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성인에서 음성 및 말소리 범위 프로파일을 이용한 발화 기본주파수 예측
Prediction of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using the voice and speech range profiles in normal adult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1 no.3, 2019년, pp.49 - 55  

이승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및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후두음성언어의학연구소) ,  김재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음성(VRP) 및 말소리 범위 프로파일(SRP)을 이용하여 문단 읽기 시 전기성문파형검사(EGG)를 이용하여 측정한 평균 발화 기본주파수(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추정된 기본주파수(ESFF)와 실제 SFF 간 차이(DSFF)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상 음성을 가진 한국어 모국어 화자 85명이었다. 각 대상자는 /a/ 발성으로 전체 음역대를 측정하는 VRP 과제, '가을' 문단의 첫 번째 문장을 읽어 말소리 산출 시 음역대를 측정하는 SRP 과제, 전체 문단을 읽어 SFF를 측정하는 문단 읽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VRP와 SRP를 통해 측정된 음역대 관련 변수들와 연령, 성별이 EGG를 통해 측정된 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예측된 ESFF와 SFF 간 차이의 절대값(DSFF)과 그 합계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SFF의 예측변인은 VRP에서는 최저음도, 음도범위, 성별, 연령(adjusted $R^2=.931$)이었으며, SRP에서는 반음 단위 음역대와 최고음도(adjusted $R^2=.963$)였다. VRP와 SRP를 통해 예측된 두 가지 ESFF와 실제 SFF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VRP와 SRP를 이용한 DSFF와 그 합계에 있어 성별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VRP와 SRP를 통해 문단 읽기 시 SFF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SFF의 이상을 보일 수 있는 음성장애 환자에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 시사점을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whether mean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SFF) can be predicted by parameters of voice and speech range profile (VRP and SRP) in Korean normal adults. Moreover, it explored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 in the absolute differences between the SFF and estim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성별, 연령과 같은 인구학적 변수와 함께 VRP 및 SRP의 측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문단 읽기 시 EGG를 통해 측정한 평균 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추정된 발화 기본주파수(estimated SFF, 이하 ESFF)와 실제 SFF 간 차이(differences in SFF, 이하 DSFF)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VRP 및 SRP의 측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문단 읽기 시 EGG를 통해 측정한 평균 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ESFF와 실제 SFF 간차이를 나타내는 DSFF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SFF를 예측할 수 있는 두 가지의 회귀 모형이 제시되었으며, DSFF의 성별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성별, 연령과 같은 인구학적 변수와 함께 VRP 및 SRP의 측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문단 읽기 시 EGG를 통해 측정한 평균 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추정된 발화 기본주파수(estimated SFF, 이하 ESFF)와 실제 SFF 간 차이(differences in SFF, 이하 DSFF)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VRP 및 SRP의 측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문단 읽기 시 EGG를 통해 측정한 평균 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ESFF와 실제 SFF 간차이를 나타내는 DSFF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 범위 프로파일의 측정에 활용되는 프로그램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음성 범위 프로파일의 측정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있으며,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Computerized Speech Lab(Model 4150B; KayPENTAX, Lincoln Park, NJ, USA; 이하 CSL)의 하위 모듈 프로그램인 Voice Range Profile(Model 4326; KayPENTAX, Lincoln Park, NJ, USA)이 임상에서 흔히 이용된다. VRP는 CSL
(VRP) 혹은 포네 토그램은 무엇입니까? 음성 범위 프로파일(voice range profile, 이하 VRP) 혹은 포네 토그램(phonetogram)은 발성기능의 음도(pitch)와 크기(loudness) 의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이며, 전체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단위 Hz)에 따른 진폭(amplitude, 단위 dB)의 범위를 반음(semitone) 단위의 이차원 프로파일 혹은 플롯으로 나타낸 그림을 일컫기도 한다(KayPentax, 2009; Ma & Yiu,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rg, M., Fuchs, M., Wirkner, K., Loeffler, M., Engel, C., & Berger T. (2017). The speaking voice in the general population: Normative data and associations to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Journal of Voice, 31(2), 257.e13-257.e24. 

  2. D'Alatri, L., & Marchese M. R. (2014). The speech range profile (SRP): An easy and useful tool to assess vocal limits. Acta Otorhinolaryngologica Italica, 34(4), 253-258. 

  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4. Herbst, C. T., & Dunn, J. C. (2019). Fundamental frequency estimation of low-quality electroglottographic signals. Journal of Voice, 33(4), 401-411. 

  5.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NY: Springer. 

  6. Jung, W. J.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implified voice range profile (VRP) measurement for patients with voice disorder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Korea. 

  7. KayPENTAX (2009). Voice Range Profile (VRP) Model 4326, Software Instruction Manual. Montvale, NJ: KayPENTAX . 

  8. Kim, H. (2012). Neul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s. Seoul: Sigma Press. 

  9. Kim, J. O. (2010). The analysis of eletroglottographic measures of vowel and sentence in Korean healthy adult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4), 223-228. 

  10. Lee, S. J., Choi, H. S., Kim, H. H., Byeon, H. K., Lim, S. E., & Yang, M. K. (2016). Korean version of the voi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file (K-VAPP): A validation stud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4), 695-708. 

  11. Lee, S. J., Choi, H. S., Lim, J. Y., & Lee, K. Y. (2018). The effect of the Modified Voiced Lip Trill (MVoLT) training on vocal changes of musical theater student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4), 135-146. 

  12. Lee, S. J., Lim, S. E., & Choi, H. S. (2017). Responsivenes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oi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file (K-VAPP) after surgical interven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2), 379-390. 

  13. Ma, E. P. M., & Lam, N. L. N. (2015). Speech task effects on acoustic measure of fundamental frequenc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9(12), 2260-2264. 

  14. Ma, E. P., & Yiu, E. M. (2011). Handbook of voice assessments. San Diego, CA: Plural Pub. 

  15. Ma, E., Robertson, J., Radford, C., Vagne, S., El-Halabi, R., & Yiu, E. (2007). Reliability of speaking and maximum voice range measures in screening for dysphonia. Journal of Voice, 21(4), 397-406. 

  16. Sataloff, R. T. (2005). Clinical assessment of voice. San Diego, CA: Plural Pub.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