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기와 선박의 PSO 표적탐지 결과에 공간해상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atial Resolution on PSO Target Detection Results of Airplane and Ship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1, 2014년, pp.23 - 29  

염준호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병희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용일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등장과 공간분해능의 발전은 위성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들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 중에서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표적 탐지 기술은 광범위한 지역의 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탐지를 가능하게 하여 교통류 모델링, 군사적 목적의 감시 정찰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최근 다양한 국가에서 여러 위성을 발사함에 따라 위성영상 선택의 폭이 증가하였으나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공간해상도 비교 연구는 많지 않으며 더욱이 표적 탐지에 미치는 공간 해상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로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SO 기반의 표적 탐지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해상도가 항공기 및 선박 표적 탐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원영상에 대한 재배열 보간 기법을 통해 0.5m, 1m, 2m, 4m의 다양한 공간해상도의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이때 최근린보간, 양선형보간, 3차회선보간과 같이 다양한 재배열 보간 기법을 적용하였다. 표적 탐지 정확도는 공간해상도 뿐만 아니라 보간 기법에 따라 비교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0.5m의 고해상도 영상에서 그리고 최근린보간 기법을 이용한 재배열 영상에서 더 높은 표적 탐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0% 이상의 표적 탐지 정확도를 얻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경우 2m, 선박의 경우 4m 이상의 영상이 필요하며 항공기의 형태적 특이성은 더 높은 공간 해상력을 필요로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기 및 선박 표적 탐지에 적합한 적정 공간분해능을 제안하고 위성 센서 설계의 기준을 제시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mergence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the evolution of spatial resolution facilitate various studie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bove all, target detection algorithms are effective for monitoring of traffic flow and military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because vehi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im et al.(2013)이 제안한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기반의 표적 탐지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해상도가 항공기 및 선박 탐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원영상의 재배열 보간 기법을 통해 0.
  • 0.5m의 전정색 영상을 1m, 2m, 4m로 재배열하여 저해상도 영상을 생성하였으며 최근린보간, 양선형보간, 3차회선보간 기법을 이용하였다. 히스토그램 기반영상 임계화 기법인 PSO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하여 양선형보간 기법은 정수화, 3차회선 보간 기법은 정수화 및 8비트화 작업이 수행되었다.
  • 이 후 영상 분할을 통해 나지, 활주로, 수계와 같은 배경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배경 영상의 홀(hole)을 채운 후 다섯 화소 버퍼링(buffering)을 적용하였다. 이 후 표적후보군과의 포함관계를 계산하고 배경 영상에 포함되지 않는 표적 후보군 객체를 제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S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10개의 그룹으로 임계화하고 항공기와 선박이 해당하는 공통 그룹을 표적후보군으로 정하였다. 이 후 영상 분할을 통해 나지, 활주로, 수계와 같은 배경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 영상 재배열 과정에서는 전정색(panchromatic) 원영상을 1m, 2m, 4m로 변환하며 이때 대표적인 재배열 기법인 최근린보간, 양선형보간, 3차회선보간 기법을 적용하였다. 양선형보간과 3차회선보간의 경우 재배열된 화소값이 인접 원영상 화소값의 가중치 평균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정수로 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3차회선보간은 거리 가중치 함수값에 따라 8비트 표현 범위를 넘게 되므로 영상을 선형 평활화(linear stretch)하였다. 이 후 3가지 보간 기법과 3종류의 해상도에 따라 표적 탐지를 수행하였다.
  • 1). 영상 재배열 과정에서는 전정색(panchromatic) 원영상을 1m, 2m, 4m로 변환하며 이때 대표적인 재배열 기법인 최근린보간, 양선형보간, 3차회선보간 기법을 적용하였다. 양선형보간과 3차회선보간의 경우 재배열된 화소값이 인접 원영상 화소값의 가중치 평균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정수로 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3차회선보간은 거리 가중치 함수값에 따라 8비트 표현 범위를 넘게 되므로 영상을 선형 평활화(linear stretch)하였다.
