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기혼남녀와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문화 비교: 가족의례와 가족가치관을 중심으로
Comparisons of Family Life Culture among Korean Married Families and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Family Rituals and Value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2 no.1, 2014년, pp.75 - 85  

옥선화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그레이스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지애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mily life culture embodies the ways of thinking and behaving among family members in everyday lives. With a noticeable growth of multicultural families since 2000, there has been an inflow of other culture into the existing Korean family life culture. This new phenomenon signals a potential trans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중에서도 한국남성과 베트남여성의 결혼으로 형성된 가족(이하 한-베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문화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한-베 다문화가족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것은 인구학적, 문화적 배경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생활문화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은? 가족생활문화란 가족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사회구성원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이며, 한 사회가 공유하는 상징과 가치 체계를 통해 세대를 통해 계승되는 생활양식이다. 가족생활문화를 통해 우리는 한 사회의 가족생활과 가족가치가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 혹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사회 변화가 두드러지는 시기에, 관습적 성격이 강한 가족의 생활문화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사회 변화가 개인과 가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주요한 방법 중 하나가 된다.
가족생활문화란? 가족생활문화란 가족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사회구성원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이며, 한 사회가 공유하는 상징과 가치 체계를 통해 세대를 통해 계승되는 생활양식이다. 가족생활문화를 통해 우리는 한 사회의 가족생활과 가족가치가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 혹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 다문화가족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다문화가족은 그 정의에서 나타나듯이 한국의 가족생활문화와 다른 생활문화가 공존하는 가족이다. 다문화가족을 통해 다른 문화권의 생활문화가 한국의 가족생활문화와 어떻게 조응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가족생활문화의 실태와 변화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rbieri, M. (2009). Doi Moi and older adults: Intergenerational support under the constraints of reform. In M. Barbieri & D. I. Belanger (Eds.), Reconfiguring families in contemporary Vietnam (pp. 133-168).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 Belanger, D., Oanh, K. T. H., Jianye, L., Thuy, L. T., & Thanh, P. V. (2003). Are sex ratios at birth increasing in Vietnam? Population, 58(2), 231-250. http://dx.doi.org/10.2307/3246604 

  3. Choi, H. J., & Kim, D. S.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ituals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wiv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6), 111-124. 

  4. Han, G. S. (2006). Family life and cultural encounter of foreign wives in rural area.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39(1), 195-243. 

  5. Han, S. H., Kwon, I. S., & Lee, S. Y. (2006). A comparison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ces between generations of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1), 65-74. 

  6. Hong, D. A. G., & Chae, O. H. (2007). The values, communication type and conflict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6(4), 733-744. 

  7. Hwang, G. Y., An, H. W., Ha, S., & Bae, Y. S. (2005). Understanding of Vietnam. Busan: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Press. 

  8. Jang, O. J., & Park, J. Y. (2009). A study on marital adap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Korean husbands. Family and Culture, 21(2), 1-27. 

  9. Jayakody, R., & Huy, V. T. (2008). Social change and marriage in Vietnam: From socialist state to market reform. In R. Jayakody, A. Thorton., & W. Axinn (Eds.), International family change: Ideational perspectives (pp. 199-222). New York,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Ju, Y. A. (2010). Research on the practice of coming-of-age ceremonies as a family event.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4), 1-20. 

  11. Ju, Y. A. (2011). Educational directions for family rites: Female undergraduat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3), 1-22. 

  12. Kang, M. Y., & Jang, I. J. (2009). Mothering experiences of Filipino immigration women in Korea: Through the cultural politics of identity. Journal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28, 73-103. 

  13. Kim, M. J. (2007). The changing face of families in Korean society and Filipina wives in rural areas. Feminism Studies, 72(2), 213-248. 

  14. Kim, S. B. (1967). Returning from Vietnam.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36, 89-101. 

  15. Kim, S. K., Kim, Y. K., Jo, A. J., Kim, H. R., Lee, H. K., Sul, D. H., et al. (2010). A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2009. Policy Paper 2010-06.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6. Kim, Y. H., & Kim, H. M. (2009). Factors affecting the family life's valu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2), 1-21. 

  17. Kim, Y. S., & Park, J. Y. (2010). Experience of accultura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0, 269-297. 

  18. Kong, M. H., & Oh, S. J. (2010). Its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ocial support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Focused on Vietnamese & Filipino woman-Korean man couples in Busan. Family and Culture, 22(2), 95-120. 

  19. Kwon, B. S., & Cha, B. H. (2006). The impact of communication and cultural identity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sian housewives in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8(3), 109-134. 

  20. Lee, A. L. (2010). The case study on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about the family living culture in marriage emigration females: Focused on mothers in a day-care center in Seoul.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4), 299-321. 

  21. Lee, E. J. (2008). Influences of cultural sensitivity, couple communication, and sex-role attitudes on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 husbands of foreign wives: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or them.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4), 45-71. 

  22. Min, H. Y., & Yoo, A. J. (2003). A cross-generational comparison of traditional rituals parenting to childbirth and early childhood.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3), 45-56. 

  23. Ok, S. W., & Chin, M. J. (2011). Generational comparisons of family values and family life culture with respect to family ritual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4), 67-76. 

  24. Park, J. H. (2001).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tudy of generations.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4(2), 47-78. 

  25. Park, J. H. (2008, October). Generation succession and sociocultural change. Paper presented at the 60th Anniversary Special Symposium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Seoul, Korea. 

  26. Park, J. H., & Chung, J. K. (2007). Acculturation and identity of immigrant w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2(4), 395-432. 

  27. Park, Y. S., Kim, U. C., & Kim, M. S. (2012).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children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maternal grandmothers: With specific focus on ideal number of children, gender preference, expectation old age secur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8(1), 127-152. 

  28. Sung, H. R. (2011).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on their wives' acculturation and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Daegu and Gyeongbuk area.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7(2), 219-239. 

  29. Sung, M., Chin, M., Lee, J., & Lee, S. (2013). Ethnic variations 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ives in South Korea. Family Relations, 62(1), 226-240. 

  30. Won, S. J., & Song, I. U. (2011). The effect of person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2), 95-113. 

  31. Yoo, A. J., & Min, H. Y. (2000). Generational differences in Korean baby-delivery culture between young mother and grandmother gene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8), 99-109. 

  32. Yu, I. (1997).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Chinese family institution in pre-modern Vietnam. The Southeast Asian Review, 5, 25-50. 

  33. Yu, I. S. (1989). The family system and the husband-wife relationship in traditional Vietnam. Asian Culture, 5, 165-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