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세대내 경량벽체 내화 및 차음 성능기준 설정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and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Apartment House Interior Finish Wall Lightweight Drywall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4 no.2, 2014년, pp.143 - 149  

안재홍 (Fir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  여인환 (Fir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  김경우 (Build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의 건축 형식이 벽식 구조에서 기둥식 구조로 변화하면서 기둥식 구조에서 사용되는 건식 경량벽체에 대한 내화성능과 차음성능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공동주택 세대간 벽체의 경우는 국내 건축법에서 이미 의무화되어 있는 기준이 있어, 국내에 기준이 없는 세대내 벽체를 대상으로 내화성능은 30분의 내화성능을 1등급으로 하여 3개 성능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차음성능은 Rw+C값이 최소 35dB를 최소등급으로 3개 성능 등급을 기준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structure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has been changing from wall to post-beam structure. This study examines the fire resistance and sound insulation of light-weight dried wall, a component of post-beam structure. For the fire resistance and sound insulation in Korea,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동주택 벽체의 차음구조의 경우 내화구조와 동일하게 세대간 벽체는 차음구조 인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인정을 획득한 차음구조가 다수 존재하는 관계로 세대간 벽체의 차음성능 평가는 생략하고, 세대내 벽체에 대하여 제시된 성능등급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벽체의 다양한 요구성능 중 내화 및 차음성능에 대하여 벽체에 요구되는 성능수준을 등급으로 설정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내화 및 차음성능을 공동주택 세대를 구분하고 있는 구획벽인 세대간 벽체와 동일 세대내에서 침실, 거실, 주방 등 세대내에서 내부공간을 구분하는 세대내 벽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화재시 초기 연소지연 효과를 가지는 마감재료의 난연성능에 대하여 동시에 고려하고자 한다.
  • 공동주택 차음성능은 기존의 법령에서 의무화하고 있는 세대간 벽체의 차음성능 기준에 따라 Table 2와 같이 세대간 벽체는 Rw+C 값이 최소 48dB 이상을 공동주택 세대간 벽체 차음성능 기준으로 하고자 한다. 그리고, 세대내 벽체의 경우는 공동주택에서 창호의 기밀성, 결로, 누수 등의 문제로 인한 벽체의 복합화로 실내 소음도가 실험실 수준(30dB)으로 낮아지고 있는 현실이므로 세대내 벽체의 차음성능을 높일 경우 공간간 소리의 이동이 극히 제한되어 재실자의 심리적 등 문제(우울증 등)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세대내에서 생활하는 재실자들이 대부분 가족일 것으로 판단하여, 세대간 벽체보다는 완화된 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 또한 일본건축학회의에서 사무실 간막이벽의 차음성능을 D-35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정상적인 생활감에 대응하여 피아노, 대화, 텔레비전 시청 등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음에 대하여 세대내 공간에서 잘 들리는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고, SH공사 보고서에도 세대내 벽체에 대한 차음성능 기준을 36dB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Table 4와 같이 세대내 벽체의 차음성능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1,10].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벽체의 다양한 요구성능 중 내화 및 차음성능에 대하여 벽체에 요구되는 성능수준을 등급으로 설정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내화 및 차음성능을 공동주택 세대를 구분하고 있는 구획벽인 세대간 벽체와 동일 세대내에서 침실, 거실, 주방 등 세대내에서 내부공간을 구분하는 세대내 벽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화재시 초기 연소지연 효과를 가지는 마감재료의 난연성능에 대하여 동시에 고려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의 건축 형식이 벽식 구조에서 기둥식 구조로 변화하면서 기둥식 구조에서 사용되는 건식 경량벽체에 대한 내화성능과 차음성능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공동주택 세대간 벽체의 경우는 국내 건축법에서 이미 의무화되어 있는 기준이 있어, 국내에 기준이 없는 세대내 벽체를 대상으로 내화성능은 30분의 내화성능을 1등급으로 하여 3개 성능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차음성능은 Rw+C값이 최소 35dB를 최소등급으로 3개 성능 등급을 기준을 제시하였다.
  • 전체 주거 형태에서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국내 현실과 공동주택 건설 양식이 기둥식 구조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기둥식 구조에 적합한 경량벽체의 성능등급 설정은, 향후 더욱 다양해지는 소비자 요구수준의 만족, 화재로부터 안전한 삶, 쾌적한 주거공간 확보라는 다양한 측면에서 내화 및 차음 성능을 설정하고 이를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다면, 국내 주거환경의 향상과 건축의 질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건식경량벽체의 내화 및 차음성능에 대한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세대간 벽체의 경우는 국내 건축 관련 법령에서 이미 의무화되어 있는 기준이 있어, 국내에 기준이 없는 세대내 벽체를 중심으로 성능등급 설정과 평가 및 고찰을 진행하였다.
  • 이는 내화성능의 경우 플래시오버(flashover) 이후의 구조 부재의 붕괴여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나 마감재료의 경우 초기 발화 및 화재의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를 포함하여 각국에서의 공동주택 벽체 마감재료에 대한 성능기준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세대간 벽체의 경우 현행 국내 법령에서 12층 또는 50m초과 공동주택의 세대간 벽체에 대하여는 2시간, 12층 또는 50m이하의 건축물에는 1시간의 내화성능을 의무화 하고 있으므로 세대간 벽체의내화성능 기준은 법령에서 제시한 규정을 따르며, 세대내 벽체에 대하여는 아래의 Table 3과 같이 내화성능 등급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기둥식 구조로 건설할 경우 경량벽체에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성능조건 중 내화성능과 차음성능 기준에 대하여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공동주택는 일반적으로 어떤 구조로 시공되어 왔는가? 국내 공동주택은 일반적으로 내력벽이 하중을 부담하는 벽식 구조로 설계 및 시공되어 왔으며,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주택 대량공급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시공효율성이 높은 벽식 구조의 장점이 맞물리면서 공동주택 건설시 일반화된공법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벽식 구조는 구조체인 벽체를 제거하거나 변경할 수 없어 주거문화 및 가족 구조의 변화 등 생활양식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조기 재건축으로 인한 건설 폐기물 발생과 에너지 낭비 등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벽체의 내화 성능뿐만 아니라 벽체 마감재료의 성능도 중요한 이유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벽체의 내화 성능뿐만 아니라 벽체 마감재료의 성능 또한 중요하다. 이는 내화성능의 경우 플래시오버(flashover) 이후의 구조 부재의 붕괴여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나 마감재료의 경우 초기 발화 및 화재의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를 포함하여 각국에서의 공동주택 벽체 마감재료에 대한 성능기준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벽식 구조의 단점은? 국내 공동주택은 일반적으로 내력벽이 하중을 부담하는 벽식 구조로 설계 및 시공되어 왔으며,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주택 대량공급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시공효율성이 높은 벽식 구조의 장점이 맞물리면서 공동주택 건설시 일반화된공법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벽식 구조는 구조체인 벽체를 제거하거나 변경할 수 없어 주거문화 및 가족 구조의 변화 등 생활양식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조기 재건축으로 인한 건설 폐기물 발생과 에너지 낭비 등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사회적으로 100년 이상 주거가 가능한 장수명 주택 등 공동주택도 기존의 벽식구조에 기둥식 구조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도달된 것으로 사료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Lee HJ, Kim HG, Research of lightweight wall system for long-life housing. Seoul(Korea);SH Corporation Urban research; 2010. 96 p. Korea. 

