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백출) 추출물의 급성 경구투여 독성 연구
Acute Oral Toxicity of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1, 2014년, pp.11 - 21  

최혜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연구과) ,  노항식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연구과) ,  정자영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연구과) ,  하헌용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의 급성 경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D계 Rat를 이용하여 농도별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고 체중변화, 이상반응, 장기무게변화, 혈액학적 이상반응, 조직병리학적 이상반응 등을 측정하였다.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이상반응이나 장기무게에 있어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학적 지표에 있어서도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WBC 및 AST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에서 일부 간조직의 지방변성이 관찰되어 간독성과 간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출이 경구투여에 있어 비교적 안전한 물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단회 경구투여 급성독성시험만으로 천연물 생약에 대한 독성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일정부분 제약이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2주(또는 4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및 13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그리고 유전독성에 대한 연구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백출에 대한 체계적인 독성정보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안전성 자료가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 (AmK) is a herbal medicine and resources of functional food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indigestion, anorexia, diarrhea and digestive dysfunction. Recently AmK is frequently used as resources of functional food and whitening cosmetics. In this study w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약 및 제한적 식품원료로 사용되는 백출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 ‘비임상시험관리기준(식약청고시 제2012-61)’에 따라 단회투여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출의 성질과 작용효과는 어떠한가? , 1998). 백출의 성질은 온(溫)하고, 맛은 감고(甘苦)하며, 비장과 위장에 주로 작용하여 보비익위(補脾益胃), 조습화중(燥濕和中)하는 작용이 있어 식욕부진, 권태무력, 비위허약 및 설사 등의 소화기 기능저하를 치료하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Zhao et al., 2006).
백출은 무엇인가? 백출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백출(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의 근경으로, 山薊, 天薊, 山薑, 山精, 山連, 冬白朮 등의 이명으로 불린다(Ha, 2007; Hu et al., 1998).
천연물 생약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최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각계의 관심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른 한약 및 생약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과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한약과 생약을 원료로 하는 기능성 식품과 천연물 의약품 등의 무분별한 사용이 늘고 있다(Oh et al., 2010; Kim et al., 2012). 또한 천연물 유래의 생약과 한약은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기에 안전할 것이라는 인식으로 그 독성과 부작용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확보되지 않아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Park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Y.S., K.D. Choi, S.D. Kim, P. Owens and C.S. Chung. 2010. Extract of Korean medicinal plant extracts alter lipogenesis of pig adipose tissue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in vitro.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 52(5):383-388 (in Korean). 

  2. Ha, H.Y. 2007. Bonchoyimyung. Passanpass, Seoul, Korea. pp. 461-462 (in Korean). 

  3. Hu, X.M., W.K. Zhang, S.L. Yu and M.Z. Wang. 1998. Zhonghwabencao Jingxuanben. Shanghaikejichubanshe. Shanghai, China. pp. 1893-1902 (in Chinese). 

  4. Hwang, S.Y., W. Kwon, H.Y. Chai, Y.M. Cho, N.J. Lee, J.M. Ryu, J.S. Sin, T.M. Kim, J.H. Cho, E.J. Kim, J.H. Park, J.K. Kang and Y.B. Kim. 2004. Four-week repeated-dose toxicity study on Mori radicis cortex.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Animal Sci. 20(3):283-290 (in Korean). 

  5. Kang, B.S., Y.C. Ko, Y.B. Guk, G.Y. Kim, S.H. Kim, Y.L. Kim, H.C. Kim, S.H. Roh, Y.K. Park, B.I. Seo, Y.B. Seo, H.J. Song, M.G. Shin, D.G. Ahn, S.Y. Lee, Y.J. Lee, S.I. Cho, Y.S. Joo and H.Y. Choi. 2000. Bonchohak. Younglimsa, Seoul, Korea. pp. 536-537 (in Korean). 

  6. Kang, S.Y., Y.C. Park and Y.K. Park. 2013. Thirteen-week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f KOB03, a polyherbal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in rats. Korean Journal of Herbol. 28(1):15-21 (in Korean). 

  7. Kim, C.T., M.H. Jung, C.S. Moon, Y.H. Lim, S.J. Kang and W.G. Cho. 2005. Inhibitors of melanogenesis from Atractylodes rhizomes. Natural Product Sci. 36(1):60-63 (in Korean). 

  8. Kim, K.S. 1999. Pres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medicinal plant resources in Korea. Research of National Resour. 2:25-41 (in Korean). 

  9. Kim, T.H., S. Jang, A.R. Lee, A.Y. Lee, G. Choi and H.K. Kim. 2012. The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in commercial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Herbol. 27(6):43-48 (in Korean). 

  10. Kweon, K.T. 2012. A reasearch on management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Korean Journal of Herbol. 27(2):25-29 (in Korean). 

  11. Lee. J.H., Y.K. Kim, S.P. Hong and C.S. Kim. 2002. Studies of taxonomic origins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and Atractylodis rhizoma.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 8(1):55-63 (in Korean). 

  12. Oh. T.W., H.S. Bae, C.H. Yoon and Y.K. Park. 2010. Thirteen-week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f the modified Wenpitang-Hab-Wulingsan (WHW(R)) in spraguedawley rats. Korean Journal of Herbol. 25(3):43-51 (in Korean). 

  13. Park, H.M., H.T. Shin and S.D. Lee. 2008. Herbal toxicological effects on rats' fetus-focusing on ojeoksan-. Korean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 12(2):27-35 (in Korean). 

  14. Park, J.S., Y.S. Kim, J.Y. Lee, L.G. Park, B.H. Jeon, W.H. Woo and W.Y. Jeong. 1999. Effect of rhizoma Atractylodis macrocephalae on the melanogenesis. Korean J. Oriental Medical Pathol. 13(2):91-98 (in Korean). 

  15. Zhao, A.S., Y.L. Sun and L.S. Zhang. 2006. Safety assessment of baizhu. Chin. J. Public Heal. 22(1):43-45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