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기 성인의 암 예방행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Cancer Preventive Behavior in Middle-aged Peopl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1, 2014년, pp.29 - 38  

김남선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이규은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cancer preventive behavior in middle-aged people. Method: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questionnaire with 203 middle-aged people in Seoul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중년기는 직장이나 가정문제, 새로운 역할 모색과 자신의 신체적 변화 및 건강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매우 복잡한 상황에 놓인 시기로(Kim, 2012), 건강에 대한 염려와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기이지만, 아직껏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건강정보이해능력, 암에 대한 지식과 암 예방행위를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성인의 암 예방행위와 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암 예방행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중년기 성인의 암 예방행위를 위한 간호중재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생의 주기에서 중년기가 암 발생이 서서히 증가하는 시기라는 점에 주목하고, 중년기 암 예방행위와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암 예방행위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자료를 이용하여 중년기 성인의 건강상태, 건강정보이해능력 및 암 지식이 암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성인의 암 예방행위와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암 예방행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중년기는 점차 암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등 건강에 대한 염려가 많은 시기로 암 예방행위의 실천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건강정보 이해능력 및 암 지식이 암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성별과 건강상태 및 암 지식의 세 변인이 암 예방행위를 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는 암 발병의 취약한 시기로도 고려되는 이유는? 흔히 중년기는 인생의 전환점으로 대별되는데, 이 시기에 사람들은 자신이 이룬 개인적 성취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면서도 한편으로는 자녀의 성장으로 인한 역할 변화와 갈등, 현실과 기대감의 괴리, 신체적 기능의 감퇴, 점진적인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건강상의 문제, 직장이나 가족관계에서의 과중한 책임, 직장에서의 변동과 좌절 등으로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위기감에 봉착하게 된다(Evandrou, Glaser, & Henz, 2002; Oh, 2011). 이 때문에 중년기는 암 발병의 취약한 시기로도 고려되는데, 암의 대부분이 35세부터 조금씩 증가하기 시작하여 40세부터는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Shin, 2011).
암 예방행위 측정도구로 무엇을 이용하였나? 암 예방행위 측정도구는 Suh 등(1998)이 개발한 암 예방행위 측정도구를 국가암정보센터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근거로 Kim과 Kim (2012)이 수정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식이, 건강생활, 운동 등에 관한 1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은 어떤 질병인가? 우리나라 암 발생 등록 건수를 살펴보면, 지난 2000년 101,772건이던 것이 2010년에는 202,053건으로 불과 10년 사이에 100%나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3). 암은 일단 발병할 경우 환자가 겪게 되는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는 물론 치료비 등으로 인한 재정적 부담 등 환자가 감당해야 하는 고통이 큰 질병이다. 그러므로 암 발병 후 치료하는 것 보다는 사전에 암 발생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확인하고, 암 위험인자에의 노출을 줄이는 등 암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Lee & Ha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2007). Characteristics of subgroups on patients with hypertension for hypertension management- Based o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related to medication and health lifesty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 112-122. 

  2. Baker, D. W., Wolf, M. S., Feinglass, J., Thompson, J. A., Gazmararian, J. A., & Huang, J. (2007).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 1503-1509. 

  3. Cui, Y. H. (2012). A comparative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f cancer among middle-aged Korean, Korean-Chinese, and Chine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4. Davis, T. C., Crouch, M. A., Long, S. W., Jackson, R. H., Bates, P., George, R. B., et al. (1991). Rapid assessment of literacy levels of adult primary care patients. Family Medicine, 23, 433-435. 

  5. DeWalt, D. A., Berkman, N. D., Sheridan, S., Lohr, K. N., & Pignone, M. P. (2004).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9, 1228-1239. 

  6. Evandrou, M., Glaser, K., & Henz, U. (2002). Multiple role occupancy in midlife: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in Britain. Gerontologist, 42, 781-789. 

  7. Gazmararian, J. A., Baker, D. W., Williams, M. V., Parker, R. M., Scott, T. L., Green, D. C., et al. (1999). Health literacy among medicare enrollees in a managed care organiz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545-551. 

  8. Gazmararian, J. A., Williams, M. V., Peel, J., & Baker, D. W. (2003). Health literacy and knowledge of chronic diseas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1, 267-275. 

  9.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2004).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 C. : National Academies Press. 

  10. Jun, E. M., & Cho, D. S. (2005). The relationship of symptoms of stress, cancer prevention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11, 156-162. 

  11. Jung, E. Y. (2013).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2. Kang, S. J., Lee, T. W., Kim, G. S., & Lee, J. H. (2012). The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adults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75-89. 

  13. Kim, D. J. (2012).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in middle ag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7, 503-518. 

  14. Kim, I. J., & Kim S. H. (2012).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about cancer in university students. Asian Oncology nursing, 12, 44-51. 

  15. Kim, M. H., & Kim, M. S.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and cognitive factor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11, 52-57. 

  16.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215-227. 

  17. Lee, Y. T., Yoon, T. Y., & Kim, S. H. (2012).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explan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tie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32, 145-171. 

  18. Lee, S. H., Choi, E. H. R., Je, M. J.,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1).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57-65. 

  19. Lee, S. H., & Ham, E. M.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and cancer preventive behavior of the Korean, Chinese, American, and Japanese adult residing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52-59. 

  20.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3). Cancer occurrence during 1999-2010. retrieved February 13, 2013,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1000000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service. retrieved September 5, 2013, from http://health.mw.go.kr/Main.do. 

  22. Oh, E. T. (2011). Effect of health exercise on physical strength level, health crisi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3. Roh, H. S. (2007). The impact of family cancer history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Shaw, S. J., Huebner, C., Armin, J., Orzech, K., & Vivian, J. (2009). The role of culture in health literacy and chronic disease screening and management.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1, 460-467. 

  25. Shin, M. H. (2011). Health checking in middle age. retrieved May 11, 2011, from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columnAndFaqDetail.nhn? columnFaqTypeCodecolumn&columnFaqCodeSAM_C237. 

  26. Shin, K. R., Shin, S. J., Kim, J. S., & Kim, J. Y. (2005).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04-112. 

  27.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93-100. 

  28. Suh, S. R., Jung, B. Y., So, H. S., & Tae, Y. S. (1998). A study to advanc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he five major cancer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0, 268-280. 

  29. von Wagner, C., Knight, K., Steptoe, A., & Wardle, J. (2007).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health-promoting behaviour in a national sample of British adult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1, 1086-1090. 

  30. Wolf, M. S., Gazmararian, J. A., & Baker, D. W. (2007). Health literacy and health risk behaviors among old 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2, 19-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