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Assets and liabilities in single-parent households: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8 no.1, 2014년, pp.93 - 114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assets and debts that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have in comparison to married-couple households. Toward this end, a series of analyses of data from the 2011 Korean Household Finance Survey on the assets and deb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are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대다수 연구는 어떤 관점에서 진행되는가? 6%인 것과 비교하면(보건복지부, 2013),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들은 대다수가 빈곤의 여성화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즉 대부분의 한부모 가구의 가구주는 여성이며 이혼이나 사별로 인한 한부모 가족으로 전이하는 시기에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은 급격한 소득 감소를 경험하게 되어 빈곤에 쉽게 노출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경제적 취약계층에게도 자산이 중요한 의미인 이유는? 자산은 경제적 취약계층에게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경제적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자산의 의미도 중요하지만, 자산의 보유가 가져오는 부수적인 긍정적 효과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한 가계가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일정한 경제적 가치의 실물자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한부모 가구 통계는? 최근 10년 간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한부모 가구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2010년 인구 주택총조사와 2005-2030 장래가구추계를 분석한 통계청(2013)에 따르면 2012년을 기준으로 전체 가구의 약 9.3%인 1,677천 가구가 한부모 가구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이 되는 저소득 한부모 가구가 217천 가구로 전체 한부모 가구의 약 13%를 차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기정.박수선(2013).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39-62. 

  2. 고은주.김진욱(2009). 한부모 가구의 빈곤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2), 219-236. 

  3. 곽민주.이희숙(2003). 재무비율을 이용한 편모 가계의 재정상태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4(1), 55-71. 

  4. 김미숙.박민정.이상헌.홍석표(2000). 저소득편부모 가족의 생활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미숙.원영희.이현송.장혜정(2005).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가족 지원정책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승권.이태진.김유경.송수진(2001). 최근 가족해체의 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우영.김현정(2010).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국제경제연구, 26(1), 39-78. 

  8. 김진욱(2010). 한부모 가구의 빈곤과 소득이 전: 양부모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1), 101-125. 

  9. 김학주(2005). 소득계층별 가계의 부채부담 연구. 사회보장연구, 21(1), 119-147. 

  10. 노정자.강기정(2012). 한부모 이혼 남성의 홀로서기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45-163. 

  11. 배다영.진미정(2011). 한부모의 성별 및 가구 구성별 경제적 여건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5), 1-20. 

  12. 백은영(2012). 가계의 부채부담 및 부채문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비교분석. 소비문화연구, 15(3), 119-137. 

  13. 보건복지부(2013). 2012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보건복지부. 

  14. 서지원(2013).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자원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03-124. 

  15. 손진분.박미려(2007). 한부모 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45-65. 

  16. 성영애(2006).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채변동 관련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17(4), 39-60. 

  17. 옥선화.성미애(2004). 빈곤 여성가장의 삶. 서울 : 도서출판 하우. 

  18. 윤소영(2013). 한부모가족의 사간사용과 여가 활동 실태분석-행복한 생활을 위한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18. 

  19. 이성림(2004).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69-179. 

  20. 이연주.김승권(2011).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편부.편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비교: 이혼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2), 17-43. 

  21. 조영희(2004). 한부모가족 부.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39-151. 

  22. 조희금 외(2010). 건강가정론. 서울 : 신정. 

  23. 진미정.김은정(2005).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사회복지연구, 27, 163-188. 

  24. 통계청(2013). 한부모 가족 현황. e-나라지표. 

  25. 홍백의.김혜연(2007). 빈곤의 여성화: 경향 및 원인. 한국사회복지학, 59, 125-146. 

  26. Baek, E. & Hong, G.(2004). Effects of family life-cycle stages on consumer debt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5(3), 359-385. 

  27. Baker, L. & Mutchler, J.(2010). Poverty and material hardship in grandparent-headed househol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 947-962. 

  28. Dynan, K., Skinner, J. & Zeldes, S.(2000). Do the rich save more?(No. 7906).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9. Han, W., Huang, C. & Garfinkel, I.(2003). The importance of family structure and family income on family's educational expenditure and children's college attendance: Empirical evidence from Taiwan. Journal of Family Issues, 24(6), 753-786. 

  30. Hanson, T., McLanahan, S. & Thomson, E. (1998). Windows on divorce: Before and after. Social Science Research, 27, 329-349. 

  31. Keister, L. A.(2000). Race and wealth inequality: The impact of racial differences in asset ownership on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wealth. Social Science Research, 29, 477-502. 

  32. Land, K.(1996). Wealth accumulation across the adults life course: Stability and change in sociodemographic covariate structures of net worth data in the survey of income and program participation, 1984-1999. Social Science Research, 25, 426-462. 

  33. Ozawa, M. & Lee, Y.(2006). The net worth of female-headed households: A comparison to other types of households. Family Relations, 55, 132-145. 

  34. Rothwell, D. & Han, C.(2010).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s and family stress among low-income families. Family Relations, 59, 396-407. 

  35. Sherraden, M.(1991). Assets and the poor: a new American welfare policy. Armonk, NY: M.E. Sharp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