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나타요해>에서의 롱 테이크 장면 연구 : 감정반응을 중심으로
A Study on Long-take in Animation : Focused on Emotional Respon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126 - 137  

우잉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장욱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수한 애니메이션 영화의 생명력과 매력은 관객에게 제공되는 미학적, 정서적 공감대 형성과 장면의 구도, 그 중에서도 어떻게 롱 테이크샷을 유연하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이를 통해 애니메이션과 관객 사이에 진정한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롱 테이크의 정적 레이아웃과 동적 레이아웃의 화면 특징 및 차이점을 연구하고, 관객이 애니메이션을 관람한 후에 느끼는 감정에 대해 연구한 감정반응 이론의 다양한 사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편 애니메이션 '나타요해'의 장면 분석과 함께 애니메이션을 감상한 관객이 만들어내는 감정의 변화를 살펴본다. 논문의 말미에는 애니메이션에서 롱 테이크와 애니메이션 제작자 간 정서적 체험 관계와 애니메이션 롱 테이크가 어떻게 관객의 미적 감각과 감정 체험을 자극하는지 정리했다. 이를 통해 제작자들이 향후 애니메이션 연구에 참고가 되어 관객에게 양질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ther an excellent animation film has vitality and charm largely depends on the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 it brings to the audience, as well as the flexible use of the medium-long shot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animated film, especially the long take shot. It can then realize the real ...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롱 테이크 장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롱테이크의 정적, 동적 레이아웃의 화면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차이점, 이에 따른 관객의 감정반응을 이론화하고 이를 표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관객이 체험하는 감정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이후 애니메이션 창작에서 롱 테이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 Westcott, "An overview of the global animation industry," Creative industries journal, Vol.3, No.3, pp.253-259, 2011. 

  2. H. K. Lee, "Introduction: Animation industry at a crossroads," Creative Industries Journal, Vol.3, No.3, pp.183-187, 2011. 

  3. K. K. Fan and T. T. Feng,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Animation Industry," Sustainability, Vol.13, No.13, p.7235, 2021. 

  4. 레이하오린, 롱 테이크는 영화의 본체 언어, 와다사범전문학교 학보, pp.225-226, 2009. 

  5. 류하오보, 아바스영화관과 긴렌즈 미학, 영화소개, pp.15-16, 2007. 

  6. https://zh.wikipedia.org/wiki/%E9%95%BF%E9%95%9C%E5%A4%B4 

  7. K. Lutz, The long take: Art cinema and the wondrous, U of Minnesota Press, 2017. 

  8. L. Gao, Enrichment and Development of Film Aesthetics by Digital Long Tak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Language, Art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CELAIC-14). Atlantis Press, 2014. 

  9. H. Yanxiang and J. Moo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Long Take in An Elephant Sitting Still,"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6, No.1, pp.45-49, 2009. 

  10. 악정아, "애니메이션속의 움직임과정," 대중문예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pp.42-47, 2011. 

  11. 심은진, 영화의 롱 테이크와 상호매체성, 현대영화연구출판사, pp.55-74, 2019. 

  12. 정지에, "왕가위 영화에서 롱 테이크의 미학적 의미," 중국해양대학교논문지, 제9권, 제1호, pp.93-95, 2016. 

  13. 한쉬, 영상애니메이션 시청각 언어, 전자공업출판사, p.144, 2018. 

  14. 헤겔, 애니메이션 미학, 비즈니스인서관, pp.89-91, 1979. 

  15. https://zh.wikipedia.org/zh-hans/%E5%93%AA%E5%90%92%E9%97%B9%E6%B5%B7 

  16. 장약남, 중국 전통문화 및 현대 애니메이션창작, 산둥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pp.62-64, 2009. 

  17. 레프톨스토이, 애니메이션 예술론, 인민문학출판사, p.46, 1958. 

  18. 위경전, CG특효렌즈의 전통적인 롱 테이크 해석과 추월, 영화평개, p.16, 2009. 

  19. Amidi, The Art of Pixar: 25th Anniversary: The Complete Color Scripts and Select Art from 25 Years of Animation, Chronicle Books, 2015. 

  20. A. Frambrosi, Spirit: Stallion of the Cimarron: di Kelly Asbury e Lorna Cook, Cineforum, pp.35-35, 2002. 

  21. 반지상, 카메라의 이동미학, 정주출판사, 2002. 

  22. 이강석, "라깡의 시지각 예술이론에 의한 영화의 롱 테이크 기법과 건축공간의 연속성 비교,"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지, 제26권, 제6호, pp.81-86, 2017. 

  23. 최효식, 애니메이션 감독 구미 산동 사범대학의 예술적 언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4. 진필훈,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정지 영상의 추출 6mm Digital Video Camera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5. 고현욱, "핸드헬드와 스테디캠을 이용한 롱테이크 촬영 기법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제18권, 제1호, pp.67-72, 2014. 

  26. Morgan, Daniel, Max Ophuls and the limits of virtuosity: On the aesthetics and ethics of camera movement, Critical Inquiry, pp.127-163, 2011. 

  27. 이윤정, 김해태, "영화의 카메라 움직임에 따른 표현 분석 서스펜스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91-501, 2012. 

  28. C. Ying, "Dynamic manga: Animating still manga via camera movement," IEEE Transactions on Multimedia, Vol.19, No.1, pp.160-172, 2016. 

  29. 전양준, "압운의 장면들, 그리고 롱 테이크의 미학적 모험," 한국영화학회논문지, 제6호, pp.56-58, 1989. 

  30. 김광환, " 에 나타난 정서표현의 시각이미지 분석,"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논문지, 제15권, pp.73-75, 2009. 

  31. 김영준, 민대진, " 의 롱테이크 기법 분석,"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제13권, pp.131-151,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