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흡연노인의 금연의도 예측요인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Elderly Smokers following a Strok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1, 2014년, pp.48 - 56  

도은수 (대구보건대학 간호학과) ,  서영숙 (경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predict smoking cessation in elderly smokers following a stroke. Method: Between March and May 2013, data related to intention,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흡연노인의 금연의도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흡연노인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상담 및 효과적인 금연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금연의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금연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주관적 규범, 하루 흡연량과 금연의 유익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금연의도를 50% 설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흡연노인이 금연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계획된 행위이론을 근거로 영향요인을 탐색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금연의도와 금연행위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의 정도를 파악하고,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변인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주관적 규범은 특정 행위 수행여부에 대해 느끼는 사회적 압력에 대한 인식 정도로, 즉 특정인의 규범적 신념과 특정 준거인을 따르려는 순응동기에 의해 결정된다(Ajzen, 1991).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가 금연행위 수행에 대해 타인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압력 정도를 의미한다. 도구는 Jee (1994)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 총 8문항의 5점 척도로서, 규범적 신념과 순응동기 점수를 곱한 것을 합산하여 주관적 규범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매우 그렇다’ 2점에서 ‘매우 그렇지 않다’ -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금연을 실천해야 한다는 주관적 규범이 강함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흡연노인 환자들의 금연의도와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흡연노인의 금연의도와 관련요인들을 분석하여 뇌졸중 흡연노인의 금연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흡연노인이 금연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계획된 행위이론을 근거로 영향요인을 탐색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금연의도와 금연행위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의 정도를 파악하고,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변인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은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흡연은 뇌졸중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며, 좁아진 동맥에 혈전을 형성시키는 급성효과와 죽상경화증을 촉진시키는 만성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많은 연구들에서 가장 일관된 변수로 설명되고 있다(CRCS, 2009). 또한 금연과 뇌졸중 유병률에 대한 연구에서는 금연 후 2~5년 이내에 뇌졸중이 크게 감소하고, 5~10년 이후에는 비흡연자와 같아진다고 보고됨에(Kim, S.
금연의도를 파악하기위한 다중회귀 분석에서 예측 변인에는 어떤 것들이 선택되었는가? 79로 등분산성을 만족하여 정규성도 확인되었다. 예측변인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금연의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 성별, 가족형태, 금연의 유익성, 하루 흡연량, 금연교육 경험 변수와 상관관계에서 유의한차이를 보인 금연행위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변수가 선택되었다. 명목변수인 성별, 금연의 유익성과 금연 교육 경험은 0과 1의 값만을 갖는 이항변수 형태로 더미코딩하였으며, 가족형태는 ‘독거’를, 하루 흡연량은 ‘반갑 미만’을 기준으로 각각 가변수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뇌졸중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 위험요인으로 조절 가능한 요인은 흡연, 음주,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이며,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는 연령, 가족력, 성(sex) 등으로 분류된다(CRCS, 2009; Kelly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2. Augustson, E. M., & Marcus, S. E. (2004). Use of the current population survey to characterize subpopulations of continued smokers: A national perspective on the “hardcore” smoker phenomenon.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621-629. 

  3. Bae, J. H. (2011).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in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 Barbeau, E. M., Krieger, N., & Soobader, M. J. (2004). Working class matters: Socioeconomic disadvantage, race/ethnicity, gender, and smoking in NHIS 2000.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 269-278. 

  5. Cho, K. S. (2013). Prevalence of hardcore smoking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1), 603-628. 

  6.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2009).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Seoul: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7.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 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8. Jee, Y. O. (1994). Tes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military smo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Jorgensen, H. S., Nakayama, H., Reith, J., Raaschou, H. O., & Olsen, T. S. (1997). Stroke recurrence: Predictors, severity, and prognosi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Neurology, 48, 891-895. 

  10. Kaleta, D., Korytkowski, P., Makowiec-Dabrowska, T., Usidame, B., Bak-Romaniszyn., & Fronczak, A. (2012). Predictors of long-term smoking cessation: Results from the global adult tobacco survey in Poland (2009-2010). BMC Public Health, 12, 1471-2458. 

  11. Kelly, T. N., Gu, D., Chen, J., Huang J. F., Chen, J. C., Duan, X., et al. (2008). Cigarette smoking and risk of stroke in the chinese adult popul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39, 1688-1693. 

  12. Kim, E. K., Kim, M. J., & Song, M. R. (2002).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patient with coronary heart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55-363. 

  13. Kim, H. J., & Kim, O. S (2013). The lifestyle modification coaching program fo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 331-340. 

  14. Kim, J. S., Yu, J. O., & Kim, M. S. (2012).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3, 358-365. 

  15. Kim, S. O. (2009). Predictive factors of tobacco cessa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231-239. 

  16. Kim, S. Y. (2009). Effects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acute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17. Kim, T. W. (2002).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ehavior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the military smo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In-depth analyses of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health interview and health attitude survey part.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the elderly with medical expenditure analysis.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Issue Brief No. 11-1240000-000028-10). Seoul: Korean Statistics Office. 

  21. Rise, J., Kovac, V., Kraft, P., & Moan, I. S. (2008). Predicting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quitting behaviour: Extend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 291-301. 

  22. Ryu, S. Y., Shin, J. H., Kang, M. G., & Park, J.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male smokers in 13 communities in Honam region of Korea: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2), 75-85. 

  23. Schofield, I., Kerr, S., & Tolson, D. (2007). An exploration of the smoking-related health beliefs of older people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726-1735. 

  24. Son, G. Y. (2010).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elderly smoker's smoking-cessation intention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5. Song, M. R., & Kim, S. L. (2002). Testing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 456-470.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May). The top 10 causes of death: The 10 leading causes of death in the world, 2000 and 2011. Retrieved July, 2013,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 site: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 

  27. Yeon, J. W., Kim, H. S., Lee, K. S., Chang, S. H., Choi, H. J., & Ham, E. M. et al. (2012).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 Stage to Quit Smoking in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 377-384. 

  28. Yong, H. H., Borland, R., & Siahpush, M. (2005). Quitting-related beliefs, intentions, andmotivations of older smokers in four countries: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policy evaluation survey. Addictive Behaviors, 30, 777-7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