  • (2013)이 제안한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기반의 표적 탐지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해상도가 항공기 및 선박 탐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원영상의 재배열 보간 기법을 통해 0.5m, 1m, 2m, 4m의 다양한 공간해상도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이때 최근린보간(nearest neighbor), 양선형보간(bilinear), 3차회선보간(cubic convolution)과 같이 다양한 재배열 보간 기법을 적용하여 보간 기법에 따른 표적 탐지 정확도 또한 분석하였다.
  • 양선형보간과 3차회선보간의 경우 재배열된 화소값이 인접 원영상 화소값의 가중치 평균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정수로 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3차회선보간은 거리 가중치 함수값에 따라 8비트 표현 범위를 넘게 되므로 영상을 선형 평활화(linear stretch)하였다. 이 후 3가지 보간 기법과 3종류의 해상도에 따라 표적 탐지를 수행하였다. 표적 탐지는 PS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임계화하는 과정, 표적이 존재할 수 있는 균질한 배경을 추출하는 과정, 공간 인자의 특성에 따라 이상 개체(outlier)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표적을 탐지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 본 연구에서는 PS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10개의 그룹으로 임계화하고 항공기와 선박이 해당하는 공통 그룹을 표적후보군으로 정하였다. 이 후 영상 분할을 통해 나지, 활주로, 수계와 같은 배경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배경 영상의 홀(hole)을 채운 후 다섯 화소 버퍼링(buffering)을 적용하였다.
  • 유사한 연구로 Gu and Hwang(2001)은 위성영상의 공간적 축척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해안습지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Landsat TM영상의 피라미드 영상 압축 기법을 적용하여 30m 해상도부터 480m의 해상도까지 30m 간격으로 총 16가지 영상을 제작 하였다. 이 후 영상을 감독 분류하여 정확도를 분석하고 해안습지 토지 피복도의 특성변화를 비교함으로써, 해안습지의 분석에 필요한 위성영상의 적정해상도를 선정하였다. Gao and Mas(2008)는 10m 해상도를 지니는 SPOT-5 영상의 평균 필터링과 큐빅 필터링을 통해 30m, 100m, 250m의 영상을 생성하고 객체기반 분류와 화소 기반 분류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 배경 영상의 홀(hole)을 채운 후 다섯 화소 버퍼링(buffering)을 적용하였다. 이 후 표적후보군과의 포함관계를 계산하고 배경 영상에 포함되지 않는 표적 후보군 객체를 제거하였다. 최종 표적 탐지를 위해 항공기와 선박 객체의 표본 조사를 수행하고 Table 1과 같이 객체 크기, 사각형률, 장・단축 비의 공간인자들과 탐지 기준을 정하였다.
  • 그 동안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공간해상도 비교 연구는 물론 표적 탐지에 미치는 공간 해상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공간해상도와 보간 기법에 따른 표적 탐지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PSO 알고리즘과 공간 인자를 이용한 표적 탐지 연구 결과 0.
  • 전체 연구는 영상 재배열, 표적 탐지, 정확도 평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Fig. 1). 영상 재배열 과정에서는 전정색(panchromatic) 원영상을 1m, 2m, 4m로 변환하며 이때 대표적인 재배열 기법인 최근린보간, 양선형보간, 3차회선보간 기법을 적용하였다.
  • 항공기와 선박의 탐지 정확도는 영상의 공간해상도에 따라 그리고 재배열 기법에 따라 평가되었다. 최종 추출된 표적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디지타이징(digitizing)을 통한 참조지도를 구성하였으며 개체 단위로 정확도를 평가하되 그 기준은 형태적으로 구분이 가능함과 동시에 픽셀 기준으로 참조자료와 비교해 50%이상의 픽셀이 추출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정확도(precision)와 재현율(recall)은 표적 탐지 기법과 대상 개체에 따라 한 수치가 높거나 낮게 나타날 수있기 때문에 이들의 조화 평균인 F-측정치(F-measure)를 이용하여 탐지 정확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2, 식 (5)∼(7)).
  • 이 후 표적후보군과의 포함관계를 계산하고 배경 영상에 포함되지 않는 표적 후보군 객체를 제거하였다. 최종 표적 탐지를 위해 항공기와 선박 객체의 표본 조사를 수행하고 Table 1과 같이 객체 크기, 사각형률, 장・단축 비의 공간인자들과 탐지 기준을 정하였다.
  • Townshend and Justice(1988)는 글로벌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차세대 센서의 공간 해상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필요 해상도에 대한 실험적 조사를 위해 Landsat 다중분광 영상의 정규식생지수를 후보 해상도인 250m에서 4,000m로 재배열(resampling)한 후 푸리에(Fourier) 공간 분석과 스케일 분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사한 연구로 Gu and Hwang(2001)은 위성영상의 공간적 축척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해안습지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Landsat TM영상의 피라미드 영상 압축 기법을 적용하여 30m 해상도부터 480m의 해상도까지 30m 간격으로 총 16가지 영상을 제작 하였다.
  • (2004)은 자연환경이 아닌 도심지역에 대해 공간해상도가 영상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항공사진의 다중분광 밴드와 분산 텍스처 영상에 최대 우도 분류자(maximum likelihood classifier)를 적용하여 도시 토지 이용 및 토지 피복 클래스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5m의 전정색 영상을 1m, 2m, 4m로 재배열하여 저해상도 영상을 생성하였으며 최근린보간, 양선형보간, 3차회선보간 기법을 이용하였다. 히스토그램 기반영상 임계화 기법인 PSO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하여 양선형보간 기법은 정수화, 3차회선 보간 기법은 정수화 및 8비트화 작업이 수행되었다. 재배열 영상의 항구 부분을 확대하여 보면 선박 개체들이 1m 영상에서는 쉽게 구분이 가는 반면 4m 영상에서는 선박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Fig.

