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 연계성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Intermodal Connectivity Index for High-Speed Rail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7 no.1 = no.80, 2014년, pp.59 - 69  

김병관 (KORAIL Research Institute, Korea Railroad Corporation) ,  하오근 (KORAIL Research Institute, Korea Railroad Corporation) ,  신현주 (KORAIL Research Institute, Korea Railroad Corporation) ,  김현구 (KORAIL Research Institute, Korea Railroad Corporation) ,  왕연대 (KORAIL Research Institute, Korea Railroad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확립을 위한 연계교통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교통정책으로 대두되고 있고 철도 및 대중교통은 통행의 완결성 부족으로 인해 수단간 연계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속철도는 우리나라 교통체계의 획기적 변화를 가져왔고 고속철도역은 다양한 수단이 연계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 결절점으로 수단간 연계교통망 차원에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속철도역의 연계교통망 차원에서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의 연계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연계성 분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서울역, 부산역, 울산역, 신경주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고 고속철도 역사내의 내부환승 시설을 제외한 고속철도역과 영향권내 기 종점간을 연결하는 연계교통수단의 세부 연계기능 지표를 조사 분석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연계성 분석 기법을 제시하고 연계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building of an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policy in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wide sustainable transport system. In the case of rail and public transport, an intermodal connecting improvement policy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rip compl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연계성 평가 대상은 고속철도역과 같은 노드라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연구는 특정 노드와 연결된 전체 노드에 대한 연계성을 평가 하였지만 본 연구는 고속철도역과 영향권내의 각 개별 기·종점 쌍의 연계성을 평가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고속철도역의 영향권을 대상으로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의 연계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고 이를 위하여 서울역, 부산역, 울산역, 신경주역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향후 좀 더 일반화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되며 이를 통해 구축된 DB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역의 영향권을 대상으로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의 연계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계성 분석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연계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연구에서는 기존 고속철도역의 내부환승시설에 대한 서비스 평가에서 벗어나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에 대한 연계기능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은 연계교통정보의 영향을 고려하여 교통정보의 중요성을 파악해 본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 연계성을 고속철도역과 연계되는 교통수단의 공급, 고속철도역과 연계되는 교통수단의 연속성, 고속철도역과 연계되는 교통수단의 교통정보 제공을 통하여 고속철도역과 영향권 내 교통존간의 상호연결성의 정도라 정의하였다. 여기서, 연계교통수단의 공급은 고속철도와 연계되는 교통수단의 공급을 통해 고속철도역과 통행의 기·종점간 충분한 연계교통의 제공 정도를 말하며 연계교통수단의 연속성은 고속철도와 연계되는 교통수단 사이의 시간, 거리의 연결 강도 및 환승 특성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연계기능 요소별 세부 연계기능 지표를 이용하여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 연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연계성 지표(Connectivity Index)를 도출하였다. 연계성 지표 산정을 위한 분석 방법론은 연계성을 나타내는 유의한 세부 연계기능 지표를 선정하고 세부 연계기능 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여 연계성 지표에 대한 모형을 도출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역의 영향권을 대상으로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의 연계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계성 분석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연계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연구에서는 기존 고속철도역의 내부환승시설에 대한 서비스 평가에서 벗어나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에 대한 연계기능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은 연계교통정보의 영향을 고려하여 교통정보의 중요성을 파악해 본데 의의가 있다. 물리적 연계성 이외에 연계교통정보는 지금까지 연계기능의 평가에서 간과되고 있었던 통행자 측면의 세부 연계기능이라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고속철도역의 연계기능을 분석하고 기존의 정성적 분석과 용량분석 기반의 평가 방안을 대체 보완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계성 평가 대상은 고속철도역과 같은 노드라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연구는 특정 노드와 연결된 전체 노드에 대한 연계성을 평가 하였지만 본 연구는 고속철도역과 영향권내의 각 개별 기·종점 쌍의 연계성을 평가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고 역사내 시설의 용량분석 기반의 평가 방안을 대체 보완하기 위하여 통계적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연계교통망 차원의 종합적이고 객관화된 고속철도역의 연계성 분석기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고속철도역의 고속철도와 연계교통수단간 연계성 평가를 위한 연계성 지표(Connectivity Index)를 개발하고 적용 및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구조방정식 모형은 변수들간의 관계를 구조화하여 체계적으로 모형화하는 다변량 분석 방법론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이 결합된 형태이며 모형형태의 관점에서 보면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과 구조모형(Structural Model)을 통해 모형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모형이다. 일반적인 구조방정식 모형은 변수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데 주로 사용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세부 연계기능 지표와 연계성 지표간 인과관계와 각 지표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의 체계적인 교통정책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철도, 도로, 항공 등 각 수단들은 서로를 경쟁수단으로 인식해 오고 있으나 하나의 목적통행은 다양한 수단통행으로 이루어짐으로 국가의 체계적인 교통정책을 위해서는 수단간 연계를 고려한 정책방향이 필요하다. 특히, 승용차를 제외한 친환경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철도 및 대중교통은 통행의 완결성 부족으로 인해 수단간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고려가 필수적이다.
고속철도역의 어떠한 점을 분석해야 하는가? 특히, 승용차를 제외한 친환경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철도 및 대중교통은 통행의 완결성 부족으로 인해 수단간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고려가 필수적이다. 철도의 수단경쟁력을 높여왔고 향후 더 높은 경쟁력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은 고속철도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속철도 관련시설 중 고속철도역은 다양한 수단이 연계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 결절점으로서 수단간 연계 교통망차원의 분석이 요구된다.
체계적인 교통정책을 위해 철도 및 대중교통의 무엇을 고려해야하는가? 철도, 도로, 항공 등 각 수단들은 서로를 경쟁수단으로 인식해 오고 있으나 하나의 목적통행은 다양한 수단통행으로 이루어짐으로 국가의 체계적인 교통정책을 위해서는 수단간 연계를 고려한 정책방향이 필요하다. 특히, 승용차를 제외한 친환경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철도 및 대중교통은 통행의 완결성 부족으로 인해 수단간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고려가 필수적이다. 철도의 수단경쟁력을 높여왔고 향후 더 높은 경쟁력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은 고속철도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속철도 관련시설 중 고속철도역은 다양한 수단이 연계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 결절점으로서 수단간 연계 교통망차원의 분석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TDB (2010) OD major mode of between national and regions in 2010,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 J.W. Kim et al. (2012) A Research on the Travel Behavior of Railway Passengers, KORAIL Research Institute. 