  2. Regulation on Building Evacuation & Fire-Prevention Use Structure Standard of 2013; 2013. Korea. 

  3. International CODE COUNCIL, 2012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L U.S.A: International CODE COUNCIL, INC.;2011. Section 310; 49-50 p, Section 803.1.1; 197 p. 

  4. Building Standard Act of 2013; 2013. Japan. 

  5. M.J.Billington, K.T.Bright, J.R.waters, The Building Regulations, 13th ed. Oxford:Blackwell Publishing; 2010. Chapter 7.18.6, 7.93-7.94 p, Chapter 7.21, 7.104-7.121 p. 

  6. Enforcement Ordinance of Construction Act of 2013; 2013. Korea. 

  7. Provision of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of 2013; 2013. Korea. 

  8. KS F 2808: Laboratory measurements of airborne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elements; 2011. Korea. 

  9. KS F 2862: Rating of airborne sound insulation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 2002. Korea. 

  10.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Design guide of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standard in buildings. Tokyo: AIJ; 1997. 6p, 28-29p. Japan. 

  11. Yoo YH, Development of fire spread protection and escape safety design technique according to standard fire model. Goyang(Korea):KICT; 2008. 16 p. Report No. :KICT2008-116. Korea. 

  12. KS F 2257-1:Methods of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General requirements; 2005. Korea. 

  13. KS F 2257-8:Methods of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Specific requirements for non-load bearing vertical separation elements; 2004. Korea. 

  14. ASTM E 84:Standard test method for surface burning characteristics of building materials; 2013.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