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60대 기혼 남녀의 노년기 가족생활 전망:동거 가족, 돌봄자, 거주지 전망과 관련된 요인 탐색
The Prospects of the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about their Future Coresident Family Members, Caregivers, and Residenc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2 no.1 = no.127, 2014년, pp.27 - 41  

진미정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성미애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변주수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how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prospected their family life in terms of their future coresident family members, caregivers, and residence, and wha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se prospects. The prospects reflected their realistic expectation rather tha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50, 60대 기혼 남녀가 100세 사회의 본인 노후의 삶을 어떻게 전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들이 향후 10년, 20년 후의 노년기에 누구와 함께 살고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지, 본인과 배우자에게 돌봄이 필요할 경우 누가 돌볼 것이라고 전망하는지, 그리고 어디에 거주하고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지를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동거 가족과 돌봄, 그리고 거주지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자원, 가치관, 가족관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미래 전망의 시간적 조망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10년과 20년 후의 전망을 각각 질문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50, 60대 기혼 남녀가 100세 사회의 본인 노후의 삶을 어떻게 전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들이 향후 10년, 20년 후의 노년기에 누구와 함께 살고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지, 본인과 배우자에게 돌봄이 필요할 경우 누가 돌볼 것이라고 전망하는지, 그리고 어디에 거주하고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현실적으로 향후 10년, 20년의 삶을 전망할 수 있는 50대와 60대 기혼 남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인적 전망의 준거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예측이 가능한 미래인 10년 후와 더 먼 미래인 20년 후라는 시점에 대해 두 번 질문하였고, 동거 가족, 본인과 배우자의 돌봄, 어디에 거주하고 있을 것인지에 대해 각각 질문하였다. 그리고 향후 전망의 내용과 전망과 관련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집단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토대하되 전망의 초점을 미시적, 개인적 수준으로 낮추어 50대, 60대가 전망하는 미래 노년기의 가족생활의 전망을 살펴보되, 동거 가족, 돌봄자, 거주지로 범위를 한정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위의 세 가지 주제로 한정한 이유는, 현재 한국 가족을 둘러싼 사회적 변화인 고령화, 저출산화는 실제 가족규모의 축소화, 가족관계의 장기화 현상을 이끌면서 궁극적으로 가족 내 돌봄 문제를 사회적 이슈로 만들었고(Kwak et al.
  •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100세 사회에서 변화된 노인 돌봄 규범이나 실제를 그대로 체감하게 될 50대와 60대를 중심으로 이들이 노년기의 삶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 특히 누구와 함께 살고 돌봄이 필요할 경우 누가 돌볼 것이라고 전망하는지, 그리고 어떤 지역에 거주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노년기 돌봄과 생활은 노인의 자원, 가치관, 가족관계에 따라 달라진다(Chung, 2012; Kim, 2005; Seok, 2009).
  • 각각의 전망은 개인 및 가족상황의 변화에 따라 10년이나 20년 후 전망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전망에 자원(연령, 성, 건강상태, 배우자 건강상태, 미혼자녀 수, 기혼자녀 수, 현재 가족구조, 가구소득), 가치관(부모부양, 자녀부양), 가족관계(부부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요인들이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마무리되는 2030년경 노인인구에 대한 전망은?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마무리되는 2030년경에는 최빈 사망연령이 90세가 넘는 100세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기의 노인들은 기존의 노인인구와 교육수준이나 경제적 수준면에서 다르고, 그들이 영위할 가족생활도 기존의 노년층과는 다를 것으로 전망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도시화의 결과 베이비부머의 80% 이상이도시에 거주하며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전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아져 약 70%가 고등학교 이상 학력을 가지고 있다.
베이비부머의 은퇴를 시작으로 관심이 증가한 것은?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새로운 노년 인구의 등장과 그들의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마무리되는 2030년경에는 최빈 사망연령이 90세가 넘는 100세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뉴 노멀이란? , 2012; Lee, 2011). 뉴 노멀이란 장기 저성장국면을 설명하는 새로운 경제 질서를 일컫는 용어로, 일반적으로는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을 의미하며, 비정상이 정상화되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Chosun Weeklybiz, 201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ang, H., Kim, E., Kim, Y., Kim, H. & Chung, J. (2011). The future of the family and foresight for women and family policies in Korea I (No. 2011-1). Seoul, Korea: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 Chang, H., Kim, E., Kim, Y., Kim, S. & Sun B. (2012). The future of the family and foresight for women and family policies in Korea II (No. 2012-12). Seoul, Korea: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3. Cho H., Kim S., Noh Y., Sung M., Lee S., Lee H. & Chin M (2012). A Study of family life and caregiving plan for the Centenarian Society(No. 2012-26). Seoul,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4. Cho. C. (2004). The Study on the factors which are effect the elders' expectation of filial support.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4, 71-99. 

  5. Choi J. (1998). Filial piety and familism of the married-children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8(2), 47-63. 

  6. Choi, S., Park, T. & Kang, J. (2011). A Study on the housing types selection expectation in senescence using a decision tree-focus on the baby boom generation in Pusan.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9(2), 235-251. 

  7. Chosun Weeklybiz. (2010). The future prospects breaking the illusion. Retrieved from http://busines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3/06/2010030600144.html. 

  8. Chung, K. (2012). An Outlook of baby boomers' old age lif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87, 40-49. 

