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섬유근통 환자에 대한 Milnacipran과 Pregabalin 약물치료에 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의 후속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Medication Effects between Milnacipran and Pregabalin in Fibromyalgia Syndrome Using a Functional MRI: a Follow-up Study 원문보기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18 no.4, 2014년, pp.341 - 351  

강민재 (인제대학교 융합의과학과) ,  문치웅 (인제대학교 융합의과학과) ,  이영호 (성균관대학교 기초 과학연구원 뇌과학이미징연구단) ,  김성호 (인제대학교 해운대 백병원 류마티스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섬유근통 증후군의 치료에 주로 쓰이는 두 계열의 약물인 Milnacipran (이하 MLN)과 Pregabalin (이하 PGB)의 환자 투여에 따른 약물 치료 효과를 뇌 활성도 변화의 비교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섬유근통 증후군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20명의 환자 중 약물 치료 군에 따라 MLN 치료군 10명과 PGB 치료군 7명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군은 섬유근통 증후군 이외의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정신건강 의학과적 평가를 통해 선별된 후 섬유근통 진단을 위한 임상적 평가가 진행 되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촬영 시 엄지손가락에 블록 형태의 압통 자극을 가해 주었고 영상은 약물 치료 전과 약물 치료 후에 각각 획득하였다. 영상 획득 후 일련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약물 치료 전후의 자기공명 혈중산소치의존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이하 BOLD) 신호 비교를 위한 대응표본 t-검정과 두 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 결과 : 임상적 평가에 있어 약물 치료 전에는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 후 전신통증지수 (Widespread Pain Index, WPI)와 대상자 스스로 피로도를 평가하는 검사 (Brief Fatigue Inventory, BFI)에서 PGB군에 유의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기능적 영상 분석에 있어 약물 치료 후의 영상 비교 결과 앞 띠이랑과 대뇌섬을 포함한 영역에서 PGB군이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또한 약물 치료 전후 효과 비교에서는 MLN군에서 대뇌섬, 시상을 포함한 영역에서 치료 후 BOLD 신호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지만 PGB군에서는 MLN에 비해 감소된 영역의 수와 크기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결론 : 전체 결과에서 두 치료군 모두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임상적 평가와 기능적 영상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두 약물 치료 기전과 세부 치료 목적이 다르고, 전체 환자 수의 부족으로 인한 임상적 평가와의 낮은 상관관계에 의한 영향으로 보이며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면 두 약물 간의 정확한 치료 효과 비교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In this study, the medication effects of Milnacipran and Pregabalin, as well known as fibromyalgia treatment medicine, in fibromyalgia syndrome patients were compared through the change of BOLD signal in pain related functional MRI.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ibromyalgia syndrome 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항우울제 계통의 약물인 MLN과 항경련제 계열 약물인 PGB의 약물 치료 전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두 가지 약물이 그 목적이 다르고 약물의 치료 기전도 다른 만큼 두 약물 치료에 대한 전후 효과 또한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유근통 증후군의 임상적인 지표를 통한 진단은 어떤것들을 사용하는가? 이러한 섬유근통 증후군의 임상적 진단을 위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존재하는 18개의 압통점 (Tender point)에 대한 통증 인지 평가를 통해 섬유근통 증후군의 기초적인 진단을 진행하고 있다 (6). 이와 더불어 임상적인 지표를 통한 진단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데 전신통증지수 (Widespread Pain Index, WPI), 증상평가측도 (Symptom Severity Scale, SSS), 섬유근통진단설문 (Fibromyalgia Index Questionnaire, FIQ), 그리고 통증에 대한 척도를 나타내는 시각적 통증척도 (Visual Analogue Scale, VAS)와 같은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5). 또한 영상장치의 발전으로 인해 이를 이용한 사람의 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이미 치매나 파키슨씨 병 같은 경우는 진단에 있어서 영상장치의 역할이 크다고 할수 있다.
섬유근통 증후군이란? 섬유근통 증후군 (Fibromyalgia syndrome, FMS)은 중∙장년층 여성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의한 종류이다 (1, 2). 섬유근통의 증상으로는 대표적으로 만성적인 통증 (Chronic pain)과 무해자극에 대한 통증 (Allodynia)이 나타나고 이로 인한 우울증, 만성피로, 수면 장애, 관절 경직 등 종합적인 증상을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3, 4).
섬유근통의 증상은? 섬유근통 증후군 (Fibromyalgia syndrome, FMS)은 중∙장년층 여성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의한 종류이다 (1, 2). 섬유근통의 증상으로는 대표적으로 만성적인 통증 (Chronic pain)과 무해자극에 대한 통증 (Allodynia)이 나타나고 이로 인한 우울증, 만성피로, 수면 장애, 관절 경직 등 종합적인 증상을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3, 4). 이러한 섬유근통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를 통해 섬유근통 증후군의 중요 원인으로 심리학적, 유전적, 신경생물학적 그리고 환경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나타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Wolfe F. Fibromyalgia. Rheum Dis Clin North Am 1990;16: 681-698 

