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 유형에 따른 취업주부의 일-가족 균형 지각: 가족친화제도를 중심으로
Work-Family Balance of Employed Married Women: Focusing on Family Friendly Work Policies of Workplac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4 = no.118, 2012년, pp.13 - 24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work policies on the work-family balance of employed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While previou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mily friendly work policies, the effects has often been confounded with the effects of ot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족친화제도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정책들이 실제 일-가족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작업은, 근거에 기초해서 가족정책(evidence based policies)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족친화제도의 효과를 좀 더 신뢰성 있게 분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면, 가족친화제도의 도입과 실질적 운영을 독려하고, 나아가 취업한 기혼여성의 일-가족 균형을 실질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일-가족 균형의 수준을 직장 유형에 따라 비교해 보고, 직장 유형에 따른 일-가족 균형의 차이가 근로자의 개인 특성, 직장의 근무 특성, 사업장의 가족친화 특성에 의해 설명되는 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통념대로 일-가족 균형이 직장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만약 다르게 나타난다면 관련된 설명변수들(개인 특성, 직장의 근무 특성)을 모두 통제한 이후에도 가족친화제도가 직장 유형에 따른 일-가족 균형 차이를 설명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만약 설명변수들을 모두 통제한 이후에도 가족친화제도가 근로자의 일-가족 균형의 차이를 설명한다면, 이것은 가족친화제도의 순수한 효과로 볼 수 있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일과 가족생활에서 역할과부하가 걸릴 수 있는 자녀양육기에 있는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본인의 교육수준, 가구소득, 자녀의 연령대와 같은 개인 특성과 직장 유형별 근무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친화제도 유무 및 이용 경험이 일-가족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러한 측면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직장 유형에 따라 구체적으로 근무 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다른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에 토대하여 일-가족 균형을 지원하는 직장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데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만약 공공기관 종사자가 민간 기업 종사자보다 일가족 균형감이 높다면, 공공기관의 어떤 특성 때문에 그런 결과가 나타났는지 파악하고 그 결과에 토대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일-가족 균형의 수준을 직장 유형에 따라 비교해 보고, 직장 유형에 따른 일-가족 균형의 차이가 근로자의 개인 특성, 직장의 근무 특성, 사업장의 가족친화 특성에 의해 설명되는 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통념대로 일-가족 균형이 직장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만약 다르게 나타난다면 관련된 설명변수들(개인 특성, 직장의 근무 특성)을 모두 통제한 이후에도 가족친화제도가 직장 유형에 따른 일-가족 균형 차이를 설명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근무시간은 OECD회원국 중 어떤 특징을 갖는가? 기혼여성의 취업률이 높아질수록 일-가족 균형 문제 역시 주요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된다. 우리나라의 근무시간은 OECD회원국 중 최장이며(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근무 탄력성 역시 낮은 편이다. 이러한 근로환경 때문에 자신의 실제 배우자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직장동료를 ‘office spouse’로 부를 정도이다.
자신의 실제 배우자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직장동료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우리나라의 근무시간은 OECD회원국 중 최장이며(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근무 탄력성 역시 낮은 편이다. 이러한 근로환경 때문에 자신의 실제 배우자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직장동료를 ‘office spouse’로 부를 정도이다.1) 이같은 기업환경은 모든 근로자의 일-가족 균형을 위협하는데, 특히 미취학자녀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이 기대되는 기혼여성에게 더욱 심각할 수 있다.
직장 유형에 따라 취업주부의 일-가족 균형 수준의 순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취업주부의 일-가족 균형 수준은 직장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사회적 통념과 유사하게 공무원 및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취업주부의 일-가족 균형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기업, 소기업, 중기업 종사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차이는 여러 가지 원인에 기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S. & Kim, K.(2010). The effect of the gender-related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output.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5(2), 285-309. 

  2. Cho, E.(1999). Role strain coping behaviors of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ing moth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7(4), 173-192. 

