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학용 아크릴 점착제 제조 및 점착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Optical Applications and Their Adhesion Performanc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8 no.2, 2014년, pp.199 - 204  

백승석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  장세정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  이종훈 (도레이첨단소재(주) 첨단재료연구센터) ,  고동한 (도레이첨단소재(주) 첨단재료연구센터) ,  이상훈 (도레이첨단소재(주) 첨단재료연구센터) ,  황석호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ethylhexyl acrylate와 2-hydroxyethyl acrylate 기본구조에 isobornyl acrylate와 tetrahydrofurfuryl acrylate(THFA)의 조성비를 변화시키면서 광중합된 4원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가교제로 1,6-hexanediol diacrylate가 혼합된 시럽을 제조하였다. 합성한 시럽에 UV-광원을 조사시켜 점착제를 제조한 후 점착특성과 광학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시럽의 기본물성인 고형분, 점도, 및 분자량 분석도 수행하였다. THF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시럽의 분자량은 감소하였으나 고형분은 반대로 증가하였다. 점착제의 박리강도는 THFA의 함량에 따른 반비례관계를 나타내고 점착제의 표면에너지는 비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점착제에서 92% 이상의 광투과도와 1.0%이하의 haze값, 그리고 1.0 이하의 색차계값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par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s), quaternary copolymer syrups were photopolymerized from 2-ethylhex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acrylate as default constituents and isobornyl acrylate and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as variable constituents. After polymerization, 1,6-h...

주제어

참고문헌 (24)

  1. I. Benedek,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Application, 2nd Edition, Marcel Dekker, Inc., New York, 2004. 

  2. C. Creton,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A Comprehensive Treatment, VCH, Weinheim, 1997. 

  3. W. H. Shecut and H. H. Day, U.S. Patent 3,965 (1845). 

  4. I. W. Levine, U.S. Patent 1,537 (1926). 

  5. H. S. Park, Polymer(Korea), 16, 693 (1992). 

  6. J. S. Bae, E. K. Park, H. S. Park, and M. S. Pyun, Polymer(Korea), 17, 203 (1993). 

  7. R. Mehnert, A. Pincus, I. Janorsky, R. Stowe, and A. Berejka, UV & EB Curing Technology & Equipment,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8. 

  8. T. Kauffman, Adhesives Age, Sep., s8 (1999). 

  9. M. Okido, Adhesion, 43, 23 (1999). 

  10. T. Doba, J. Adh. Soc. Jap., 35, 521 (1999). 

  11. K. Kimura, J. Adh. Soc. Jap., 35, 323 (1999). 

  12. M. Nakazawa, J. Adh. Soc. Jap., 36, 28 (2000). 

  13. S.-S. Baek, S. W. Lee, and S.-H. Hwang, Polymer(Korea), 37, 121 (2013). 

  14. I. B. Kim and M. C. Lee, Korean Chem. Eng. Res., 46, 76 (2008). 

  15. T. Fukuda, Y.-D. Ma, and H. Inagaki, Macromolecules, 18, 17 (1985). 

  16. Q. You, J. Wang, Y. Eng, X. Shu, Q. Ou, X. Xu, and K. Shen, Plasma Sci. Technol., 8, 433 (2006). 

  17. Y. Liu, J. C. Haley, K. Deng, W. Lau, and M. A. Winnik, Macromolecules, 40, 6422 (2007). 

  18. C. Plessis, G. Arzamendi, J. R. Leiza, J. M. Alberdi, H. A. S. Schoonbrood, D. Charmot, and J. M. Asua,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9, 1106 (2001). 

  19. L. Li, M. Tirrell, G. R. Korba, and A. Poclus, J. Adhes., 76, 307 (2001). 

  20. S. M. Taghizadeh and D. Ghasemi, J. Appl. Polym. Sci., 120, 411 (2011). 

  21. K. Yatho and K. Dodou, Int. J. Pharm., 24, 333 (2007). 

  22. J. Lim, UV/EB Curable Polymeric Materials, Korean Studies Information, Paju, 2009. 

  23. R. Seighi, E. Hewlett, and J. Kim, J. Dent. Res., 68, 1760 (1989). 

  24. M. Gross and J. Moser, J. Oral Rehab., 4, 311 (19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