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차원단위 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동 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s for Parking Units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Condominium Apartment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2, 2014년, pp.549 - 559  

권성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고동봉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의 급격한 팽창과 함께 주택부족 현상이 나타나게 되자, 정부는 주택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하여 주택보급을 확대시켰다. 이러한 현상으로, 공동주택은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83%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그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0%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아파트의 경우 입주민들의 승용차 보유 증가에 따른 아파트 단지 내 주차공간 부족문제 등 제반 주차 관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주차계획대수 수립 시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수요예측 중 전용면적을 고려한 주차원단위 산정 방법은 기존 계획보다 세대수는 증가하여도 전용면적이 작아지면 계획주차대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현실적인 주차원단위 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현실에 적합한 주차원단위를 산정하고자 한다.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득자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주차수요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선정을 통해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조사된 아파트 주차원단위 자료를 통해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은 주차장법 기준 정립은 물론 보다 현실적인 주차수요예측 수행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pid expansion of cities led to the shortage of housing in urban areas. The government compensated for this shortage through large scale residential developments that increased the housing supply. The supply of condominium apartments remains above 83% of the entire housing supply, and the pro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동주택지 주차수요분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주차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주택규모별 변수와 입지별 변수 2가지를 추출하여 주차수요와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밝혔다. 또한, 주택규모별로 소·중·대규모의 공동주택으로 분류하여 각각 공동주택지의 주차수요분석과 시계열분석을 이용한 주차수요예측을 하였다.
  • 225X3를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과 실제 조사된 결과 값을 비교하여 검증한 결과, 두 모형 모두 실제 값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적정 주차원단위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차원단위를 산정하기 위해 기존 연구문헌들을 고찰한 후 주차원단위 문제점을 파악하기로 하고,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의 수집·분석을 통해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주차수요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를 추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차수요예측과 관련된 변수를 선정한 후 주차원단위 산정 모형을 개발하여,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과 개발된 모형의 주차원단위 산정에 적용하여 비교・검증함으로써, 거주자들의 특성을 반영한 보다 현실적인 주차원단위를 산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아파트 단지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아파트 단지의 주차수요와 관련된 변수에 국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단지내 차량등록대수(세대 당 차량보유대수), 세대별 연간소득, 운전면허 보유수, 전용면적, 주택소유형태, 세대주 직업, 향후 차량 구입계획, 가족 구성원 수, 아파트 세대수 등이 있다.
  • 본 연구는 시간적/공간적 한계 등으로 인하여 각종 정보자료 구축 및 충분한 내용 검토 등 연구의 범위가 제한된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향후 연구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주차원단위를 산정하기 위해 주차수요예측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차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를 고려하여 주차원단위 산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의 분석을 통해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주차수요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선정을 통해 주차원단위 산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 현황을 이용하여 주차원단위 산정모형 1, 2와 교통영향평가 각각의 주차원단위 산정 비교 및 검증을 하고자 한다.
  • 기존 연구문헌에서는 주차원단위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와 교통영향평가에서의 한계점 분석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현재의 공동주택 아파트에 적용된 주차원단위 현황과 실제 주차현황을 조사하여, 주차원단위 및 교통영향평가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주차원단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선정하여 주차원단위 산정모형 개발 및 검증을 통해 현실적인 주차원단위를 산정하기로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주차수요에 관한 주요변수를 통해 전용면적으로 주차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과 전용면적, 운전면허 보유수, 연간수입을 변수로 하는 주차수요예측 모형 두가지를 개발하고자 한다. 독립변수(설명변수)들과 종속변수(반응 변수)들 간의 함수관계를 밝히기 위한 통계적 방법은 SPSS 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실적인 주차원단위 산정방법의 수립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외에도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수요예측 중 주차원단위 산정방법은 현실적인 주차수요예측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판단된다. 그 대표적인 이유로 세대수는 감소하고 전용면적이 넓어지면 계획주차대수가 증가하는 반면, 세대수는 증가하고 전용면적이 작아지면 계획주차대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보다 현실적인 주차원단위 산정방법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주택보급을 확대시킨 결과는 무엇인가? 도시의 급격한 팽창과 함께 주택부족 현상이 나타나게 되자, 정부는 주택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하여 주택보급을 확대시켰다. 결국, 공동주택 공급량은 전체 주택 공급량의 83%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그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0%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 내주차공간 부족으로 인한 불법주정차는 긴급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게 하고, 차량의 주차장 확보를 위해 주민들 간의 갈등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한 주거단지로서의 기본적인 기능과 거주환경의 질을 악화시켜 생활공간으로서 집합주거단지가 가지고 있는 맹점을 저하시키는 등 제반 주차 관련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파트 단지 내 불법주정차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결국, 공동주택 공급량은 전체 주택 공급량의 83%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그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0%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 내주차공간 부족으로 인한 불법주정차는 긴급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게 하고, 차량의 주차장 확보를 위해 주민들 간의 갈등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한 주거단지로서의 기본적인 기능과 거주환경의 질을 악화시켜 생활공간으로서 집합주거단지가 가지고 있는 맹점을 저하시키는 등 제반 주차 관련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hn, W. Y. (2010). "A study on parking generation forecasting model for factory facilities in industrial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1D, pp. 37-44 (in Korean). 

  2. Bradley, M. (1988). "Realism and adaptation in designing hypothetical travel choice concept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 XXII, No. 1, pp. 121-137. 

  3. Ergun, G. (1971). "Development of a downtown parking model." Highway Research Recoerd 369, pp. 118-134. 

  4. Feeney, B. P. (1989). "A review of the impact of parking policy measures on travel demand."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13, pp. 229-244. 

  5. Jung, M. P. (2008). A study about establishment of parking demand calculation model utilizing parking basic unite, Doctoral Thesis, Daegu University (in Korean). 

  6. Kim, H. B. and Ahn, W. Y. (2007). "A study on calculating large discount store parking units in application of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4D, pp. 397-404 (in Korean). 

  7. Lee, N. Y. and Park, M. S. (1999). "A study on the proper development density of multi-family housing estates considering the parking demand."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9, No. 2, pp. 787-792 (in Korean). 

  8. Lee, Y. W. (2008). "Calculation methods of parking demand for housing using parking basic units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103, pp. 149-157 (in Korean). 

  9. Oh, J. H. and Kwon, Y. I. (2006). A study on the demand analysis for parking units, Research Paper,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in korean). 

  10. Park, C. D. (2004).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stimating of the parking demands in apartment complex, Doctoral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1. Park, J. H. (2003). Parking demand estimation model of apartments,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2. Park, K. H. (1997).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parking demands in apartment housing,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