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음성의 목소리 특성의 정성적 분류와 음성 특징과의 상관관계 도출
Qualitative Classification of Voice Quality of Normal Speech and Derivation of its Correlation with Speech Featur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1, 2014년, pp.71 - 76  

김정민 (대전대학교) ,  권철홍 (대전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voice quality of normal speech is qualitatively classified by five components of breathy, creaky, rough, nasal, and thin/thick voice. To determine whether a correlation exists between a subjective measure of voice and an objective measure of voice, each voice is perceptually evalu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빠르기, 높낮이, 세기와 관련된 음성 특징 파라미터는 쉽게 찾을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 분석할 목소리 특성과 관련된 음성 특징 파라미터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음성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인문음성학 분야, 음성의학 분야 등의 논문을 조사하여 이러한 목소리 특성과 관련이 깊은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찾아 보고자 한다.
  • 그런데 1과 2, 2와 3은 적다와 보통, 보통과 많다이므로, 집단 사이에 특성의 차이가 크지 않아 세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파라미터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특성의 차이가 비교적 크다고 할 수 있는 1과 3두 집단 사이에 대하여 통계 처리를 수행하여, 목소리 특성 각 항목에 대하여 그 성분이 적고 많을 때 상관관계가 있는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정상인의 목소리 특성을 몇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고, 이 특성과 상관관계가 높은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음성신호의 음원과 관련된 파라미터와 성도 필터와 관계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목소리 특성과 관련 있는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도출하고자 한다. <표 1>에 보이는 음성신호의 음원과 관련된 파라미터에는 기본주파수에 관한 파라미터(F0_mean, F0_std), 에너지 크기(Intensity), 기본주파수 변화율(Jitter), 진폭 변화율(Shimmer), 잡음과 하모닉의 에너지 비율(NHR, VTI), 숨소리(breathiness)의 정도(SPI), 주기성의 강도(CPP), 하모닉에 관한 파라미터(H1-H2) 등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정상인의 목소리 특성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고, 이 특성과 관계 깊은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즉, 목소리 특성과 음성 특징 파라미터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음성을 청취 평가할 때 분류하기가 용이하고 청취 평가자 사이에서 의견 일치율이 높은 목소리 특성을 선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객관적으로 음성 특징 파라미터와 관련지을 수 있는 목소리 특성을 선정한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기준으로 선정한 목소리 특성은 숨소리, 짜내는 소리, 거친 소리, 콧소리, 굵기(가늘다/굵다) 등이다.
  • 본 논문에서는 정상인의 목소리 특성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고, 이 특성과 관계 깊은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즉, 목소리 특성과 음성 특징 파라미터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장애 환자들을 위한 음성 검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음성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음의 높낮이(pitch), 음의 세기(intensity), 음성 품질(voice quality)과 유동성(flexibility) 등을 음성 검사를 통하여 측정하고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음성장애 환자가 아닌 정상적인 목소리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목소리 특성을 연구하는 시도는 많지 않다.
GRBAS 음성평가는 어떤 목소리 특성으로 구성되는가? 주관적 청취 평가 방법으로 GRBAS scale, CAPE-V (Consensus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VPA(Vocal Profile Analysis)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일본음성 언어의학회에서 제안한 음성 검사법인 GRBAS 음성평가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1][2][3]. 이 방법은 목소리 특성을 다섯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평가하는데 Grade(전반적인 애성의 정도), Roughness(거친 소리, 성대의 불규칙한 진동), Breathiness(기식성, 바람 새는 소리), Asthenia(무력성, 연약한 가냘픈 소리), Strain(긴장성, 힘을 들여서 내는 소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에 대하여 0, 1, 2, 3 등 네 단계로 음성을 평가하는데, 0은 정상 음성이고 3은 가장 좋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사람의 음성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의 음성을 평가할 때 청취 평가를 통한 주관적 평가방법과 음성 분석을 활용한 객관적 평가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청취 평가 방법은 사람의 목소리 특성을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누고 청취 평가자가 각 항목에 점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ex, S. (1992). Perceptual evaluation. Journal of Voice, 6(2), 155-158. 

