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의 일상식품군 섭취량에 따른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상관성 분석
Association of food intake with serum levels of phosphorus and potassium in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1, 2014년, pp.33 - 44  

우혜진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연주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오일환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신장내과) ,  이창화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신장내과) ,  이상선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한양대학교병원에서 혈액투석을 시행중인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식품군의 섭취량과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혈액투석 중의 합병증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는 총 48명 (남: 20명, 여: 28명)으로 평균 혈청 인 농도는 $4.50{\pm}1.52mg/dl$, 평균 혈청 칼륨 농도는 $4.74{\pm}0.73mEq/l$였다. 전체 대상자 중 고인산혈증을 보인 환자는 45.8%, 고칼륨혈증을 보인 환자는 35.4%였다. 2) 식이요법 실천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대상자 중 약물치료만 시행하는 군보다 약물치료에 식이요법을 병행하는 군에서 혈청 인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3) 투석기간에 따른 혈청 칼륨 농도는 5년 미만 투석자보다 5년 이상 투석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 백미를 섭취한 군이 잡곡을 섭취하는 군보다 혈청 인,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감자와 고구마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5) 생선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칼륨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콩자반과 두유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인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콩자반의 경우 일주일에 1회 이상, 두유의 경우 일주일에 3회 보다 많이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인 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6) 채소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고칼륨 채소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버섯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일주일에 3회 보다 많이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7) 잡곡과 두유의 섭취는 혈청 인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투석기간, 잡곡, 감자, 생선, 고칼륨 채소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쌀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혈액투석 환자들의 식이요법 실천은 혈청 인 농도 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투석기간이 길어질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지속적인 식이요법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일상식품군의 섭취와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잡곡의 섭취는 혈청 인, 칼륨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백미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잡곡의 섭취를 줄이고 백미를 섭취하는 것이 혈청 인, 칼륨 농도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의 섭취는 혈청 인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자 및 생선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상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이들 식품의 1인 1회 섭취 분량을 하루에 0.5회 이하로 나누어 섭취하되,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한편 고칼륨 채소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른 채소 섭취에 비해 혈청 칼륨 농도를 정상범위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아 가급적 섭취를 제한할 것을 권장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Elevated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are a major problem for hemodialysis (HD) patients. Hyperphosphatemia and hyperkalemia are closely related to intake of dietary phosphorus and potassiu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consumed 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5 지금까지 외국의 경우 혈액투석 환자의 일상식품군 섭취에 따른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성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13,14,16 우리나라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식품군 섭취량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혈액투석 중의 합병증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한양대학교병원에서 혈액투석을 시행중인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식품군의 섭취량과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혈액투석 중의 합병증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시행중인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식품군의 섭취량과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투석이란?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시행되는 치료방법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그리고 신장이식이 있다. 그 중 혈액투석은 우리나라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신대체요법으로, 대한신장학회 자료에 따르면 2011년 혈액투석을 시행하는 환자의 수는 42,596명으로 전체 신대체요법 시행 환자의 67.2%에 달한다.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시행되는 치료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시행되는 치료방법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그리고 신장이식이 있다. 그 중 혈액투석은 우리나라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신대체요법으로, 대한신장학회 자료에 따르면 2011년 혈액투석을 시행하는 환자의 수는 42,596명으로 전체 신대체요법 시행 환자의 67.
신장기능 저하로 인해 다량의 인, 칼륨이 배설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은? 신장기능 저하로 인한 혈청 인 농도의 증가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증가와 뼈에서의 칼슘 방출 증가를 유발해 혈관석회화로 인한 동맥경직을 야기하며, 10,11 혈청 칼륨 농도의 증가는 부정맥 및 심정지를 야기할 수 있다. 12 혈액투석 환자의 고인 산혈증 및 고칼륨혈증은 식이 인, 칼륨의 섭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사망위험도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in DC, Kim NH, Lee SW, Lee JS, Yoon SR, Kim BS.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 2011 -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ociety of Nephrology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1 [cited 2013 Oct 4].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journal/2012/index.html. 

  2. Jo WY. Special: management of the complications in hemodialysis patients. Kidney Health 2002; 3: 12-15. 

  3. Suh MR, Lee EB, Yang WS, Kim SB, Park SK, Lee SK, Park JS, Hong CG. Survival analysis of hemodialysis patients: a single center study. Korean J Nephrol 2002; 21(4): 636-644. 

  4. Lim IS, Lee GY, Chun SH, Kim GH, Goo JR, Chun RW, Chae DW, Kim HJ, Noe JW. Factors contributing to morbidity and mortality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Med 1995; 49(5): 683-692. 

