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막 통증 증후군의 통증 유발점 주사
Trigger Point Injection for Myofascial Pain Syndrome 원문보기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Ultrasound Society, v.7 no.2, 2014년, pp.127 - 131  

김철홍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박진우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인 골격근은 통증과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데, 통증 유발점이라는 특징적인 병변을 가지는 근막 통증 증후군이 골격근의 가장 흔한 병적 상황 중의 하나이다. 통증 유발점은 골격근 내의 taut band라고 불리는 띠안에 존재하는 과민한 통증성 국소 병변으로 국소 통증 뿐만 아니라 연관통 및 만성적인 관절운동 제한과도 동반된다. 다양한 치료법들이 시도되었으나 통증 유발점 주사법이 가장 효율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종설에서는 근막 통증 증후군의 일반적 병인과 통증 유발 주사의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keletal muscles which are the largest part of human body may develop pain and dysfunction. The myofascial pain syndrome that has trigger points as a unique characteristic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Trigger points are focal, hyperirritable painful areas located in a taut band of skeletal musc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대둔근이나 척추 주변 근육과 같은 두꺼운 피하 근육의 경우는 21 G이 필요하다.23) 바늘의 두께가 얇으면 환자가 편하기는 하지만 통증 유발점의 기계적 소멸을 유도하기 부족하거나 시술자가 주사에 대한 적절한 느낌을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간혹 taut band에 의하여 바늘이 휘어지기도 한다.2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막 통증 증후군 개선을 위해 시도된 비 침습적인 치료법은 무엇이 있는가? 1-3) 이러한 근골격계 통증성 질환은 인구의 활동에 장애 혹은 제한을 초래하는 주된 원인으로 이중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에 의해 근육의 통증이 발생하는 근막 통증 증후군(MFPS: myofascial pain syndrome)이 가장 흔한 근육 통증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4) 이 근막 통증 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비 침습적인 방법들-스트레칭, 마사지, 허혈성 압박(ischemic compression), 레이저, 온열 치료, 초음파, 약물치료-이 시도되어 왔으나 획기적인 수단이 되진 못하였고5-8) 침습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통증 유발점 주사(TPI: trigger point injection)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치료 전략이다.9)
근막 통증이란 무엇인가? 근막 통증이란 근육 내 존재하는 통증 유발점에 의한 근육의 통증을 지칭하는 것으로2,3) 통증 유발점 (trigger point)이란 근육 내 작고 과민한(hyperirritable; hypersensitive) 지점으로 자발적이거나 혹은 외부 압박에 의하여 연관통 영역(referred pain zone)이라고 알려진 타 근육 부위까지 통증이 수반되는 병변을 지칭하는 것이다.10-12) 그런데 이는 압박했을 때 그 지점만 통증이 발생하는 압통점 (tender spot)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통증 유발점 주사 치료를 피해야 하는 환자는 누구인가? 출혈성 질환, 아스피린을 포함한 혈전 방지제 장기 복용자, 감염, 국소 마취제 알레르기, 급성 근육 손상 등23,25)은 TPI를 피해야 하는 환자들이고, 이중 혈전 방지제 복용자는 최소 3일은 중지 한 후 시행할 것을 권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