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상용 채소류의 식이섬유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1, 2014년, pp.28 - 41  

계수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생명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이섬유가 인체 내에서 나타내는 중요한 생리 기능은 각 구성 성분들의 함량과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채소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각 성분들의 함량을 분별 측정하고, 열처리 시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채소의 총 펙틴 함량은 건조물 기준으로 0.89~2.75 g/100 g의 범위였으며, 대부분 1~2 g/100 g 수준이었다. 펙틴의 각 분획 별 함량의 경우, 열수 가용성 펙틴 함량은 0.33~0.98 g/100 g, 인산 가용성 펙틴 함량은 0.29~0.81 g/100 g의 범위였고, 염산 가용성 펙틴 함량은 0.30~1.40 g/100 g의 범위로 세 가지 펙틴 분획 중에서 채소 종류에 따른 변이가 가장 컸다. 이상의 세 가지 펙틴 분획의 비율은 각 채소에서 대략 비슷한 수준이었다. 각종 채소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건물 기준으로 총 불용성 식이섬유인 Neutral detergent fiber(NDF)는 11.8~31.9%, Acid detergent fiber(ADF)는 10.9~25.4%, cellulose는 8.8~23.8%, hemicellulose는 0.6~10.6%, lignin는 1.0~5.2% 범위였으며, 특히 고추류에서 총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Cellulose는 총 불용성 식이섬유인 NDF의 63% 정도를 차지하여 본 실험에 사용된 채소들의 경우, 불용성 식이섬유의 대부분이 cellul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열 방법에 따른 펙틴 함량의 변화에 있어서, 총 펙틴 함량은 가열 처리 시 원료 시료에 비해 감소했으며, boiling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펙틴의 세 분획 중 열수 가용성 펙틴(HWSP) 함량은 증가했고, 비수용성 펙틴인 인산 가용성 펙틴(HXSP)과 염산 가용성 펙틴(HCLSP) 함량은 감소했다. 가열 처리에 의한 NDF, ADF, cellulose 함량의 변화는 원래 시료보다 증가했으며, 이들 성분들의 변화는 cellulose의 함량 변화에 기인했다. 그러나 hemicellulose와 lignin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20~7.11% 범위였으며, 마늘, 우엉, 고추잎 등에서 높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의 대부분이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 식이섬유/조섬유 비율은 1.32~4.00으로 붉은 고추가 가장 낮고, 상치가 가장 높았으나, 채소 종류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inctive physiological effect of dietary fiber in the body were studied according to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fiber component. In the present study, the composition of fiber in vegetables was investigated, and the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fiber content was studied. Cont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다양한 채소들의 식이섬유 각 분획별 함량 정보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더욱이 식품은 가열 섭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열처리 시 식이섬유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채소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각 성분들의 함량과 열처리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여, 추후 생리 기능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식이섬유가 인체 내에서 나타내는 중요한 생리 기능은 각 구성 성분들의 함량과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채소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각 성분들의 함량을 분별 측정하고, 열처리 시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섬유가 체내에서 나타내는 생리 기능은 어떤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식이섬유가 체내에서 나타내는 생리 기능은 여러 가지 세포벽 구성 성분들 각각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Schneeman BO 1987, Parrott & Thrall 1978).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은 보습력을 지니므로 변의 용적을 증가시키고, 발암 물질을 희석시켜 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변비 예방과 대장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펙틴은 담즙산과 결합함으로써 혈청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다(Schneeman BO 1986, Kendall et al 2010).
펙틴은 체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가? 식이섬유가 체내에서 나타내는 생리 기능은 여러 가지 세포벽 구성 성분들 각각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Schneeman BO 1987, Parrott & Thrall 1978).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은 보습력을 지니므로 변의 용적을 증가시키고, 발암 물질을 희석시켜 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변비 예방과 대장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펙틴은 담즙산과 결합함으로써 혈청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다(Schneeman BO 1986, Kendall et al 2010). 한편, 불용성 식이섬유(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는 철분, 구리,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과 결합하는데(Lee & Garcia-Lopez 1985),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고 식이섬유를 섭취한 사람의 경우, 이들 무기질의 배출이 증가하여 무기질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Drews et al 1979).
세포벽 구성 성분 중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작용은? 식이섬유가 체내에서 나타내는 생리 기능은 여러 가지 세포벽 구성 성분들 각각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Schneeman BO 1987, Parrott & Thrall 1978).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은 보습력을 지니므로 변의 용적을 증가시키고, 발암 물질을 희석시켜 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변비 예방과 대장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펙틴은 담즙산과 결합함으로써 혈청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다(Schneeman BO 1986, Kendall et al 2010). 한편, 불용성 식이섬유(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는 철분, 구리,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과 결합하는데(Lee & Garcia-Lopez 1985),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고 식이섬유를 섭취한 사람의 경우, 이들 무기질의 배출이 증가하여 무기질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Drews et al 19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보건복지부 (2008) 국민 건강 영양조사 제 4기 2차보도 p 24.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82-781. 