  5. Song KI, Kim SH, Maeng JH, Choi JS. Survival analysis of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in a single center. Korean J Nephrol 2003; 22(2): 228-236. 

  6. Ganesh SK, Stack AG, Levin NW, Hulbert-Shearon T, Port FK. Association of elevated serum PO(4), Ca X PO(4) product, and parathyroid hormone with cardiac mortality risk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J Am Soc Nephrol 2001; 12(10): 2131-2138. 

  7. Kovesdy CP, Regidor DL, Mehrotra R, Jing J, McAllister CJ, Greenland S, Kopple JD, Kalantar-Zadeh K. Serum and dialysate potassium concentrations and survival in hemodialysis patients. Clin J Am Soc Nephrol 2007; 2(5): 999-1007. 

  8. Sehgal AR, Sullivan C, Leon JB, Bialostosky K. Public health approach to addressing hyperphosphatemia among dialysis patients. J Ren Nutr 2008; 18(3): 256-261. 

  9. Rodriguez DJ, Hunter VM. Nutritional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renal failure. Nurs Clin North Am 1981; 16(3): 573-585. 

  10. Giachelli CM. Vascular calcification mechanisms. J Am Soc Nephrol 2004; 15(12): 2959-2964. 

  11. Block GA, Klassen PS, Lazarus JM, Ofsthun N, Lowrie EG, Chertow GM. Mineral metabolism, mortality, and morbidity in maintenance hemodialysis. J Am Soc Nephrol 2004; 15(8): 2208-2218. 

  12. Kim OK. Hyperkalemia in chronic renal failure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13. Noori N, Kalantar-Zadeh K, Kovesdy CP, Bross R, Benner D, Kopple JD. Association of dietary phosphorus intake and phosphorus to protein ratio with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Clin J Am Soc Nephrol 2010; 5(4): 683-692. 

  14. Noori N, Kalantar-Zadeh K, Kovesdy CP, Murali SB, Bross R, Nissenson AR, Kopple JD. Dietary potassium intake and mortality in long-term hemodialysis patients. Am J Kidney Dis 2010; 56(2): 338-347. 

  15. Kim MY, Suh I, Nam CM, Yoon JY, Shim JS, Oh KW.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ing the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tion of nutrient consumption. Korean J Nutr 2002; 35(2): 250-262. 

  16. Kalantar-Zadeh K, Kopple JD, Deepak S, Block D, Block G. Food intake characteristics of hemodialysis patients as obtain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J Ren Nutr 2002; 12(1): 17-31. 

  17. Korean Dietetic Association. The food exchange list for kidney failure patients. Seoul: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7. 

  18. Lowrie EG, Lew NL. Death risk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predictive value of commonly measured variables and an evaluation of death rate differences between facilities. Am J Kidney Dis 1990; 15(5): 458-482. 

  19. Iseki K, Uehara H, Nishime K, Tokuyama K, Yoshihara K, Kinjo K, Shiohira Y, Fukiyama K. Impact of the initial levels of laboratory variables on survival in chronic dialysis patients. Am J Kidney Dis 1996; 28(4): 541-548. 

  20. Kestenbaum B, Sampson JN, Rudser KD, Patterson DJ, Seliger SL, Young B, Sherrard DJ, Andress DL. Serum phosphate levels and mortality risk among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J Am Soc Nephrol 2005; 16(2): 520-528. 

  21. Abe M, Okada K, Soma M. Mineral metabolic abnormalities and mortality in dialysis patients. Nutrients 2013; 5(3): 1002-1023. 

  22. Kim JH. A study on nutritional management conditions of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2. 

  23. An HJ. Effects of K and P intervention on improvement of nutritional status in predialysis patients of diabetic nephropathy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8. 

  24. Seo JY, Kim NH, Heo YR.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during dialysis in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Korean J Nutr 2012; 45(1): 30-43. 

  25. Nahikian Nelms M, Sucher K, Lacey K, Roth SL. Nutrition intervention. In: Nutrition Therapy and Pathophysiology, 2nd edition.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11. p.532-536. 

  26. Kim M, Yang HR, Jeong Y. Mineral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2): 443-446. 

  27. Lim S, Kang MS, Jwa MK, Song DJ, Oh YJ.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32(1): 52-57. 

  28. Kalantar-Zadeh K, Gutekunst L, Mehrotra R, Kovesdy CP, Bross R, Shinaberger CS, Noori N, Hirschberg R, Benner D, Nissenson AR, Kopple JD. Understanding sources of dietary phosphoru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lin J Am Soc Nephrol 2010; 5(3): 519-530. 

  2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Food Value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