E. (1989). Puppet play and doll making. Seoul: Haenglim. 

  2. Cha, J. I. (2007). A study on desire projected in do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 Chan, D. (2008). Young Asian fashion designers. New York, NY: Daab. 

  4. Cho, J. L. (2006). Eroticism appeared in Hans Bellmer's doll se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Cho, J. W. (2005). A study on the farmative aesthetic of the barbie doll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Chrisafis, A. (2008, October 29). Sarkozy voodoo doll to remain on sale. The Guardian. Retrieved February 23, 2011, from http://www.guardian.co.uk 

  7. Evans, C. (2007). Fashion at the edg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8. Foster, H. (2005). Desire, death and beauty (Y. B. Jeun & Modern Art Team, Trans.). Seoul: Art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9. Gongju Folk Drama Museum. (2006). Doll of Korea. Gongju: Gongju Folk Drama Museum. 

  10. Hale, M. B. (1986). Future mannequins: Past and present tense. Retail Attraction, 3-4, 39-43. 

  11. Jeong, S. T. (2002). A study on Chae Man-Sik's after the doll's house. Modern Korean Literature Assocation, 3(2), 8-32. 

  12. Kim, S. Y. (2007). Fashion and the body.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13. Kim, S. Y., & Yang, S. H. (2001). The aspect of mannequins expression with changes of the modern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1), 73-85. 

  14. Kim, W. B. (1998). Modern art of theater of cruelty-between body and power. Seoul: Yekyong. 

  15. Lee, J. H. (1998). 20th century art. Seoul: Hakgojae. 

  16. Lee, J. H., & Kim, Y. I. (2007).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s a playing through a do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88-99. 

  17. Lee, K. M. (2009). A study on OSMU business and design marketing using characters-focusing on cases in Korea and Jap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Y. S. (2004). A study on the evolution and design development of doll's cust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 Martin, R. (1986). Fashion and surrealism. London: Thames and Hudson. 

  20. McDonough, Y. Z. (2003). The barbie chronicles (S. Kim, Trans.). Seoul: Saeum.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21. Oh, J. H. (2009). Study on ego projected through a doll: With my works of painting in th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Korea. 

  22. Park, H. M., & Jung, J. W. (2007). A study of sociocultural meaning in doll.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6(1), 109-129. 

  23. Park, S. Y. (2009, June 8). Japanese dolls praying for love in one place. Asia Ecomomy Daily. Retrieved October 29, 2011, from http://www.asiae.co.kr 

  24. Suh, S. N. (2006). A study on recomposed body images on Hans Beller's doll se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ingik University, Seoul, Korea. 

  25. The show Vogue Korea 13 years. (2009, August). Seoul: Doosan Magazine. 

  26. Wood, G. (2009). Living dolls: A magical history of the quest for mechanical life (J. J. Lee, Trans.). Seoul: EJ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27. Yang, H. J. (2007). The study on the ball joint doll design and doll's clothes applied Hans Bellmer doll series peculiar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8. Yang, J. A. (2003).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doll images: Centered on the exhibition of "Dolls are calling to you"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