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성놀이 전개 유형, 연령, 성별에 따른 구성놀이 질 및 가작화에서의 차이
Proceeding patterns of block play, and differences on block play's quality and symbolic play' pretending element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1, 2014년, pp.31 - 46  

한석실 (영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주희 (안동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eding patterns of constructive play with lego blocks, and the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symbolic play's pretending elements. The subjects were 132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64 three-year-olds (36 boy, 28 girl) and 68 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성놀이 재료 중 유니트블록(Han & Park, 2009), 점토(Han & Park, 2011)를 이용한 구성놀이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 선행연구는 있으나 레고블록을 이용한 구성놀이의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레고블록을 이용한 구성놀이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2000)는 구성놀이에서도 가작화가 중요하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상징적 표상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상징놀이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구성놀이에서의 가작화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함을 지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성놀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구성놀이와 상징놀이가 어떻게 관련되며, 구성놀이 안에서 가작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유아의 구성놀이 과정에서 질 높은 구성놀이를 경험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구성놀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징놀이와 어떻게 관련되는가는 보는 것과 더불어 구성놀이의 질적 수준은 어떠한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상징놀이는 의사소통의 초기 형태이며 문자언어의 습득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연령에 따른 상징에서의 차이는 중요하다. 특히 이러한 차이가 만 4세를 기점으로 전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Drew et al., 2008) 볼 때, 만 3세와 만 5세간 구성놀이가 어떻게 진행되어 가고 그 과정에서 가작화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특히 Park & Han (2011)의 연구에서 여아들은 구성놀이 과정에서 구성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남아는 구성놀이와 상징놀이를 교차로 참여하는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남녀 간의 차이가 레고블록을 이용한 구성놀이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고블록을 이용한 구성놀이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러한 차이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레고블록 구성놀이의 전개 유형에 따라 구성놀이의 질적 수준과 가작화에서는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고블록을 이용한 구성놀이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러한 차이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레고블록 구성놀이의 전개 유형에 따라 구성놀이의 질적 수준과 가작화에서는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레고블록 구성놀이의 특성을 확인하게 되면 구성놀이가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유아교육현장에서 구성놀이 지도 시 놀이재료, 활동전개, 환경구성 시 유의할 사항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예비관찰은 경북 A시에 소재한 A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3세 유아 5명, 만5세 유아 5명, 그리고 S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3세 유아 5명, 만5세 유아 5명의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범주와 기준의 타당성, 관찰․기록 방법의 유용성, 레고블록 개수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레고블록 구성놀이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Park(2007)가 구성놀이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를 레고블록 구성놀이의 특성에 알맞게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레고블록을 이용한 구성놀이가 어떻게 전개되며 이러한 전개유형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레고블록 구성놀이의 전개 유형, 연령, 성별에 따라 구성놀이 질과 가작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수의 관찰자가 연구에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12명의 관찰자가 관찰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관찰자간 신뢰도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12명의 관찰자는 단순히 구성물을 만드는데 사용한 블록의 갯수를 세는 것과 같은 정량적 요인들에 대해 관찰기록하고 정성적 요인들은 연구자가 관찰자와 중복 기록하고, 사진자료, 비디오, 전사 자료를 토대로 반복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연구자가 모든 관찰에 참여하고 모든 관찰기록물을 검토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가설 설정

  • 1. 레고블록 구성놀이의 전개 유형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학습과 발달에서 놀이가 중요한 이유는? 유아의 학습과 발달에서 놀이는 중요하다(Wellhousen & Kieff, 2001). 놀이는 유아들의 생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놀이 경험을 갖지 못하는 것은 발달 지연 혹은 불완전한 발달을 초래한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확인되었다(Brown & Vaughan, 2009; Copple & Bredekamp, 2009). 놀이를 통해서 유아들은 자신의 궁금증, 호기심, 지식, 창의성, 유능감을 경험하고 표현한다. 유아들은 놀이 과정에서 물리적, 사회적 세계를 탐색하면서 자연스럽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관계를 발견하고, 창의적 과정에 몰입하게 된다. 바로 놀이의 이러한 특성이 유아의 발달을 이끌어가게 되는 것이다(Nell et al., 2013).
구성놀이의 정의는 무엇인가? 유아기에 주로 나타나는 놀이로 구성놀이와 상징놀이가 있다(Frost & Klein, 1979, Smilansky, 1968). 구성놀이는 블록이나 점토 혹은 자연물과 같은 개방된 놀이 재료를 가지고 놀이 속에서 직접 디자인하고 상상적인 구조를 창조해내는 놀이로 정의된다(Collella et al., 2001).
유아기에 주로 나타나는 놀이는? 유아기에 주로 나타나는 놀이로 구성놀이와 상징놀이가 있다(Frost & Klein, 1979, Smilansky, 1968). 구성놀이는 블록이나 점토 혹은 자연물과 같은 개방된 놀이 재료를 가지고 놀이 속에서 직접 디자인하고 상상적인 구조를 창조해내는 놀이로 정의된다(Collell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own, S. & Vaughan, C. (2009). 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New York: Avery Publishing. 

