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 경화형 에폭시 매트릭스 수지의 경화거동 및 화학유변학에 대한 연구
Cure Behavior and Chemorheology of Low Temperature Cure Epoxy Matrix Resi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8 no.2, 2014년, pp.171 - 179  

나효열 (수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염효열 (수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윤병철 (무한컴퍼지트) ,  이성재 (수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수한 성능을 지닌 대형 구조의 섬유강화 고분자(FRP) 복합재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저온 경화형 프리프레그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 경화형 프리프레그 제조에 적합한 매트릭스 수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 촉진제로 구성된 저온 경화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거동 및 화학유변학을 고찰하였다. 경화반응 특성은 시차주사열량분석법과 유변물성측정법을 활용하여 승온 및 등온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매트릭스 수지로 제안된 저온 경화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80^{\circ}C$에서 3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었고, 80과 $90^{\circ}C$에서의 젤화 시간은 각각 120분과 20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킨 수지 경화물의 열적, 기계적 물성은 고온 경화형 수지 경화물의 물성과 거의 동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w temperature cure prepregs are being developed for use in the preparation of large-structured fiber-reinforced polymer (FRP) composites with good performance. Cure behavior and chemorheology of low temperature cure epoxy resin system, based on epoxy resin, curing agent, and accelerators, were inv...

주제어

참고문헌 (21)

  1. B. Ellis, Chemistry and Technology of Epoxy Resins, Chapman & Hall, London, 1993. 

  2. J. Wan, B.-G. Li, H. Fan, Z.-Y. Bu, and C.-J. Xu, Thermochim. Acta, 511, 51 (2010). 

  3. Y. Nishimoto, European Patent 0,970,980 (2005). 

  4. M. Melnykowycz, X. Kommann, C. Huber, M. Barbezat, and A. J. Brunner, Smart Mater. Struct., 15, 204 (2006). 

  5. P. Brondsted, H. Lilholt, and A. Lystrup, Annu. Rev. Mater. Res., 35, 505 (2006). 

  6. S. Sprenger, J. Appl. Polym. Sci., 130, 1421 (2013). 

  7. P. Ren, G. Liang, and Z. Zhang, Polym. Compos., 27, 402 (2006). 

  8. S. Ganguli, D. Dean, K. Jordan, G. Price, and R. Vaia, Polymer, 44, 1315 (2003). 

  9. W. Stark, Polym. Test., 32, 231 (2013). 

  10. C. Williams, J. Summerscales, and S. Grove, Composites Part A, 27, 517 (1996). 

  11. S. Honda, R. Sawaoka, and K. Nakahara, U.S. Patent 8,021,752 (2011). 

  12. N. Amdouni, H. Sautereau, J.-F. Gerard, and J.-P. Pascault, Polymer, 31, 1245 (1990). 

  13. A. Pfitzmann, A. Fischer, K. Fryauf, and M. Fedtke, Polym. Bull., 27, 557 (1992). 

  14. M. D. Gilbert and N. S. Schneider, Macromolecules, 24, 360 (1991). 

  15. N. Poisson, A. Maazouz, H. Sautereau, M. Taha, and X. Gambert, J. Appl. Polym. Sci., 69, 2487 (1998). 

  16. T. G. Mezger, The Rheology Handbook, 2nd ed., Vincentz, Hannover, 2009. 

  17. C. Michon, G. Cuvelier, and B. Launay, Rheol. Acta, 32, 94 (1993). 

  18. H. E. Kissinger, Anal. Chem., 29, 1702 (1957). 

  19. R. E. Camargo, V. M. Gonzalez, and C. W. Macosko, Rubber Chem. Tech., 56, 774 (1983). 

  20. S. Y. Eom, S. B. Seo, and K. Y. Lee, Polymer(Korea), 37, 240 (2013). 

  21. T. Guthner and B. Hammer, J. Appl. Polym. Sci., 50, 1453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