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T-Based Response System Development for Mt. Baekdu Volcanic Disaster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1, 2014년, pp.13 - 23  

김태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  윤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그간 화산 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백두산의 화산 분화 전조현상 들이 자주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반도의 화산 분화를 경고하는 화산 전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백두산 화산 재해 대응 시스템의 개발방안을 기술하고 있다. 첫 번째로 소방방재청의 방재업무 체계와 관련 시스템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방재업무체계를 기반으로 화산 재해 대응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세 번째로, 관련 재난 대응 시스템을 참고하여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필요 공간정보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이 실제로 소방방재청에 탑재되기까지는 추가적인 검증 및 시스템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완성된 화산재해 대응 시스템은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화산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had been known as a safe region in volcanic disaster. However, precursor phenomena for volcanic eruption in mountain Baekdu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in these days. Therefore, the number of volcano experts, who warn the volcanic eruption i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creased.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때문에 나날이 증가하는 백두산 화산재해 위험을 사전에 예상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산재해 피해예측 시뮬레이션 기술들을 공간정보기반으로 통합하여 종합적인 피해예측결과들을 사전에 제공하고, 피해종류별 및 지역별 대응이 가능하도록 관리기준 및 대응매뉴얼을 제시하여 방재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개발방안과 파일럿 시스템 개발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가오는 백두산 화산재해 발생 위험에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공간정보기반의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해 보았다. 세부적으로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였고, 해당 시스템이 탑재될 소방방재청 방재체계 및 유사시스템(지진재해대응시스템)을 조사·분석하였으며, 업무프로세스 정의와 시스템 설계를 통해 파일럿 시스템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폭발과 관련한 연구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백두산 화산폭발 관련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독일의 세계적 화산학자인 한스 올리히 슈민케 박사는 북한 당국의 허가 아래 백두산의 지질을 조사해,‘화산학 회보’에 서기 969년 백두산이 대규모 폭팔을 일으켜 960억㎥의 분출물을 성층권인 25km 상공까지 뿜어 올려 함경도를 거쳐 1000km 이상 떨어진 동해와 일본 동북부 및 홋카이도까지 도달시켜 지구 기후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주장한 바 있다(Schimincke, 2000). 그러나 백두산 분출규모가 이보다 컸다는 주장도 있는데, 우리나라의 윤성효 교수와 슈민케는 일본에 쌓인 백두산 화산재의 두께를 1cm로 보고 계산했지만, 실제로 재면 5cm까지 나왔다고 밝히면서 이를 기반으로 계산하면 실제 분출량은 1,500억㎥에 이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Yun, 2009). 또한 귀정푸 중국 과학아카데미 연구원은 당시 불화수소 약 2억 톤과 아황산가스 2천300만톤이 함께 나와 야생동물과 가축의 질식, 산성비, 나아가 성층권 오존층의 파괴도 일으킨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외에도 치명적인 재해로서 화산쇄설류와 화쇄난류가 있는데 백두산 화산쇄설류는 분화구로부터 반경 35km에 걸쳐 3~83m 두께로 쌓여 있는 것으로 측정되고 있다.
최근 백두산폭발에 대한 여러 위험성을 제기하는 견해가 증가하는 이유는? 그동안 우리나라는 비교적 화산재해에 대해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최근 활화산인 백두산에서 분화 전조현상인 지진발생, 화산가스 분출로 인한 식물고사, 온천수 온도 상승 등이 발생함으로써 백두산폭발에 대해 여러 가지 위험성을 제기하는 학자들 및 학계의 의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백두산을 포함하는 우리나라의 화산지형은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 초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백두산을 중심으로 만주 까지 펼쳐진 개마고원과 추가령지구대의 용암 대지 및 제주도, 울릉도, 추가령열곡 등의 지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림 1).
우리나라의 화산지형은 언제 생성되었는가? 그동안 우리나라는 비교적 화산재해에 대해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최근 활화산인 백두산에서 분화 전조현상인 지진발생, 화산가스 분출로 인한 식물고사, 온천수 온도 상승 등이 발생함으로써 백두산폭발에 대해 여러 가지 위험성을 제기하는 학자들 및 학계의 의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백두산을 포함하는 우리나라의 화산지형은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 초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백두산을 중심으로 만주 까지 펼쳐진 개마고원과 추가령지구대의 용암 대지 및 제주도, 울릉도, 추가령열곡 등의 지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림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ung, D.Y., H.B. Bang and Y.C. Shin. 2002. Establishment of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1):69-79 (정대영, 방희봉, 신영철. 2002. GIS를 이용한 재해상황 자동음성 통보시스템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69-79). 

  2. Kang, S.Y., K.H. Kim, D.C. Kim, H.S. Yoo, D.J. Min and B.C. Suk. 2007. A preliminary study of the global application of HAZUS and ShakeMap for loss estimation from a scenario earthquake in the Korean Peninsula. J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47-59 (강수영, 김광희, 김동춘, 유해수, 민동주, 석봉출. 2007. 지진재해예측을 위한 HAZUS와 ShakeMap의 한반도에서의 적용가능성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47-59). 

  3. Kim, N.S. 2011. An analysis on influence area by the simulation over Mt. Baekdu eruption. 17(3):348-356 (김남신. 2011.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3):348-356). 

  4. Kim, T.H. and J.H. Youn.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olcano disaster response system. Proceedings of 2013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Conference, Seoul, May 23-24, pp.125-127 (김태훈, 윤준희. 2013. 백두산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125-127쪽). 

  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A study on the optimum monitoring techniqu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ruption phenomena and precursor. Research Report, pp.71-79 (기상청. 2012. 최적의 화산감시기술 및 전조.분화의 상관관계 규명 연구. 71-79쪽). 

  6. Kwon, W.S., C.S. Kim and Y.S. Kim. 2012. Development of detour route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disaster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34-42 (권원석, 김창수, 김영섭. 2012. 재해정보를 이용한 우회경로 및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34-42). 

  7.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3. Development of advancement method for supervolcano disaster response technology. Research Report, pp.122 (국립방재연구원. 2013. 대형 화산재해 대응체계 선진화 방안 연구. 122쪽). 

  8.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s promotional materials. pp.1-18 (소방방재청. 2011.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홍보자료. 1-18쪽).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