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인체 부착형 Ultra-Wideband(UWB) Multiple-Input Multiple-Output(MIMO) 안테나를 제안하고, 인체의 영향을 고려한 안테나 성능과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사각 모노폴 형태의 두 안테나와 격리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테나 사이에 위치한 plunger형 isolator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의 근거리장에 인체가 존재할 때, 인체가 안테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 Specific Absorption Rate(SAR) 값은 공급전력 0.5 mW에서 안테나 1, 2 각각 0.132, 0.08 W/Kg으로 1 g 평균 전자파 흡수율을 1.6 W/kg으로 제한한 FCC 지침을 초과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design of a UWB MIMO antenna for an on-body application is proposed and antenna performance with body effect and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are investigated. The proposed MIMO antenna is composed of UWB antenna above ground plane and an additional plunger shaped isolator located b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3.1~7.2 GHz UWB 대역에서 동작하는 인체 부착형 MIMO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MIMO 안테나는 사각형 모노폴 구조를 이용하였고, 역 삼각형 isolator를 사용하여 격리도 특성을 향상시켰다.
  • 본 논문에서는 WBAN 환경에서의 인체부착형 UWB MIMO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MIMO 안테나의 두개 방사체는 사각 모노폴 형태로 서로 가깝게 위치하고 있음에도 UWB(3.
  • 본 논문에서는 인체 부착형으로 적용 가능한 UWB MI- MO 안테나 디자인이 제안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미래 지향적 인체부착형 무선통신기기의 유려한 디자인을 고려한다면 설계 단계에서부터 유연기판을 이용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WB 안테나란? UWB 안테나는 중심 주파수의 25 %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시스템 혹은 1.5 GHz 이상의 점유폭을 차지하는 무선전송 기술 시스템을 말하며, 신호의 확산 특성을 이용한 기술로서 시간축 상에서 주기가 매우 짧은 펄스를 송신하게 되면 그 신호는 주파수 축상에서 매우 넓게 펼쳐진다[4]~[6].
UWB 안테나는 어떤 특성을 이용한 기술인가? UWB 안테나는 중심 주파수의 25 %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시스템 혹은 1.5 GHz 이상의 점유폭을 차지하는 무선전송 기술 시스템을 말하며, 신호의 확산 특성을 이용한 기술로서 시간축 상에서 주기가 매우 짧은 펄스를 송신하게 되면 그 신호는 주파수 축상에서 매우 넓게 펼쳐진다[4]~[6].
SAR 측정 결과를 통해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안테나 단품의 측정결과 및 시작품의 동작 환경에서의 SAR을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해야 하는 이유는? 6 W/kg으로 제한된 FCC의 SAR 기준을 만족한다. 그러나 SAR 측정 시 near field를 scan하고, 그 중 최고값인 hot spot을 가지고 규격의 통과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부분은 안테나 급전부분이나 안테나에서 방사가 주된 부분에서 일어나게 되므로 안테나 단품의 측정 결과로 이를 만족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SAR 측정 결과를 통해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안테나 단품의 측정결과 및 시작품의 동작 환경에서의 SAR을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IEEE 802.15 WPAN WG homepage http://www.ieee 802.org/11. 

  2. IEEE 802.15 WPAN WG homepage, http://www.ieee 802.org/15. 

  3. 최영우, 김유진, 이형수, 김재영, "IT/BT 융합 분야에서의 WBAN 기술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IT 기획시리즈, 융합기술 8, pp. 28-35, 2008년 8월. 

  4. W. Zuang, X. Shan, and Q. Bi, "Ultra-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Computer, vol. 3, pp. 663-685, 2003. 

  5. M. A. Peyrot-Solis, G. M. Galvan-Tejada, and H. Jardon- Agular, "A novel planar uwb monopole antenna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Microwave and Optical Technology Letters, vol. 5, pp. 933-935, May 2006. 

  6. S. Hong, K. Chung, J. Lee, S. Jung, S. S. Lee, and J. Choi, "Design of a diversity antenna with stubs for UWB application", Microwave and Optical Technology Letters, vol. 50, no. 50, pp. 1352-1356, Mar 2008. 

  7. 윤영중, 이상흔, 김기준, "WBAN 안테나 설계 기술",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 통신), 25(2), pp. 32-40, 2008년 2월. 

  8. T. S. P. See, Z. N. Chen, "Characterization of received pulses by antennas in proximity of human body", 2nd Eur. Conf. on Antennas and Propag., Edinburgh, U.K., Nov. 2007. 

  9. T. S. P. See, Z. N. Chen, "An electromagnetically coupled UWB plate antenna", IEEE Trans. Antennas Propag., vol. 56, no. 5, pp. 1476-1479, May 2008. 

  10. T. S. P. See, Z. N. Chen, "Ultra-wideband antennas with miniaturized size, reduced ground plane reliance, and enhanced diversity", iWAT 2008. International Workshop on, pp. 24-27, Mar. 2008. 

  11. T. S. P. See, Z. N. Chen,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UWB antennas for on-body commun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57, no. 4, Apr. 2009. 

  12. N. Chahat, M. Zhadobov, R. Sauleau, and K. Ito, "A compact UWB antenna for on-body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f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59, no. 4, Apr. 2011. 

  13. S. Chen, Y. Wang, and S. Chung, "A decoupling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port isolation between two strongly coupled antennas", IEEE Transactions on Antenna and Propagation, vol. 56, no. 12, pp. 36503-3658, Dec. 2008. 

  14. C. Gabriel, P. Chadwick, "Development of whole-body shell and solid phantoms and for SAR and radio propagtion measurement", Bioinformatics and Biomedical Enginnering 2008, pp. 805-807, May 2008. 

  15. ANSYS Inc. HFSS(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ior) Ver. 14. 

  16. "Evaluating compliance with FCC guildlines for human exposure to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FCC, Washington, DC, Technology. Rep. OET Bull. 65 Supplement. C, Jun. 2001. 

  17. A. Ando, "Mean effective gain of mobile antennas in line-of-sight street microcells with low station antenna", IEEE Transactions on Antenna and Propagation, vol. 56, pp. 3552-3565, Nov. 2008. 

  18. Y. Shin, S park, "Spatial diversity antenna for WLAN application", Microwave and Optical Technology Letters, vol. 49, no. 6, pp. 1290-1294, Jun. 2007. 

  19. G. Kang, O. P. Gandhi, "Effect of dielectric properties on the Peak 1- and 10-g SAR for 802.11 a/b/g frequencies 2.45 and 5.15 to 5.85 GHz",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vol. 46, no. 2, Ma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