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축제 매력성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동래읍성역사축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ceived Attractiveness of Local Festival on the Esteem of Residents -Focusing on Dongnae Historical Festiva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2, 2014년, pp.203 - 210  

김한주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성공적 개최 및 사회문화적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축제에 대한 매력성, 축제만족도 및 지역자긍심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방문한 지역주민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축제의 매력성은 지역주민의 축제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축제만족은 지역주민들의 지역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매력성 중에서 지역축제의 신기성과 재미성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축제의 내용성, 독특성, 편의성 등이 모두 지역주민의 만족을 유인하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출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ttractiveness of local festival on local esteem of residents through the residents' satisfaction toward the festival. The survey was undertaken for four days during October 11 to 14 of 2013 in Dongnae, Busan. Two hundred twenty-three respondents were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래읍성역사축제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축제의 매력성이 지역주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한 후, 이러한 지역주민의 인식이 그들의 지역에 대한 자긍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지역 축제에 대한 매력성이 지역주민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을 연장하고, 실무적으로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역축제가 지역사회 활성화 및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서 그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자긍심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제19회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방문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축제의 매력성이 축제만족 및 지역주민의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축제의 매력성이 축제만족과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축제의 매력성은 5개 요인인 신기성, 독특성, 재미성, 내용성, 편의성으로 구성되어 방문객이 지역축제의 매력적인 유인요인에 이끌려 발현되는 동기를 지역축제의 매력성으로 간주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지역축제에 대한 매력성의 구성요소들이 축제만족의 동인으로서 유의한 선행요소가 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고, 또한 축제만족과 지역에 대한 자긍심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지역주민들의 매력성에 대한 인식은 축제만족 및 지역자긍심의 동인으로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지역축제 매력성은 축제에 대한 만족 및 지역에 대한 자긍심의 선행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자긍심을 측정하는 도구로 Rosenberg(1965)의 자긍심 척도 즉, 자아의 가치 및 존경심, 자기만족도, 자신감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소속집단에서의 가치를 중시하고 집단정체성을 갖게 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자긍심 측정에 있어서는 집단자긍심 척도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어 왔다[16][17]. 본 연구에서는 자신이 속한 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집단자긍심을 근거로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지역축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되면 지역에 대한 자부심이 크게 되고 지역에 계속 거주하고 싶고, 축제의 발전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영향 지각에 대한 측정과 그 결과에 대한 향후 관리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축제로 진행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래읍성역사축제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축제의 매력성이 지역주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한 후, 이러한 지역주민의 인식이 그들의 지역에 대한 자긍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지역 축제에 대한 매력성이 지역주민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을 연장하고, 실무적으로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동래읍성역사축제의 신기성이 높을수록 축제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1-2: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동래읍성역사축제의 독특성이 높을수록 축제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1-3: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동래읍성역사축제의 재미성이 높을수록 축제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1-4: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동래읍성역사축제의 내용성이 높을수록 축제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1-5: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동래읍성역사축제의 편의성이 높을수록 축제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1: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동래읍성역사축제의 매력성이 높을수록 축제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2: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축제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에 대한 자긍심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축제는 지역이미지 개선 및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어떻게 기여하는 가? 지역축제는 지역의 특성있는 역사와 문화예술 등 콘텐츠를 소재로 이벤트 및 축제 개최를 통해 지역축제를 관광상품화함으로써 지역이미지 개선 및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축제는 지역주민들의 소득증대, 고용창출, 지역관광산업 활성화 등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지역주민의 자긍심 고취 및 지역 주민들에게 보다 많은 여가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애향심을 고취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역축제의 매력성 요인과 관련되는 것은 무엇인가? 지역축제의 매력성은 관광객들이 축제를 자발적으로 찾아가는 동기유발이나 선택속성 요인과 관련되는데[6][7][8], 축제방문객의 경우는 관광객 자신의 마음속에 동기나 욕구가 생겨 관광객들이 스스로 관광목적지인 축제장을 방문하는 자발적 유인요인(pull 요인)보다는 축제 자체가 유발하는 비자발적 유인요인(push 요인)에 더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거론되는 대표적인 축제방문 동기유발요인으로 신기성 (novelty), 독특성(uniqueness), 재미성(excitement), 내용성(contents), 편의성(convenience) 등이 많이 거론되고 있다[6][8][9][10].
동래읍성역사축제의 주제는? 동래읍성역사축제는 이러한 동래읍성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임진왜란 때 동래성을 지키기 위해 동래부사 송상현과 동래읍성민들이 일치단결하여 결사 항전하던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한 축제로 10월 초순에 3일간 개최되며, 1995년 동래충렬제로 시작하였다가 2005년부터 동래읍성역사축제로 개편되었다. 축제의 주제는 ‘동래 성사람들 – 그 역사속으로’이며, 개최장소는 동래읍성 마당과 성벽 주변, 동래부의 관아 터, 동래향교, 충렬사, 동래장터, 복천박물관 등으로 역사축제 의미가 살아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 H. Gwak, C. H. Seo and B. G. Kim, The effect of local festival contents on local community residents' quality of life through the residents' perception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5, No. 8, pp. 3127-3144, 2012. 

