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월동무 중장기 수급전망 모형의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pply-Demand Outlook Model for Jeju Winter Radish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3, 2014년, pp.1471 - 1477  

김배성 (제주대학교 산업응용경제학과.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  고봉현 (제주발전연구원 경제산업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제주 월동무의 중장기 수급전망을 위해 구축된 수급전망모형의 개발 내용과 이 모형을 이용하여 2014-2018년 기간에 대한 수급 및 가격을 전망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제주 월동무 수급전망모형은 개별 품목에 대해 구축된 부분균형모형이며, 모형내 각 방정식들은 계량경제학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되었다. 중장기 전망에 앞서 시행된 모형의 예측력은 RMSPE, MAPE, Theil의 불균등계수를 기준으로 검토되었다. 예측력 검토결과, RMSPE 기준으로 재배면적, 단수, 생산량, 소비량은 4% 이내의 매우 우수한 오차율을 보였고, 도매가격은 오차율 10% 이내의 비교적 양호한 예측력을 보였다. 중장기 수급 및 가격 전망결과, 제주 월동무 재배면적은 2013년 5,145ha, 2018년 6,650ha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월동무 생산량은 2013년 334,434톤으로 추정되고, 2018년 433,310톤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ddresses the development on supply-demand outlook model of Jeju winter radish and introduces a projection of supply-demand and market prices during 2014-2018 using the model. The supply-demand outlook model is specified as a partial equilibrium model of Jeju winter radish. Each equ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제주 월동무 수급전망 모형을 구축하고, 중장기(2014-2018) 수급전망을 시행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주 월동무 수급전망모형은 개별 품목에 대해 구축된 부분균형모형이며, 모형내 각 방정식들은 계량경제학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되었다.

가설 설정

  • 2014~2018년 동안 수입단가는 매년 1.6%씩(2011∼2013년 평균 상승률) 상승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3].
  • 제주 월동무 수급전망을 위해 필요한 경제성장률, 환율, 소비자물가, 인구 등 주요 거시경제변수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제하였다. 먼저 총인구는 통계청의 장래추계인구를 사용하고, 경제성장률은 한국은행의 최근 전망치 (2013년 7월)를 기초로 2013년 2.8%, 2014~2018년 동안 연평균 4.0%가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환율은 2013년 1~6월 평균수준인 1,103.
  • 제주 월동무에 대한 수급모형은 국내산과 수입산이 차별되지 않는 단일시장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국산과 수입산 품질의 동질성을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위해 관세율은 단계적 또는 즉시철폐 상황을 반영하고, 관세종류는 종가세(ad valorem tax)를 적용하였다[3,10].
  • 0%가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환율은 2013년 1~6월 평균수준인 1,103.7원(USD당)이 이후에도 유지되고, 소비자물가는 2014년 연평균 2.93%, 2014~2018년 동안 연평균 3.0%수준이 지속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제주 월동무 수확시기 무말랭이 수입단가는 CIF기준 가격인 경우, 관세와 환율을 반영한 후 이에 수수료 5%, 수입업자 이윤 10%를 반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무 재배 작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6% 감소하였다. 우리나라의 무 재배 작형은 봄무, 고랭지무, 가을무, 월동무로 구분된다. 2005년 이후 제주지역의 재배 작형인 월동무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해서 증가하면서, 봄무와 고랭지무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급속하게 줄어드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3].
제주 월동무가 농가에 기여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결국 월동무 재배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가을무와 봄무, 준고랭지 1기작 재배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지역에서 무는 당근과 감자 등의 파종시기에 태풍피해를 입을 경우 대파작물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 월동무는 기상재해 위험을 보상하는 작물로서 농가소득 안정에 기여하는 효과가 큰 작물이다. 제주 농업에 있어 무는 감귤에 이어 단일품목 조수입 2위의 중요 품목임과 동시에, 제주산 무가 전국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8%에 달할 만큼 지역집중도가 높은 품목이다. 2011년 제주지역 무 조수입은 1,167억 원으로 마늘(944억 원)과 당근(733억 원), 양배추(672억 원)보다 많았으며, 감귤 조수입은 2011년 7,640억 원이었다[3,13].
제주 월동무에 대한 중장기 수급 전망 시행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무엇을 제안하는가? 따라서 수급 및 시장가격 안정화를 위해 현재의 농업 관측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론에서 살펴보았듯이 무말랭이를 제외하고 신선무의 수입이 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나 향후 중국 시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중국산 무의 수입가능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3]. 또한 제주지역에서 생산되는 감자, 양파, 당근, 양배추 등과 대체관계를 파악하여 이를 모형에 반영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ollerslev. T.,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Journal of Economaetrics(31), 1986. 

  2. T. H. Kang, "Nonlinear Dynamics of Vegetable Pric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45 No. 1, pp. 83-101, 2004. 

  3. B. H. Ko, B. S. Kim, A Study on Supply and Demand and Price Stabilization of the Winter Vegetables in Jeju, Research Report(2013-13), Jeju Developement Institute, 2013. 

  4. B. O. Choi, C. G. J, D. H. Kim, Study of Supply & Demand and Price Stabilization of Vegetable, Research Report(R65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1. 

  5. B. S. Kim, M. S. Park, J. H. Cho, T. K. Kim, A Demand and Supply Model of Agrculture and Livestock Products for Midterm Outlook, Research Report(M10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0. 

  6. Enders. W., Applied Econometric Time Series(Second Edition), New York : John Wilely & Sons, Inc., 1995. 

  7. Eview 5.0 User's Guide, Quantitative Micro Software, LLC., 2000. 

  8. Goodwin, John W., Agricultural Price Analysis and Forecasting, New York : John Wilely & Sons, Inc., 1994. 

  9. Hill, R. Carter,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Second Edition), New York : John Wilely & Sons, Inc. 1989. 

  10. S. B. Ko, B. H. Song, C. H. Park, A Study on the Policy Strategies and Impact Analysis of Jeju Citrus Industry by the Chang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 Research Report, The Bank of Korea, 2012. 

  11. S. J. Kang, Strategies for Jeju Major Upland Crops against the FTA, Reseach Report(2012-22), Jeju Developement Institute, 2012. 

  12. Tomek, William G. and Robinson, Kenneth L., Agricultural Product Prices(Third Edition), Ithaca and London : cornell University, 1990. 

  13. Y. J. Kim, B. S. Kim, S. H. Song, Y. G. Park, The Seasonal Cabbage Model, Working Paper(W2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