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상륙작전 영화에 표현된 장소 재현
Cinematic Place Representation of Korean War Films with Emphasi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9 no.1, 2014년, pp.77 - 90  

장윤정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화에 표현된 장소 재현을 살펴보고자 인천상륙작전을 소재로 한 영화 두 편을 분석하였다. 인천상륙작전은 한국전쟁 당시 인천에 주둔했던 주체가 변화하는 전환점이자, 한국사회 이데올로기의 분기점으로 정립된 큰 사건이었던 만큼 아직까지 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사례로 한국 영화 '인천상륙작전'(1965)과 북한 영화 '월미도'(1982)를 선정하였다. 제작자가 다르다는 것은 제작의도의 차이를 말한다. 제작자가 선택한 재현 대상을 밝혀 영화 속 장소를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상륙군 관점에서는 승리를 기념하는 스펙터클을 보여주었지만, 방어군 관점에서는 전사자들을 영웅으로 기록하고 있었다. 제작자는 실제 장소를 의도에 맞게 선택하고 표현하기에 장소 내부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영화의 배경을 알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장소 외부를 표현한 영화 속 장소는 새롭게 미장센으로 공간을 연출한다.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대사로 전달되는 언어 재현 장소는 장소에 대해 내부자와 외부자 관계를 파악하게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places in the Korean War films on the event of 1950 'Incheon Landing', focusing on the place representations. 'Incheon Landing' of September 1950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the Korean War, and the event can be interpreted totall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소 재현이란? 장소 재현은 특정 시기 장소에서 일어난 내용을 재현한 사례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 장소 형성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장소는 의미 있는 위치로서 입지, 현장, 장소감으로 대표되기에(Cresswell, 2004, 7) 재현 결과에서 대상을 재현한 주체파악이 중요하다.
오늘날 영화지리학에서 강조하는 것은? 오늘날 영화지리학에서는 묘사적 측면보다 영화상의 장소 재현을 강조한다. 장소의 영화적 재현과 실제 장소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영화에 표현된 장소 재현을 살펴보고자 인천상륙작전을 소재로 한 영화 두 편을 분석한 결과는? 이렇듯 인천상륙작전 영화 속 장소 재현은 각 관점에 따라 상륙군 관점에서 진입에 따른 이동이, 방어군 관점에서 이동 없는 고립이 표현된다. 그 결과는 인천상륙작전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 제작자 포지셔낼리티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남으로서 장소의 성격을 도출하게 해 준다. ‘인천상륙작전’에서는 이동과 교류에 초점을 맞춘 장소로 인천18)을 선택하고 재현함으로서 실제 장소를 돌아보게 한다. 인천은 두 번의 양요와 개항을 거쳤다. 현재 한국의 대표적인 항구 기능을 하고 있는 인천의 지역적 특성은 그 역사적 환경으로 인한 개방성이 있다. 반면 ‘월미도’는 방어와 고립에 초점을 맞춘 장소로 월미도를 선택하고 재현한다. 인천상륙작전 당시 방어군 관점에서 인천 월미도는 서울지역19)의 최후 보루 역할을 하였다. 즉, ‘월미도’는 한국 영토에 속해 있는 섬으로 제작시기 당시를 단절되게 표현함으로서 폐쇄성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