  2. S. I. Koh, S. U. Oh, K. S. Koh and M. S. Cho, Evaluation of regional festivals by local residents: Difference of the attachment of regional community and effect recognition on regional festival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31, No. 4, pp. 177-198, 2007. 

  3. C. W. Kim, H. S. Seo and T. S. Lee, A study on perceived of festival impacts factor on residents'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 26, No. 6, pp. 119-139, 2012. 

  4. H. J. Song, Y. J. Choi and C. K. Lee, A study of festival visitor's loyalty based on experience econom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25, No. 6, pp. 179-198, 2011. 

  5. H. Lee and M. J. Kim, History of Korean festival: Focusing on the modern and comtemporary history.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35, No. 10, pp. 481-499, 2011. 

  6. H. J. Park, Y. G. Kwon, H. G. Lee, H. S. Joo, J. S. Choi and J. H. Park,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tourism motivation and preference behavior for the ubiquitous tourism service focused on the tourists planning to visit Yeosu EXPO.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 23, No. 2, pp. 223-244, 2011. 

  7. J. H. Oh, H. S. Ko and O. N. In, A study on determinants of post-behavioral intention to "Bus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pplied by path analysis of motivation, affective response, festival satisfaction.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 23, No. 4, pp. 329-348, 2011. 

  8. S. McDowall, A comparison between Thai residents and non-residents in their motivations, performance evaluations,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a domestic festival.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Vol. 16, No. 3, pp. 217-233, 2010. 

  9. J. K. Ju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 festival destination based on foreign visitors' motivation: Focused on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 17, No. 1, pp. 267-283, 2005. 

  10. H. J. Kim and S. M. Le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and destination image on foreign tourists' behavior in Busan: Focused o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 23, No. 2, pp. 25-40, 2011 

  11. S. H. Shim,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service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 and revisit intention of a local festival: Focusing on visitors of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 22, No. 4, pp. 377-394, 2010. 

  12. S. B. Cho, E. J. Eum, and S. H. Hyun, Predictors of firework festival satisfaction and city love: A case of Pohang Firework Festival, Korea Academy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Autumn Presentation Proceedings, 87-105, 2011. 

  13. S. B. Cho, J. S. Jin, and S. H. Hyun, The effect of attractiveness of local festival on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Boryeong Mud Festival.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27, No. 1, pp. 333-353, 2012. 

  14. S. K Kang and S. D. Choi,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of local society attachment for local resident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26, No. 1, pp. 103-117, 2002. 

  15. C. Jurowski, M. Uysal and D. R. Williams, A theoretical analysis of host community resident reactions to tourism.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 36, No. 2, pp. 3-11, 1997. 

  16. J. Crocker, R. Luhtanen, B. Blaine and S. Broadnax, Collectiv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white, black and Asia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20, No. 5, pp. 503-513, 1994. 

  17. H. R. Markus and S. Kitayama,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y Review, Vol. 98, pp. 224-253,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