  3. Choi, S. & Yoo, G.(2007). Testing a model of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orporate policies on employees' outcom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2(2), 1-26. 

  4. Choung, S. & Lee, K.(2007).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work-family of married employee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1(1), 83-107. 

  5. Dex, S. & Smith, C.(2002). The nature and pattern of family-friendly employment policies in Britain. Bristol: The policy press for the Joseph Rowntree Foundation. 

  6. Evans, J. M.(2001). Firms' conbribution to the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labour market and social policy occasional papers. OCED: Paris. 

  7. Hong, M.(2012. 2.10). Office spouse, 'The sad portrait' of the longest work in the world. Retrieved from http://www.vop.co.kr/ view.php?cidA00000427744. 

  8. Jang. S.(2007). Work-family balance issues: Focus on gender and family/individual diversity. Social Welfare Policy, 30(9), 219-238. 

  9. Jeong, J., Jeong, S., Kang, N., & Jeong, J.(2010). The research on family friendly status of company and public sector in 201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ies. 

  10. Jeong, Y.(2004). A study on the work-family balance based on the family friendly polic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5), 91-100. 

  11. Jeong, Y.(2005). A study on work-family conflict and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4), 113-122. 

  12. Kang, H. & Choi, S.(2001).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6(1), 23-42. 

  13. Kang, J. & Park, K.(2009). The effect of family-friendly corporate welfare programs on job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4), 83-98. 

  14. Kim, H. & Cha, O.(2010). Work-family spillover in female workers: How their personal and workplace situations affect the work-family relationship.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4(2), 69-104. 

  15. Kim, H.(2001). A study on housework time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and on-site work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2), 83-96. 

  16. Kim, H., Chin, H., Ahn, Y., Kim, H., & Hwang, H. (2009). The Measure and analysis of family friendly index.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Kim, I. & Lee, D.(2009).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upportive environments in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19(2), 67-94. 

  18. Kim, P. & Kim, T.(2010).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s on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human resourc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5(2), 3-29. 

  19. Kim, S.(2010). Analysis of determinants of women's WFC in public organization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8(1), 171-196. 

  20. Kim, Y. & Lee, J.(2010). The effect of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al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focused. The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22(6), 563-578. 

  21. Ko, E.(1992). A study on stress internal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istress of employed wives. Sukmyeong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1). The statistical result on dual income household and career severance in 2011. 

  23. Lee, D.(2003). The relation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with marital satisfaction among dual-earner couple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4. Lee, S. & Kwon, Y.(2009).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workplace culture and paternal involvement. Family and Culture, 21(1), 1-28. 

  25. Lee, Y. & Song, K.(2009). Family friendly management, work characteristic, family characteristic,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6(4), 213-236. 

  2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0). Survey report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7.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2010). The repor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8. Moon, S. & Park, M.(2010). The pilot study on the diffusion of work-family balance in company. The action plan for building family friendly environment. The proceeding of Korean Home Management Spring Conference(#47). 316. 

  29. Ok, S., Chang, K., Choi, Y., Sung, M., Chin, M., Lee, J., & Kang.(2011). The base study on family polic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ies. 

  30. Shin, K. & Ok, S.(2000). The relations between midlife working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ward/cost of family role and work ro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8), 29-51. 

  31. Song, K. & Lee, Y.(2008).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support &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1(2), 57-78. 

  32. Voydanoff, P.(198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749-761. 

  33. Wise, S. & Bond, S.(2003). Work-life policy. Does it do exactly what it says on the tin?. Women in Management Review, 18(1), 20-31. 

  34. Yim, J. & Koh, S.(2010). The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on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1), 97-118. 

  35. Yoo, G.(2008a).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irms that adopt family-friendly polici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1), 249-270. 

  36. Yoo, G.(2008b).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ulture on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ies of liv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5), 27-37. 

  37. Yoon, S., Kim, H. & Koh, S.(2009). Needs and utilization of family-friendly work policies for the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1), 1-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