  2. Wolfe F, Ross K, Anderson J, Russell IJ, Hebert L.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fibromyalgia in the general population. Arthritis Rheum 1995;38:19-28 

  3. Mease P. Fibromyalgia syndrome: review of clinical presentation, pathogenesis, outcome measures, and treatment. J Rheumatol Suppl 2005;75:6-21 

  4. Wolfe F, Smythe HA, Yunus MB, et al.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1990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Fibromyalgia. Report of the Multicenter Criteria Committee. Arthritis Rheum 1990;33:160-172 

  5. Geenen R, Jacobs JW. Fibromyalgia: diagnosis, pathogenesis, and treatment. Curr Opin Anaesthesiol 2001;14:533-539 

  6. Gracely RH, Geisser ME, Gieseck, et al. Pain catastrophizing and neural responses to pain among persons with fibromyalgia. Brain 2004;127:835-843 

  7. Kuchinad A, Schweinhardt P, Seminowicz DA, Wood PB, Chizh BA, Bushnell MC. Accelerated brain gray matter loss in fibromyalgia patients: premature aging of the brain? J Neurosci 2007;27:4004-4007 

  8. Robinson ME, Craggs JG, Price DD, Perlstein WM, Staud R. Gray matter volumes of pain-related brain areas are decreased in fibromyalgia syndrome. J Pain 2011;12:436-443 

  9. Schmidt-Wilcke T, Leinisch E, Straube A, et al. Gray matter decrease in patients with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Neurology 2005;65:1483-1486 

  10. D'Esposito M, Detre JA, Aguirre GK, et al. A functional MRI study of mental image generation. Neuropsychologia 1997;35: 725-730 

  11. Logothetis NK, Pauls J, Augath M, Trinath T, Oeltermann A. Neurophys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basis of the fMRI signal. Nature 2001;412:150-157 

  12. Gracely RH, Petzke F, Wolf JM, Clauw DJ.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evidence of augmented pain processing in fibromyalgia. Arthritis Rheum 2002;46:1333-1343 

  13. Apkarian AV, Bushnell MC, Treede RD, Zubieta JK. Human brain mechanisms of pain perception and regulation in health and disease. Eur J Pain 2005;9:463-484 

  14. Williams DA. Psychological and behavioural therapies in fibromyalgia and related syndromes.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003;17:649-665 

  15. Hauser W, Bernardy K, Uceyler N, Sommer C. Treatment of fibromyalgia syndrome with antidepressants: a meta-analysis. JAMA 2009;301:198-209 

  16. Uceyler N, Sommer C, Walitt B, Hauser W. Anticonvulsants for fibromyalgi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10: CD010782 

  17. Kim SH, Lee Y, Lee S, Mun CW.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regabalin in alleviating pain associated with fibromyalgia: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PLoS One 2013;8: e74099 

  18. RH Gracely, DM Kwilosz. The Descriptor Differential Scale: applying psychophysical principles to clinical pain assessment. Pain 1988;35:279-288 

  19. Hedberg TG, Stanton PK. Long-term potentiation and depression of synaptic transmission in rat posterior cingulate cortex. Brain Res 1995;670:181-196 

  20. Beauregard M, Leroux JM, Bergman, et al.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major depression: an fMRI study using an emotional activation paradigm. Neuroreport 1998;9:3253-3258 

  21. Raichle NE, MacLeod AM, Snyder Az, Powers WJ, Gusnard DA, Shulman GL. A default mode of brain function. Proc Natl Acad Sci U S A 2001;98:676-6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