  9. Chung, K., Oh, Y., Lee, Y., Son, C., Park, B., Lee, S. Y., Lee, j. Y., Kwon, J., Kim, S. B., Lee, S. J., Lee, Y., Lee, Y. H., Choi, S. & Kim, S. Y. (2012). The Survey on senior reality (Government Publication No. 11-1352000-000672-12). Seoul,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0. Gwak, I., Kim, Y., Sung, M., Sung, Y., Lee, S. G., Lee, S. M., Cho, S. & Choi, Y. (2012).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on family's lif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No. 12-03-08(09)). Seoul: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llection of Joint Research. 

  11. Han, G. & Lee, S. (2009).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burden of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683-699. 

  12. Han. G. & Yoon S. (2001). Living arrangements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1(2), 163-178. 

  13. Hong, S. & Gwak, I. (2012).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class baby boomer generation.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6(4), 69-92. 

  14. Jung B. (1995). I have complained of regression as a human being. Seoul: Korea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15. Jung G. (2012). The Policy on population aging : achievements and the need for long-term pla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90. 127-134. 

  16. Kang, H., Chang, H., Kim, H., Kim, Y., Choi, M., Chun, M., Chung, E., Won, Y., Lee, H, Han, J., Chang, E., Kim, M., Chang, H, Hong, M., Choi, E., Sung, E., Yu, H., Lee, S., Lim, I., Kim, S., Choi, E., Lee, D., Yoon, H., Cho, M.,& Yoon, S. (2006). The Future change of the family relationship and family role in the information era.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7. Kim C. (2005). Changes in attitudes of Korean elderly parents toward old-age support, 1994-2004.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4), 1-11. 

  18. Kim E. & Lee 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types and intention to using long term care services. Family and Culture, 22(2), 1-30. 

  19. Kim H. (2007). A Study on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frail elderly - Comparison between the elderly caregivers and non-elderly caregivers -.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7, 49-65. 

  20. Kim M. & Seo S. (1998), Analysis on reward, fillial responsibility, parental care behavior of daughters - in - law. Journal of Family Relations, 3(2), 81-107. 

  21. Kim M., Moon J. & Shin E.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jugal relations of baby boomer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 focus on the comparison with the pre-elder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3), 211-239. 

  22. Kim, C. & Yoo, S. (2009). The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life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one's personal backgrounds. Social Sciences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5(4), 51-73. 

  23. Kim, C. (2005). Changes in attitudes of Korean elderly parents toward old-age support, 1994-2004.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4), 1-11. 

  24. Kim, D., Park, K. & Lee, S. (2000). Gen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middle aged to the elderly parents and their attitudes on old-age security.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3(1), 55-89. 

  25. Kim, M., Moon, J. & Shin, E.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jugal relations of baby boomer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 focus on the comparison with the pre-elder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3), 211-239. 

  26. Lee G., Seo M., Go G. & Park J. (1994). The Analysis of senior living reality and policy issues. Seoul,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7. Lee M. (2009). Rural-urban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aregivers' burden of impaired elders in Ko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4, 71-88. 

  28. Lee, S. H. & Sung, M. (2012). The Human development. Seoul, Korea: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29. Lee, S. Y. (2011, 12). Implications and policy direction. Conference conducted at the Age of Centenarians,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eoul, Korea. 

  30. Lim C. (1988). Supporting-attitude type of the married eldest son and his wife living seperately from his parents-intergenerational solidar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26(1), 163-177. 

  31. Min J. & Han G. (2007). Residential move and changes in social network: focused on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4), 861-879. 

  3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0). The Second survey on family reality (Government Publication No. 11-1383000-00035-01). Seoul,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33. Oh C. & Lee Y. (1992). Focusing on spouse's existence and health conditions-criteria for elderly's subsituations to identify their housing needs. 

  34. Oh, C. & Lee, Y. (1993).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ing depending on four aging situation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9(2), 35-44. 

  35. Park K. (2002). Family caregiver's preference for social care service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1), 241-260. 

  36. Seok J. & Yu E. (2007). Income support and care for the elderly: the balancing of aamily obligation and state responsibility. The Family Law Studies. 21(1), 31-56. 

  37. Seok S., Choi Ok., Song H., Lee E., Oh, J. & Shin H. (2011).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alysis report. Seoul, Korea: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38. Seok, J. (2009). The Differences and determinants in the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across generation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9(1), 163-191. 

  39. Song D. (2004). The Consciousness of family caregiving among women and elder care policy. Social Welfare Policy. 19, 207-233. 

  40. Sung, M. & Byun, J.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marital conflict for baby boomer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103-113. 

  41. Won Y. (1995). Living arrangem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5(2), 97-116. 

  42. Yoo. S. (1996). A Theoretical investigation-determinants of the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 among Korean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6(1), 51-68. 

  43. Yoon, H. & Yoo, H. (2006). Influences of family relations on the successful aging.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1), 5-31. 

  44. Yoon, S. (2011). Preparation for the 'generation of the 100-year-olds' and activation plans for leisure and cultural activity. Conference conducted at the Age of Centenarians,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eoul, Korea. 

  45. You B. & Hong H. (2005). Analysis on the contex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in the U.K., U.S.A., and Japan-with perspective of Franklin's social constructionism-,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5), 27-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