  2. Cohen, L. & Uhry, J. (2007). Young children's discourse strategies during block play: A Bakhtinian approach.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1(3), 302-315. 

  3. Collella, V. S., Klopfer, E., & Resnick, M. (2001). Adventures in modeling: Exploring complex, dynamic system with StarLogo.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 Copple, C. & Bredekamp, S. (2009).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hrough age 8(3rd ed.). Wahington DC: NAEYC. 

  5. Drew, W. F., Christie, J., Johnson, J. E., Meckley, A. M., & Nell, M. L. (2008). Constructive play. A value-added strategy for meeting early learning standards. Young Children, 63(4), 38-44. 

  6. Forman, G. E. (2006). Constructive play. In D. P. Fromberg & D. Bergen (Eds.), Play from birth to twelve (pp. 103-110).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7. Frost, J. L., & Klein, B. L. (1979). Children's play and playground. Boston: Allyn & Bacon. 

  8. Garvey, C. (1990). Pla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 Gura, P. (Ed.). (1992). Exploring learning: Young children and blockplay. London: The Froebel Blockplay Research Group. 

  10. Han, S. S. & Park, J. H. (2009, June). Healthy education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Reconceptualization of the block play. Paper presented at the 3rd WH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ildren's health and the environment, Busan, Korea. 

  11. Han, S. S. & Park, J. H. (2011). A Sale development for make-believe elements appeared in children's clay pla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16(4), 429-448. 

  12. Hoorn, J. V., Scales, B., Nourt, P. M., & Alward, K. R. (1999).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New Jersey: Upper Saddle River. 

  13. Johnson, J. E., Christie, J. F., & Wardle, F. (2005). Play,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New York: Pearson, Allyn & Bacon. 

  14. Kostelnik, M. J., Soderman, A. K., & Whiren, A. P. (2004).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15. Kostelnik, M. J., Soderman, A. K., & Whiren, A.P. (200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16. Montopoli, L. (1999). Building minds by block building. ERIC Documa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31528 

  17. Nell, M. L., Drew, W. F., & Bush, D. E. (2013). From play to practice: Connecting teachers' play to children's learning. Wahington DC: NAEYC. 

  18. Oliver, S. J. & Klugman, E. (2002). Playing the day away: The importance of constructive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145, 66-70. 

  19. Park, J. H.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young children's problem solving and on variables related to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 Park, J. H. & Han, S. S.(2011).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ccording to the proceeding patterns of constructive clay play. Korean Journal of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11(3), 127-149. 

  21. Riefel, S. & Greenfield P. M. (1983). Part-whole relations: Some structural features of children's representational block play. Child Care Quarterly, 12(1), 144-151. 

  22. Singer, J. L. (1973). The child's world of make believe. New York: Academic Press. 

  23. Smilansky, S. (1968). The effect of sociodramatic play i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New York: Wiley. 

  24. Vygotsky, L. S. (1976). Play and its rol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In J. S. Bruner, A. Jolly & K. Sylva(Eds.), Play: Its role in development and evolution (pp. 537-554). New York: Penguin Book. 

  25. Wellhousen, K. & Kieff, J. (2001).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block play in early childhood. NY: Delmar. 

  26. Yaden, D. B., Rowe, D. W., & MacGillivray, L. (2000). Emergent literacy: A matter of perspective. In M. L. Kamil, P. B. Mosenthal, P. D. Pearson & R. Barr (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 III, pp.425-454). Mahwah. NJ: Erlba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