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유집합체에서 이형단면섬유의 유체전달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Analysis of Fluid Transfer Properties of Fibers of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in Fibrous Assemblies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1 no.1, 2014년, pp.1 - 6  

홍철재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fiber has an effect on the comfort-related fluid transfer properties of a fabric, such as wicking, moisture transfer, and tactile properties. For analysis of these properties via simulation, an equation for the hydraulic pore size was derived on the basis of a struc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섬유집합체에서 서로 다른 섬유들의 고유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섬유집합체의 구조(예: 섬유집합체의 기공도)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단지 섬유만의 고유 특징을 변수로 정해 고찰해야 하나 모든 비교 섬유들에서 이와 같은 섬유집합체의 구조 조건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유집합체의 동일한 구조 조건에서 구성 섬유의 단면 이형성이 유체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 및 고찰하기 위해 구조모델을 바탕으로 방정식을 개발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모사를 위해 사용한 시료를 편의상 부직포 웹 형태로 하며 구성 섬유의 재질과 섬도는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섬유의 단면 구조는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면 모양을 참고하여 Figure 2와 같이 가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섬유집합체의 기공이 일정한 크기의 원형으로 이루어 졌다고 가정하고 섬유 단면의 이형성이 변수로 포함된 기공크기 방정식을 유도한다. 방정식으로 투수도, 모세관 압력, 그리고 동적인 흡수거동을 모사한 후 섬유 단면의 이형성이 이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함과 더불어 섬유의 구조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 섬유가 임의로 혼합 배열된 섬유집합체에서 평균 기공크기를 유도하기 위해 섬유사이의 기공들이 원형 모세관 형태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한다. Figure 1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폭 x, 두께 y, 그리고 길이가 z인 섬유집합체에서 길이가 l인 섬유가 임의로 배열되어 있을 경우 유체의 전달방향과 수직인 단면에 섬유가 만날 확률(p)은 다음과 같다.
  • 유체로 물을 사용하며 밀도는 1 g/cc, 점도는 1 centi-poise, 그리고 표면장력은 72 dyn/cm로 가정한다. 섬유의 물과의 접촉각은 60o로 가정한다.
  • 섬유집합체의 모세관 크기(반지름: r)는 섬유집합체를 구성하는 모든 기공이 원형이고 크기가 일정한 파이프 모형이라 가정하고 유체전달방향과 수직인 단면에서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1,3].
  • 01 g/cm2 그리고 두께(T)를 2 mm로 동일하게 한다. 유체로 물을 사용하며 밀도는 1 g/cc, 점도는 1 centi-poise, 그리고 표면장력은 72 dyn/cm로 가정한다. 섬유의 물과의 접촉각은 60o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유가 레저 및 스포츠용 의류의 흡한속건성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형단면 구조의 섬유는 유체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높은 흡수력과 수분 전달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레저 및 스포츠용 의류의 흡한속건성 소재로 널리 사용된다. 현재 국내외 합성섬유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단면의 쾌적성 섬유제품의 개발과 성능을 보고하고 있다.
섬유는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현재 국내외 합성섬유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단면의 쾌적성 섬유제품의 개발과 성능을 보고하고 있다. 이들 섬유는 대부분 실 또는 직물과 같은 섬유집합체로 만들어져 쾌적성과 연관된 유체전달 특성들을 실험 측정하여 분석된다. 섬유집합체에서 서로 다른 섬유들의 고유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섬유집합체의 구조(예: 섬유집합체의 기공도)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단지 섬유만의 고유 특징을 변수로 정해 고찰해야 하나 모든 비교 섬유들에서 이와 같은 섬유집합체의 구조 조건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수직흡수의 경우 모세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가? 수직흡수의 경우 수평흡수와 달리 중력에 의한 흡수된 유체의 무게 증가로 인해 모세관 압력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흡수가 멈추게 된다. 따라서 모세관 압력이 높은 이형단면 섬유의 시료에서 높은 흡수 길이와 흡수량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P. K. Chatterjee and B. S. Gupta, "Absorbent Technology", Elsevier, NY, 2002. 

  2. J. Van Brakel and P. M. Heertjes, "Capillary Rise in Porous Media, I, II", Powder Technol, 1977, 16, 75?81, 83?90. 

  3. F. A. L. Dullien, "Porous Media; Fluid Transport and Pore Structure", 2nd ed., Acadimic Press Inc., San Diego, 1992. 

  4. R. D. Wyckoff and H. G. Botset, "The Flow of Gas-Liquid Mixture through Unconsolidated Sands", J Appl Phys, 1936, 7, 325?345. 

  5. I. Fatt, "Network Model of Porous Media, I, II, III", AIME, 1956, 207, 146?159, 160?163, 164?176. 

  6. A. L. Ruoff, G. H. Stewart, H. K. Shin, and J. C. Giddings, "Diffusion of Liquids in Unsaturated Paper", Kolloid Z, 1960, 173, 14?20. 

  7. T. Gillespie, "The Spreading of Low Vapor Pressure Liquids in Paper", J Colloid Sci, 1958, 13, 32?50. 

  8. B. S. Gupta and C. J. Hong, "Changes in Web Dimensions during Fluid Uptake and the Impact on Absorbency", TAPPI J, 1994, 77, 181?187. 

  9. E. W. Washburn, "The Dynamics of Capillary Flow", Phys Rev, 1921, 17, 273?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