  2. Sohn, J. H. (2008). GRBAS and voice handicap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9(2), 89-95. (손진호 (2008). GRBAS 음성평가와 음성장애지수, 대한음성 언어의학회지, 19(2), 89-95.) 

  3. Pyo, H. Y., Choi, S. H., Lim, S. E., Sim, H. S., Choi, H. S., Kim, K. M. (1999). The correlation between GRBAS scales and MDVP parameters on the pathologic voices of the patients with vocal poly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0(2), 154-163. (표화영, 최성희, 임성은, 심현섭, 최홍식, 김광문 (1999). 성대 폴립 환자를 대상으로 한 GRBAS 척도와 MDVP 측정치 간 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0(2), 154-163.) 

  4. Han, S. M., Kim, S. B., Kim, J. Y., Kwon, C. H. (2011). A preliminary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voice characteristics and speech feature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3(4), 85-91. (한성만, 김상범, 김종열, 권철홍 (2011). 목소리 특성의 주관 적 평가와 음성 특징과의 상관관계 기초연구. 한국음성학회, 말소리와 음성과학, 3(4), 85-91.) 

  5. Kwon, C. H., Song, S. K., Kim, J. Y., Kim, K. H., Jang, J. S. (2012). Extraction of speech features for emotion recognitio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2), 73-78. (권철홍, 송승규, 김종열, 김근호, 장준수 (2012). 감정 인식을 위한 음성 특징 도출. 한국음성학회, 말소리와 음성과학, 4(2), 73-78.) 

  6. Hwang, Y. S., Seong, C. J.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vowel /a/ before and after LMS. Malsori, 67, 33-60. (황연신, 성철재 (2008). 후두미세수술 전후 /아/의 음향적 특성 비교. 대한음성학회, 말소리, 67, 33-60.) 

  7. Hillenbrand, J. & Houde, R. A. (1996). Acoustic correlates of breathy vocal quality: dysphonic voices and continuous spee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311-321. 

  8. Park, H. S. (2007). An acoustic study of phonation types in vowels following consonant clusters in Korean. Malsori, 64, 53-76. (박한상 (2007). 한국어 자음군의 후행모음에 나타난 발성유 형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대한음성학회, 말소, 64, 53-76.) 

  9. Praat. (2014). Phonetic Sciences, Univ. of Amsterdam, http://www.fon.hum.uva.nl/praat/. 

  10. MDVP. (2014). KayPentax, http://www.kayelemetrics.com. 

  11. VoiceSauce. (2014). A program for voice analysis, UCLA, http://www.seas.ucla.edu/spapl/voicesauce/. 

  12. Seo, E. H. (2010).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8.0. Free Academy, 403-415. (서의훈 (2010). SPSS 18.0을 이용한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403-415.) 

  13. IBM SPSS Statistics. (2014). SPSS Korea, http://www.spss.co.kr. 

  14. Bickley, C. (1982). Acoustic analysis and perception of breathy vowels. Speech Communication Group Working Papers I, 73-83. 

  15. Klatt, D. H. & Klatt, L. C. (1990). Analysis, synthesis, and perception of voice quality variations among female and male speaker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7(2), 820-857. 

  16. Mathew, M. M. & Bhat, J. S. (2009). Soft phonation index - a sensitive parameter?. Indian Journal of Otolaryngology Head Neck Surg., 61, 127-130. 

  17. Hillenbrand, J., Cleveland, R. A., Erickson, R. L. (1994). Acoustic correlates of breathy vocal qu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7, 769-778. 

  18. Kerstens, J., Ruys, E., Zwarts, J. (1996-2001). Lexicon of Linguistics. Utrecht Institute of Linguistics, Utrecht Univ. 

  19. Dekrom, G. (1995). Some spectral correlates of pathological breathy and rough voice quality for different types of vowel fragments. Journal of Speech Hearing Res., 38, 794-8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