대상 데이터

  • 실험은 현존하는 고해상도 위성영상 중 가장 공간해상도가 높은 센서 중 하나인 Worldview-2의 영상을 이용하였다. 실험 지역은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로 2010년 1월 19일에 수집되었으며 전정색 영상의 경우 0.5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다. 해당 지역은 공항과 항구가 함께 존재하여 항공기와 선박의 탐지가 가능하다(Fig.
  • 실험은 현존하는 고해상도 위성영상 중 가장 공간해상도가 높은 센서 중 하나인 Worldview-2의 영상을 이용하였다. 실험 지역은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로 2010년 1월 19일에 수집되었으며 전정색 영상의 경우 0.

데이터처리

  • 표적 탐지는 PS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임계화하는 과정, 표적이 존재할 수 있는 균질한 배경을 추출하는 과정, 공간 인자의 특성에 따라 이상 개체(outlier)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표적을 탐지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끝으로 표적 탐지 결과를 공간해상도와 보간 기법에 따라 비교 평가하였다.
  • 정확도(precision)와 재현율(recall)은 표적 탐지 기법과 대상 개체에 따라 한 수치가 높거나 낮게 나타날 수있기 때문에 이들의 조화 평균인 F-측정치(F-measure)를 이용하여 탐지 정확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2, 식 (5)∼(7)).