  3. Albersheim P, Neukom H, Deuel H (1960) Splitting of pectin chain molecules in neutral solution. Arch Biochem Biophys 90: 46-53. 

  4. Cha HS, Hong Si, Chung MS (2003) Changes in mineral and pectic substancs of Korean mature-green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packed in plastic films with gas absorben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49-154. 

  5. Concepcion VV, Herranz J, Blanco I, Enrique RH (1982) Dietary fiber in spanish fruits. J Food Sci 47: 1840. 

  6. Drews LM, Kies C, Fox HM (1979) Effect of dietary fiber on copper, zinc and magnesium utilization by adolescent boys. Am J Clin Nutr 32: 1893-1897. 

  7. Herranz J, Concepcion VV, Enrique RH (1981)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content of raw and cooked spanish vegetable. J Food Sci 46: 1927. 

  8. Johnston DE, Kelly D, Dorrian PP (1983) Losses of pectic substances during cooking and the effect of water hardness. J Sci Food Agric 34: 733. 

  9. Kang MJ, Koh KS, Koh JS (2000) Changes in pectin of satsuma mandarin during ripening and storag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38-43. 

  10. Kendall CWC, Esfahani A, Jenkins DJA (2010) The link between dietary fibre and human health. Food Hydrocolloid 24: 42-48. 

  11. Kertesz LI (1951) The Pectic Substances. Interscience Publishers, Inc., New York. pp 150-160. 

  12. Kim YK, Lee GC (1999) Contents of pectin substance and minerals and textural properties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5: 258-263. 

  13. Lee K, Garcia-Lopez JS (1985) Iron, zinc, copper and magnesium binding by cooked pinto bean neutral and acid detergent fiber. J Food Sci 50: 651. 

  14. Lee KS, Lee SR (1987)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 in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317-323. 

  15. Lee KS, Lee SR (1993)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in Korean vegetable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25-231. 

  16. Liu W, Ko KH, Kim HR, Kim IC (2012) The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Chinese cabbage waste on plasma lipid profiles in rates f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 Nutr 41: 33-40. 

  17. McComb EA, McCready RM (1952)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pectic substances. Analytical Chemistry 24: 1630. 

  18. McQueen RE, Nicholson JWG (1979) Modification of the neutral detergent fiber procedure for cereals and vegetables by using $\alpha$ -amylase. J Assoc Off Anal Chem 62: 676. 

  19. Park KY, Ha JD, Rhee SH (1996)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69-75. 

  20. Parrott ME, Thrall BE (1978) Functional propertise of various fibers: Physical properties. J Food Sci 43: 759-765. 

  21. Reistad R, Frolich W (1984) Content and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in some fresh and cooked Norwegian vegetables. Food Chem 13: 209. 

  22. Samuel K(1968) Pectic substances of dry beans and their possible correlation with cooking time. J Food Sci 33: 438. 

  23. Saunders RM, Hautala E (1979) In "Dietary Fiber : Chemistry and Nutrition". Inglett, G. E., Falkehang, S. I.,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 79. 

  24. Schneeman BO (1986)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method of analysis, andphysiological effects. Food Technol 40: 104. 

  25. Schneeman BO (1987) Soluble vs insoluble fiber-different psysiological responses. Food Technol 41: 81. 

  26. Simpson JI, Halliday EG (1941) Chem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of the disintegration of cellmembrance materials in vegetables during cooking. Food Research 6: 189-195. 

  27. Slavin JL (2001) Dietary fiber and colon cancer. In Handbook of Dietary Fiber, Cho SS, Dreber ML.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pp 31-45. 

  28. Sub HJ, Yoon HS (1989) Quantative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Nutr 18: 403-409. 

  29. Van Soest PJ, Wine RH (1967) Use of detergents in the analysis of fibrous feeds. IV. Determination of plant cell-wall constituents. J Assoc Off Anal Chem 50: 50-5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