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ANALYSIS OF SAMBOK IN KOREA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29 no.1, 2014년, pp.1 - 16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이기원 (대구가톨릭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  안영숙 (한국천문연구원) ,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  이용삼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bok (三伏, Three Hottest Days) is the common designation of Chobok (初伏, Early Hot Day), Jungbok (中伏, Middle Hot Day), and Malbok (末伏, Late Hot Day), and widely known to be one of the Korean folk customs. Hence, Sambok is notated in Manseryeok (Ten Thousand-Year Almanac) and in the annual astronomic...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복은 언제인가? 잡절은 특정 절기를 기점으로 수 일 간격이나 일진 (日辰, 일자에 붙이는 간지)을 기준으로 일정한 원칙에 해당하는 날로 정해진다. 현재 삼복의 경우 하지(夏至)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9이 초복이고, 네 번째 경일이 중복이며, 입추(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이 말복이다. 초복과 중복은 10일 간격이나 중복과 말복은 10일 또는 20일 간격이며, 이 간격이 10일이면 평복(平伏), 20일이면 월복(越伏)이라고 한다(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11).
태음 태양력의 역서에 표기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역서는 매일의 역 자료를 수록하고 있어 일과력(日課曆)이라고 하는데(Kim, 2002), 조선전기는 대통력을, 후기는 시헌력을 사용하였다. 이 역서들에는 합삭, 상현, 하현 등과 더불어 관습적 기념일의 일종인 절일(節日)들이 두주(頭註)7로 표기되어 있다. 이 절일들은 명절(名節)과 구분하여 오늘날 잡절(雜節)이라고 부른다(Lee, 1985).
삼복의 기원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어디에서 볼 수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삼복(三伏: 초복, 중복, 말복)에 더위를 이길 수 있는 음식을 먹는 세시풍습이 있었으며, 오늘날에도 이어져 오고 있다. 삼복의 기원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사마천(BCE 145? - 86?)의 『사기(史記)』로 알려져 있다(Lee, 1985). 기록에 의하면‘진덕공(秦德公, BCE 709 - 676) 2년(679년)에 처음으로 복사(伏祠)를 짓고 사문(四門)에서 개를 찢어 죽여 충재(蟲災)을 막았다’1라고 하여 액을 물리치는 벽사(辟邪)의 기능이 강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n Mental Culture Research Institute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Old Literature Collection Vol. 18, Yueseong Press (Seongnam), pp.662-666 

  2. Ahn, Y. S., Han, B. S., Sim K. J., & Song, D. J., 2009,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Tables o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연력표),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Paju), p.81 

  3. Choi, S. G., 2003, Collection of Materials for Korean Seasonal Customs - Three Kingdom Period.Goryeo Perio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국립민속박물관), Graphic siseon (Seoul), pp.229-236 

  4. Han, B. S., 2001,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Tables on Korea (Vol. II) [한국연력대전 (하)], Yeungnam University Press (Gyeongsan), pp.1457-1593 

  5. Hu, Y. S., 2000,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Works of the Astronomical Section of Gwan-sang-gam in the Late Choson Dynasty - Focusing on the period since the late 18th century, Msc.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Jeong, S. M., 2007, Almanac of Seasonal Customs of Joseon III,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insokwon (Seoul), pp.89-240 

  7. Kim, J. T., 2002, A Look at the Kyeongjinnyeon Daetongryeok, The Review of Folk Life and Culture, 7, 69 

  8.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한국천문연구원), 2004, Manseryeok (Ten-Thousand-Year Almanacs, 한국천문대 만세력), Myeongmundang (Seoul), pp.20-413 

  9.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11, Korean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12, Namsandang (Seoul), p.212 

  10. Lee, E. S., 1985, Fundamental Analysis of the Astronomical Calendar (역법의 원리분석), Jeongeumsa (Seoul), p.37 

  11. Lee, C. H. & Choi, S. G., 2003, Almanac of Seasonal Customs of Joseon I,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insokwon (Seoul), pp. 54-347 

  12. Lee, K. -W., Ahn, Y. S., Mihn, B. -H., & Lim, Y. -R., 2009, Study on the Period of the Use of Datong-li in Korea, JASS, 27, 1 

  13. Lee, K. -W., Ahn, Y. S., Mihn, B. H., & Shin, J. S., 2011, Database Construction and Textual Analysis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PKAS, 26, 1 

  14. Lee K. -W., Ahn, Y. S., & Mihn, B. -H., 2012, Verification of the Calendar Days of the Joseon Dynasty, JKAS, 39, 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