이론/모형

  • 항공기와 선박의 탐지 정확도는 영상의 공간해상도에 따라 그리고 재배열 기법에 따라 평가되었다. 최종 추출된 표적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디지타이징(digitizing)을 통한 참조지도를 구성하였으며 개체 단위로 정확도를 평가하되 그 기준은 형태적으로 구분이 가능함과 동시에 픽셀 기준으로 참조자료와 비교해 50%이상의 픽셀이 추출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표적 탐지 기술은 무엇을 가능하게 하였는가?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등장과 공간분해능의 발전에 따라 위성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표적 탐지 기술은 광범위한 지역의 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탐지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는 교통류 모델링, 군사적 목적의 감시·정찰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다양한 국가에서 여러 위성을 발사함에 따라 위성 선택의 폭이 증가하였으며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연구 주제에 대해 어느 위성 또는 어느 공간해상도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PSO 알고리즘 기반의 표적 탐지 결과, 항공기의 경우 포함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항공기의 경우 포함오차(commission error)가 선박의 경우 누락오차(omission error)가 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탑승교(boarding bridge) 등이 항공기와 분광적,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항공기로 잘못 추출되기 때문이며, 선박의 경우에는 선박 자체 또는 내부 구조물 등의 분광적 다양성이 존재하여 임계화 과정에서 제대로 추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영상 재배열 이란? 영상의 공간해상도 변환은 새로운 해상도의 영상에 위치할 화소값을 계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보통 영상 재배열(resampling)을 통해 수행되며 영상 재배열이란 영상에서 해상도를 변화시킨 후 원 영상 자료의 X, Y의 위치로부터 화소값을 추출하여 새로운 영상의 좌표 X′, Y′에 다시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의 화소값을 추출하여 재부여하는 방법에는 최근린보간, 양선형보간, 3차회선보간이 대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en, D., Stow, D. A. and Gong, P., 2004, Examining the effect of spatial resolution and texture window size on classification accuracy: an urban environment cas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5, No. 11, pp. 2177-2192. 

  2. Cho, W., 1995, Automatic traffic data collection using simulate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Vol. 3, No. 11, pp. 101-116. 

  3. Gao, Y. and Mas, J. F., 2008,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pixel based and object based classifications over image with various spatial resolutions, Journal of Earth Sciences, Vol. 2, No. 1, pp. 27-35. 

  4. Ghamisi, P., Couceiro, M. S., Benediktsson, J. A. and Ferreira, N. M. F., 2012, An efficient method for segmentation of images based on fractional calculus and natural selection, Expert System with Applications, Vol. 39, No. 16, pp. 12407-12417. 

  5. Irvine, J. M., 1997, National Imagery Interpretability Rating Scales (NIIRS): overview and methodology, Optical Science, Engineering and Instrumentation'97.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Vol. 3128, pp. 93-103. 

  6. Kennedy, J., Eberhart, R., 1995, A new optimizer using particle swarm theory,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cro Machine and Human Science, pp. 39-43. 

  7. Kim, B., Yeom, J. and Kim, Y., 2013, Target detection in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PSO algorithm and spatial context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Fall Conference 2013, pp. 304-307. 

  8. Kim, Y., Seo, B. and Ku, B., 2000, The resolution effects of the satellite images on the interpretabi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s - laying emphasis on the interpretability and the fractal dimen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KOGSIS, Vol. 8, No. 2, pp. 61-69. 

  9. Ku, C. and Hwang, C., 2001, The change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accuracies according to spatial resolution in case of Sunchon bay coastal wet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eional Geographers, KRG, Vol. 7, No. 1, pp. 35-50. 

  10. Kwon, O., Kim, Y. and Eo, Y., 2000, A study of evaluation of the feature from cooccurrence matrix and appropriate applicable res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KOGSIS, Vol. 8, No. 1, pp. 105-110. 

  11. McCallum, I., Obersteiner, M., Nilsson, S. and Shvidenko, A., 2006, A spatial comparison of four satellite derived 1 km global land cover dataset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Vol. 8, No. 4, pp. 246-255. 

  12. Toutin, T., 2004, Comparison of stereo-extracted DTM from different high-resolution sensors: SPOT-5, EROS-A, IKONOS-II, and QuickBird,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42, No. 10, pp. 2121-2129. 

  13. Townshend, J. R. G. and Justice, C. O., 1988, Select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sensors required for global monitoring of land transform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9, No. 2, pp. 187-2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