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7 no.1, 2014년, pp.115 - 122
A test for randomness of the binary random sequence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test statistic is based on the mean length of runs distributed with truncated geometric distribution and asymptotical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로또 당첨번호에 대한 균일성 연구는 언제 연구되었나? | 당첨번호에 대한 균일성(uniformity)이나 무작위성(randomness)에 대한 연구는 Genest 등 (2002), Helman (2005) 등에 의해 연구되었다. 특히 Johnson과 Klotz (1993)는 Lotto America Megabucks Lottery의 200회의 당첨번호를 사용하여 54개 각 번호가 당첨번호에 속할 확률을 최대가능도추정법을 통해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균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 |
로또 6/45는 어떤 사회적 기여를 하는가? | 로또 6/45는 사회적으로 사행성, 한탕주의와 같은 많은 부작용도 낳았지만 저소득층이나 소외 계층을 위한 각종 복지사업이나 임대주택 건설 등 다양한 사업의 재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2년 12월 7일 처음 추첨을 실시된 이후 현재까지 각종 사건과 이슈를 만들어 왔고 많은 사람들에게 인생역전이라는 환상을 주며 운영되고 있다. | |
이진확률수열의 독립성은 어떻게 확인하는가? | 이 번호가 어떤 회에서 추첨되었으면 1, 아니면 0이라고 표시하면 자료는 이진확률수열(binary random sequence)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수열에서의 독립성은 연검정(run test)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연검정의 경우 1이 발생할 확률 π가 0.5일 때 사용된다. 이 논문에서는 π가 임의의 값을 가질 때에도 이진확률수열의 무작위성을 검정하기 위한 검정통계량을 제안하고 이 통계량의 점근적 성질에 대해 알아본다. |
Coronel-Brizio, H. G., Hernandez-Montoya, A. R., Rapallo, F. and Scalas, E. (2008). Statistical auditing and randomness test of lotto $\kappa$ /N-type games, Phi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387, 6385-6390.
Genest, C., Lockhart, R. A. and Stephens, M. A. (2002). ${\chi}^2$ and the lotter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D, 51, 243-257.
Helman, D. (2005). Combinatorial interdependence in lottery, Teaching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24, 203-207.
Johnson, R. A. and Klotz, J. (1993). Estimating hot numbers and testing uniformity for the lotter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 662-668.
Lim, S. and Baek, J. (2009). Statistical randomness test for Korean lotto gam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779-786.
Rukhin, A., Soto, J., Nechvatal, J., Smid, M., Barker, E., Leigh, S., Levenson, M., Vangel, M., Banks, D., Heckert, A., Dray, J. and Vo, S. (2010). A Statistical test suite for random and pseudorandom num- ber generators for cryptographic applications, NIST Special Publication 800-22 Revision 1a, NIST, Gaithersburg.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