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장의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 분석
Visual Image Analysis on the Types of Natural Funera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1, 2014년, pp.75 - 88  

김철재 (대전보건대학교 장례지도과)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연장의 유형 분류를 통해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선호 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민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에 장례전문가 224명이 포함돼 있다. 서울, 대전, 전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이 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자연장지의 시설을 장지시설과 추모시설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시설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중 장지시설을 수목형, 정원형, 화초형, 잔디형, 산골형으로 분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장지시설에서는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장 선호하는 장지시설 유형은 수목형으로 나왔고, 그 다음으로 화초형, 정원형, 잔디형, 산골형의 순서로 나왔다. 셋째, 각 유형별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이미지 요인의 평균값을 기본으로 지각도로 그려 제시하였다. 넷째, 자연장의 일반적 특성별 이미지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한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전체적으로 물리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유형별, 외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종교별, 집단별, 유형별, 균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학력별,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각 요인에서 평가가 높게 나왔고, 연령별로 보면 물리적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평가가 높아지는 경향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각 시설에서 도출된 이미지 요인이 해당시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지시설에서는 5가지 유형 모두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시설 선호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조경시설의 이미지 요인이 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 사이에 그 차이가 있는지 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정원형에서 외형적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기타 이미지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연장지의 장지시설의 형태별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아직 태동기에 있는 자연장이 아직은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자연장지 표준 경관 이미지 분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전통적 장사 이념을 지켜 나가며 새로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장사문화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서 국민들이 자연장을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introduce the external type of natural funeral landscape faciliti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visual image factor on the preference for th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49 persons including 224 experts on the funeral services. The majority of resp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장묘시설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만이 아닌, 인간의 삶과 상호 밀접하게 연결된 사회적 의미를 갖는 시설물이다. 따라서 자연장의 유형별 분류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장묘1)시설들이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지역 주민들과 지역자치단체 간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자연장이 새로운 환경친화적 장법으로 등장하게 되면서부터, 이제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는 이 자연장을 지자체가 현재 가지고 있는 흉물스러운 기존 공동묘지 개발을 위한 새로운 묘지개발 모델로 인식하기도 한다.
  • 본 연구는 자연장의 분류 유형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 종합하여 자연장지의 물리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표준 경관이미지에 사용된 구성요소들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형별 동일패턴으로 주변에 교목과 관목을 배치시켜 위요시켰으며, 장지형태는 정사각형의 형태에서 각각의 유형별 표준이미지를 설정하였다. 자연장지에서의 장지 부분만을 별도로 취급하여 이에 맞는 기능적 측면을 검토하여 일반적인 설계 기준을 세우고, 이러한 기능성 위에 심미적인 디자인을 가미하여 최적의 자연장 공간을 구성하였으며, 가급적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물을 최대한 배제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장의 근본이념은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1990년대 들어와 묘지문화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파급되면서, 2000년대부터 화장문화가 급격하게 대두되었으며, 최근에는 자연장 제도가 새로운 장법으로 떠오르면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자연장의 근본이념은 죽은자를 기념, 추모하면서 자연으로 돌려보낸다는 의미이다.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활용하거나 가급적 인공 조형물을 설치하지 않는 방법이 우선시 된다.
자연장이란 무엇인가? 자연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수목, 화초,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하는 것을 말하며, 자연장지란 자연장법을 시행할 수 있는 구역, 즉 묘지구역을 지칭하는 말이다. 장지시설 형태와 관련된 용어는 수목장, 수목장림, 수림장, 정원장, 텃밭장, 화초장, 화목장, 잔디장, 산골장, 모래장, 연못장, 유택동 산, 관목장, 교목장, 꽃밭장, 평장납골, 장미원, 꽃동산, 정원형 잔디장, 평장묘, 화장묘 등 다양한 용어가 수집되었다.
자연장에서 우선시되는 방법은? 자연장의 근본이념은 죽은자를 기념, 추모하면서 자연으로 돌려보낸다는 의미이다.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활용하거나 가급적 인공 조형물을 설치하지 않는 방법이 우선시 된다. 그러나 자연장 이 가지는 철학적 배경인 친환경성․생태성만 강조되게 되면, 오히려 자연장의 활성화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Woo-Hwan(2008) A Study onMeasures to Activate Natural Funeral in Korea.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안우환(2008) 한국자연장의활성화방안에관한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BLM(1995) Presentations, U.S. Bureau of Land(Im, Seung-Bin, Landscape Analy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Council, 2010, 260-264, (Adjective check list Re-quote) BLM(1995) 미국토지관리국 발표자료(임승빈,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pp.260-264, adjective check list 재인용) 

  3. Feimer, N. R., K. H. Craik, R. C. Smardon and S. R. J. Sheppard(1979) Appraising the reliblity of visual impact assessment methods. calf.: USDA Pacfic South 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General Technical Report PSW 35:143-146. 285-296. 

  4. IEA and LI(1995) British Institut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Im, Seung-Bin, Landscape Analy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Council, 2010, pp.260-264, adjective check list Re-quote) IEA and LI(1995) 영국환경평가학회와 조경학회 발표자료(임승빈,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pp.260-264, adjective check list 재인용) 

  5. Im, Seung-Bin(2010)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267. 임승빈(2010)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267 

  6. Jeon, Jin-Poe(2005) Natural cemetery status in England. Forest 476: 101-105. 전진표(2005) 영국의 자연장 현황(한국형 수목장림을 개발해야 한다). 산림 476: 101-105. 

  7. Jeong, Yeongseon(1990) Role of the urban nature parks and landscape architect as a leisure spac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8(2): 2165-2167. 정영선(1990) 여가공간으로서의 도시자연공원과 조경가의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18(2): 2165-2167. 

  8. Joo, Shin-Ha(2003)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for the Urban Landscape Analysis: Focused on the GwaCheon and Yaksoo District A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주신하(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 연구: 과천, 약수지구단위계획구역을대상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9. Kang, Gilae and Gichul Lee(2009) Value measurement of the nature recreation forest recreation.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Fall Conference. pp.114-116. 강기래, 이기철(2009) 자연휴양림휴양가치측정. 한국조경학회추계학술대회집. pp.114-116. 

  10. Kang, Kee-Hong(2006) Tree urn graves in the German burial law system. Korean Comparetive Public Law Association 7(2): 489-518. 강기홍(2006) 독일장사법체계에서수목장. 공법학연구7(2): 489-518. 

  11. Kim, Chul-Jae and Shi-Young Lee(2013)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natural funeral landscape facilities and its visual preference. Institur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7(1): 11-23. 김철재, 이시영(2013) 자연장의 유형분류 및 표준경관 선호도.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7(1): 11-23. 

  12. Kim, Si-Tae(2010) A Study on Developing Natural Burials Site by the Nature Object.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김시태(2010) 자연장 유형별자연장지 조성모델 설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Na, Dal-Sook(2008) A research on the change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funeral system. Law Research 29: 449-472. 나달숙(2008) 장사제도의법제도적변천과현황문제. 법학연구29: 449-472. 

  14. Park, Hyun-Chul(2010) An Analysis of Landscape Images and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Street - Focused on 'Dongdae-ro', a Dongguk University street -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박현철(2010) 대학진입가로의 경관이미지 및 만족도분석: 동국대학교 가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