  3. K.S. Kim (2010) Arrangement standard development and revaluation for transfer facilities in the Transfer stations of Urban railroa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4. J.K. Lee (2010)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for Layout and Service Assessment in High-speed Railroad Transfer Center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5. S.E. Kim (2008) A study on a Level of Service (LOS) for a pedestrian facility in a transportation transfer center,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6. Kwon, Y.J. (2007)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raffic Connective Transferring System, Transportation Science Policy, 4(1), pp.94-102. 

  7. Korea Construction CALS Association (2004) A Study of Development of Private Construction CITIS(PMIS) related Functions,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MOCT). 

  8.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2011) Rail Design Standard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9. C.J. Kim (2002) A study on the resident satisfaction with configuration of spatial structure for outdoor space in urban apartment,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10. H.C. Shin (2009) The Concept and Aspect of Networkness in Korean Education: focused on grammar domain, Journal of New Korean Language Education, 81. pp. 183-211. 

  11. J.H. Kim (2008) Assessment of the New Capacity and LOS of Transfer Facilitie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 Civ. Eng., 28(5), pp. 735-740. 

  12. S.Y. Han et al. (2009) The Service Evaluation of Connection and Transfer Facilitie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Gyeongju, pp. 761-772. 

  13. C.S. Kim et al. (200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of Transfer Facilitie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 Civ. Eng., 28(4), pp. 533-538. 

  14. C.S. Kim (2010) Assessment of the Quality and Capacity of the Pedestrian Facility at the KTX Transit Center,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15. J.K. Lee et al. (2009) The Guidelines for Station Layouts and Their Assessments in Railroad Transfer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 Civ. Eng., 29(5), pp. 597-604. 

  16. J.S. Park, S.C. Kang (2010a)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nnectivity of Multimodal Transit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8(3), pp. 85-98. 

  17. J.S. Park, S.C. Kang (2010b) Measuring the Connectivity of Nodes in Road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8(4), pp. 129-139. 

  18. J.S. Park, S.C. Kang (2010c) A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Network Connectivity Improvement for Transport Hub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8(6), pp. 167-177. 

  19. H.J. Kim et al. (2012) The Efficient Strategy for National Transport Infrastructure using Network Index focused on Interchanges of Expresswa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 K.P. Kang et al. (2011) A Study on Arterial Road Network Improvement based on Network Analysis,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1. L.D. Bacon (1999) Using LISREL and PLS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Sawtooth Software Conference Proceedigns, Sequim, WA., pp. 285-306. 

  22. K.S. Kim (2013) Easy SEM with SmartPLS, Chung-ram Books, Seoul, pp. 170-172. 

  23. J. Hulland (1999) Use of Partial Least Squares(PLS)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A Review of Four Recent Studi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0(2), pp. 195-204. 

  24. J.P. Woo (2012) The Understanding and Concep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narae Academy, Seoul, pp.160-176. 

  25. C. Fornell, D.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pp. 39-50. 

  26. J. Henseler, C.M. Ringle, R.R. Sinkovics (2009) The Use fo Partial Square Path Modeling in International Marketing, Advances in International Marketing, 20, pp.277-319. 

  27. Achieved at http://maps.naver.com 

  28. Achieved at http://www.korail.com 

  29. Achieved at https://www.busterminal.or.kr 

  30. Major traffic statistic of Seoul at http://stat.seoul.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