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 전개에서의 클로즈업 쇼트의 연출 효과 -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Directional effects of close-up shot in Development of Narrative - Focusing on Animation -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5 no.1, 2014년, pp.53 - 60  

이태구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화든 애니메이션이든 영상의 프레임에 담긴 쇼트들은 상당히 가변적이지만 클로즈업은 피사체에서 보여 지는 의미들을 부각시킨다.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은 배우의 연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애니메이션은 감독 및 애니메이터가 창조한 캐릭터의 연기를 대신하고 있어 클로즈업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내러티브에서 특별한 의미로 기능하는 클로즈업의 연출적 효과들을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클로즈업의 다양한 연출 효과들 중에서도 내러티브의 자연스러운 흐름과 관객의 감정이입으로 몰입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를 중심으로 하였다. 내러티브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로 서술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였으며, 캐릭터의 내면적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관객의 감정이입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로 심리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극적인 효과를 창출하여 극의 몰입을 유도하는 상징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에서의 클로즈업 연출이 내러티브 전개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if shots in frames may be variable in both movies and animations, close-up reveals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in the focus. Because directors and animators take the place the actor as character in animation while performance of act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lose-up in the movi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또한 실사영화의 이론적 근거에 바탕을 두고 영화의 특성이 강한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영상문법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지만 배우의 연기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실사영화에 비해 캐릭터를 창조하고 연기를 하여야 하는 감독의 연출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으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 이러한 분류를 토대로 내러티브에 따른 클로즈업의 연출효과를 로 정리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 그가 구분한 클로즈업의 기능은 영상에서의 카메라 앵글에 의한 피사체와 수용자 간의 거리감 축소와 관객의 주의 집중력을 높이는 역할에 충실한 것으로, 화면 내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들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관객에게 풍부한 정서를 제공하는 미장센(mise en scen e)**의 연출적 요소로만 구분하고 있어 클로즈업의 연출적 기능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장센에서의 클로즈업의 기능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내러티브 전개에서의 클로즈업 쇼트의 연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특히 클로즈업 쇼트는 감독의 연출적 의도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 연출적 기능으로써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클로즈업의 연출적 효과들이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전개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에서 카메라 쇼트의 역할은? 영화에서의 카메라 쇼트는 서사구조에 필요한 장면을 구성하여 이야기를 전달하고 관객의 상상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를 창조한다. 또한 영화의 매체적 특성은 제작방식에 따라 카메라 쇼트의 기능도 차별적으로 연출되어 지고 있다.
카메라 쇼트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도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쇼트는? 이러한 카메라 쇼트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도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쇼트로 클로즈업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클로즈업은 대상의 내면적 의미를 읽어내는 쇼트로써 내러티브 전개에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는 쇼트로 기능할 수도 있다[3].
카메라 쇼트 이해에 대한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의 차이점은? 클로즈업 쇼트(Close-up shot)와 롱 쇼트(Long shot)에서의 배우의 연기 방식은 다를 수밖에 없다[2]. 따라서 실사영화에서 배우는 다양한 쇼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기에 집중하여야 한다. 반면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감독 및 애니메이터가 배우를 창조하여 연기를 하게 되므로 감독 및 애니메이터가 다양한 쇼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 Kim, A Study on Acting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Dankook University, p.26, 2012. 

  2. K. Bang, Symbolism of close-ups in films : Case study on Myung Se Lee's and , Hongik University, p.15, 2006. 

  3. B. Son, The Features of Close-Ups in Realism Films-Focusing on and , Cineforum Vol14호, p.140, 2012. 

  4. Y. Lee, Analysis of Movie Production by Camera Movement-focusing on suspense , Digital design Vol,33, p.494, 2012. 

  5. Dick, Bernard F., Anatomy of film, Visual and language, p.31-32, 1996. 

  6. K. Kim. What is semiotics?, Seoul, p.261, 1994. 

  7. S. Choi, Speaking of image, Visual and language, p.34, 2001. 

  8. Balazs, Bela, Theory of the Film . Visual and language. p.63, 2003. 

  9. W. Choi,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Close-up Image Technique in Television Media, Kyungil University, p.16, 2003. 

  10. D. Lee, Analytic study on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feature-length animated films, Hongik University, p.1, 2009. 

  11. J. Kim, A Study on the Narration Structure and Scene Composition in Animation : Centering the Animation of Walt Disney, Jungang, p.15, 2007. 

  12. Mckee, Robert,, Story, Seoul, p.54,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