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방법의 개선방안 검토 : 해수면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A Review on Improvement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 Focusing on Sea Level Rise Disaster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1, 2014년, pp.50 - 60  

김지숙 (부산대학교 공간정보협동과정) ,  김호용 (동아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이성호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하여 현재 시행중인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한 방안마련의 일환으로, 현행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특징과 개선방안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해운대구를 대상으로 재해유형 중 해수면 상승 재해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집계구와 동을 분석단위로 설정하여 각각 재해취약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과정과 분석결과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단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도출되는 공간단위수정가능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개선방안 검토는 분석진행 과정별로 도출하였으며, 분석의 기반이 되는 공간단위의 설정단계에서는 분석단위 조정, 점수산정방식 조정, 재해유형별 명확한 분석방안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실행 단계에서는 변수에 따른 가중치 설정, 변수의 다양화, 주관적 분석선정방안 배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도시종합 재해취약성분석 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한 도시방재력 향상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of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to build a safe city from disasters. For this, an empirical analysis on sea level rise disasters was performed focusing on Heaundae-gu in Busan. For the analysis, Census 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방법을 체계화하고 알기 쉬운 방법론을 제시하여 도시계획, 도시개발사업에 활용하는 것이 매뉴얼의 목적이라 할 때, 매뉴얼이 배포된 지 일 년이 지난 시점에서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하여 분석방법 정립을 위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제도의 조기 정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행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개선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재해유형 중 해수면 상승 재해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면서 분석의 기반이 되는 공간단위의 설정에 따른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이와 함께 실증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방재정책의 일환으로 도시계획수립과정에서 반영하도록 도입된 재해취약성 분석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분석방법을 검토하였다. 분석방법의 검토는 재해유형 중에서 해수면상승재해에 대하여 재해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과정에서 공간분석단위를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분석결과가 다르게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조기정착이 목적이므로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을 최대한 준용하면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매뉴얼에서 해수면상승 재해는 다른 재해와 마찬가지로 현재와 미래의 기후노출과 민감도로부터 각각 취약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로 부터 도시종합 재해취약성을 도출하도록 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인 현행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매뉴얼에서 명확히 정립되지는 않았지만 해안도시에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해수면상승 재해유형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대상지역은 부산시의 자치구 중에서 해안에 접하는 구인 해운대구를 선정하였으며, 해운대구의 위치 및 행정경계현황은 그림 2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재해에 대하여 부산광역시의 해운대구를 대상으로 재해취약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의 취득이 어려운 미래 기후노출을 제외한 세 가지 기후변화 취약성 개념에 대하여 취약성등급을 산출하였다. 하지만 동 단위와 집계구 단위의 실증분석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재해 취약성분석의 조기정착을 위해서는 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제도의 조기 정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행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개선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재해유형 중 해수면 상승 재해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면서 분석의 기반이 되는 공간단위의 설정에 따른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이와 함께 실증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뉴얼에 의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매뉴얼에 의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은 현재 취약성(present vulnerability), 미래 취약성(future vulnerability), 도시종합 재해취약성(total disaster vulnerability)으로 구분된다. 현재 취약성(present vulnerability)은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기상관측치에 의한 현재 기후노출(present exposure)과 현재의 잠재취약지역 (potential vulnerability)과 도시취약구성요소 (assessment object)를 중첩한 현재 도시민감도(present sensitivity)로 구성된다.
도시민감도란 무엇인가?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은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의 취약성 분석 개념에 따라 기후노출(exposure)과 도시민감도(sensitivity) 를 포함하는 골격을 유지하면서 지역특성과 도시구성요소를 고려하여 구축되었다. 기후노출은기후변화 재해를 유발하는 기온, 강수량 등과 같은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의미하며, 도시민감도는 기후변화 재해에 따른 도시의 물리적 취약특성과 도시구성요소의 부정적 영향을 의미한다.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무엇을 수행하고 있는가? 하지만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지방자치단체에서 바로 적용하기에는 적용 범위 및 방법에 한계가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에서는 내실 있는 제도 정착과 지자체 담당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매뉴얼을 작성 보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 I.H. 2010. A study on spatial effects in MAUP: with a focus on scale and zoning effects. Master Thesis, National Univ. of Education, Seoul, 144pp (조일환. 2010. MAUP에서의 Spatial effects 연구-scale effect와 zoning effect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4쪽). 

  2. Kang, J.E and M.J. Lee.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19-136 (강정은, 이명진. 2012.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119-136). 

  3. Kim, H.Y.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photovoltaic facility locat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2):146-156 (김호용. 2010.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46-156). 

  4. Kim, H.Y. 2010. A geostatistical approach for improved prediction of traffic volume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139-147 (김호용. 2010.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39-247). 

  5. Kim, K.Y. 2011. Effects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on a spatial interac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2):197-211(김감영. 2011. 공간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의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6(2):197-211). 

  6. IPCC(working group II).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The 4th Assessment Report. 

  7. Lee, S.I. 1999. The delineation of function regions and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7(2): 757-783 (이상일. 1999. 기능지역의 설정과'공간단위 수정가능성의 문제(MAUP)'.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7(2):757-783).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3. The improvement of the manual for vulnerability analysis of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 pp.1-20(국토해양부. 2013.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 보완. 1-20쪽). 

  9. National Urban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2013. The manual for vulnerability analysis of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Ver.3.0). pp.1-24 (국가도시방재연구센터. 2013.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3.0). 1-24쪽). 

  10. Openshaw, S. and Taylor, P.J. 1981.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In: N. Wrighely and R.J. Bennett(ed). Quantitative Geography : A British View.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pp.60-69. 

  11.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http://klis.busan.go.kr. 

  12. Busan Metropolitan City. The Information Center of Renewal Projects. http://renewal.busan.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