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S-FET구조의 MWCNT 가스센서에서 Vgs의 변화에 따른 NOx 가스 검출 특성
NOx Gas Detection Characterization with Vgs in the MWCNT Gas Sensor of MOS-FET Type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7 no.4, 2014년, pp.257 - 261  

김현수 (가천대학교 전기공학과) ,  박용서 (가천대학교 전기공학과) ,  장경욱 (가천대학교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nanotubes (CNT) has the excellent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e sensor, medicine, manufacturing and energy fields, and it has been studied in those fields for the several years. We fabricated the NOx gas sensors of MOS-FET type using the MWCNT. The fabricated sensor was used to detect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림 1의 (a), (b)는 각각 가스 센서의 구조적 모식도와 가스센서의 가스 측정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MWCNT의 물성으로는 직경 30[nm], 순도가 93[%] 이상이며, 비표면적은 200[m2/g] 등의 물성 특성을 보였으며, 홀효과 측정기 (HEM-3000; Ecopia Co., Korea)를 이용하여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 가스센서의 MWCNT 표면에 가스분자의 흡착에 따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ield-effect transistor) 특성을 이용하여 가스센서의 Vgs 에 따른 Arrhenius 관계를 구하였다 [14,15].
  • 가스센서의 게이트-소스 사이에 전압 및 온도 변화와 NOx 가스농도에 따른 가스센서의 검출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가스 측정 온도 조건으로는 20℃와 40℃ 및 60℃에서 각각 가스 흡착 전 초기저항과 가스를 1회 당 8[ppm]씩 NOx 가스를 주입하고 120[sec]의 시간이 경과한 후 챔버 내 가스센서에 NOx 가스가 흡착하였을 때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 제작된 가스센서의 홀효과 측정기를 통하여 구조적 및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가스센서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 변화에 따른 가스센서의 NOx 가스 검출 특성을 실험하였다 [9]. 또한, NOx 가스의 농도와 온도에 따른 가스센서의 동작, 민감도 및 게이트-소스전압의 변화에 따른 흡착에너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 제작된 분산체를 2[㎏f/cm2] 압력으로 스프레이 기법을 이용하여 P-type 실리콘 위에 성막을 하였는데, 스프레이된 MWCNT막이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150℃의 핫플레이트 위에서 열처리하였다 [10]. 또한, P-type Si 위에 성막된 MWCNT 박막을 가스 센서로 사용하기 위하여 DC스퍼터를 이용하여 Au전극을 증착하였으며, 증착된 드레인-소스 전극 사이의 간격은 30[㎛]로 하였다. 또한 구리판을 이용하여 가스센서 하단부에 밀착시킴으로써 게이트 전극으로 이용하였다.
  •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소스 전압이 증가할수록 Si의 채널이 증가하여 드레인-소스 저항이 감소되는 크기가 증가되는 것으로 생각 된다 [12]. 또한, 가스센서의 저항변화로부터 식 (1)을 이용하여 가스센서의 민감도를 분석해 보았다 [13].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전도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 및 소형화가 가능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카본 나노튜브 (carbon nanotubes)를 화학 기상 성장법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MWCNT를 이용하여 MOS-FET 구조의 NOx 가스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가스센서의 홀효과 측정기를 통하여 구조적 및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가스센서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 변화에 따른 가스센서의 NOx 가스 검출 특성을 실험하였다 [9].
  • 정지형 가스 검출기 내에 온도 조절형 핫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그 위에 제작된 MWCNT 가스센서를 장착하였다. 가스센서의 게이트-소스 사이에 전압 및 온도 변화와 NOx 가스농도에 따른 가스센서의 검출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가스 측정 온도 조건으로는 20℃와 40℃ 및 60℃에서 각각 가스 흡착 전 초기저항과 가스를 1회 당 8[ppm]씩 NOx 가스를 주입하고 120[sec]의 시간이 경과한 후 챔버 내 가스센서에 NOx 가스가 흡착하였을 때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 제작된 가스센서는 정지형 가스 검출시스템에 장착하여 온도 (20∼60°C) 및 게이트-소스 전압의 변화에 따라 NOx 가스를 8[ppm]씩 120[sec] 간격으로 32[ppm]까지 주입 하면서 가스 농도와 온도에 따른 박막의 저항률 변화 특성과 가스센서의 게이트전극과 소스 전극간의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가스센서의 민감도를 측정하였으며, 게이트전극과 소스 전극에는 종합 계측기 (ED-4770; ED Co., Korea)를 사용하여 직류 (DC) 전압을 인가하였다 [11].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전도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 및 소형화가 가능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카본 나노튜브 (carbon nanotubes)를 화학 기상 성장법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MWCNT를 이용하여 MOS-FET 구조의 NOx 가스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가스센서의 홀효과 측정기를 통하여 구조적 및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가스센서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 변화에 따른 가스센서의 NOx 가스 검출 특성을 실험하였다 [9]. 또한, NOx 가스의 농도와 온도에 따른 가스센서의 동작, 민감도 및 게이트-소스전압의 변화에 따른 흡착에너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CVD법에 의해 제조된 MWCNT를 사용하였으며, 5[mg]의 MWCNT 분말과 40[ml]의 에탄올 용제를 혼합하여 분산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분산체를 2[㎏f/cm2] 압력으로 스프레이 기법을 이용하여 P-type 실리콘 위에 성막을 하였는데, 스프레이된 MWCNT막이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150℃의 핫플레이트 위에서 열처리하였다 [10]. 또한, P-type Si 위에 성막된 MWCNT 박막을 가스 센서로 사용하기 위하여 DC스퍼터를 이용하여 Au전극을 증착하였으며, 증착된 드레인-소스 전극 사이의 간격은 30[㎛]로 하였다.
  •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MWCNT 분산체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기법으로 P-type Si 웨이퍼 위에 MOS-FET 구조의 NOx 가스센서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박막에 대해서 미세구조, 전기적 특성 및 NOx 가스농도와 온도의 변화에 따른 검출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가스 센서의 MOS-FET구조의 게이트-소스 사이에 전압 (Vgs)의 변화에 따른 가스센서의 검출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서는 CVD법에 의해 제조된 MWCNT를 사용하였으며, 5[mg]의 MWCNT 분말과 40[ml]의 에탄올 용제를 혼합하여 분산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분산체를 2[㎏f/cm2] 압력으로 스프레이 기법을 이용하여 P-type 실리콘 위에 성막을 하였는데, 스프레이된 MWCNT막이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150℃의 핫플레이트 위에서 열처리하였다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 나노튜브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가스센서의 소형화를 위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을 이용한 가스센서의 연구가 진행되어 있는데 그 중 카본 나노튜브 (carbon nanotube)를 이용한 센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3-5]. 1991년 Iijima에 의해 발견된 탄소 나노튜브는 넓은 표면적, 화학적 안정성, 가스분자와의 뛰어난 흡착성, 소형화, 등의 장점 때문에 가스센서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8].
NOx가스를 챔버 내에 주입하였을 때 가스센서의 저항 변화가 일어나는 이유는? 이는 NOx가스를 챔버 내에 주입하면 P-type Si에 성막된 MWCNT가스센서 표면에 NOx 가스 분자가 흡착되어 가스센서의 저항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MWCNT 표면의 공유 결합 사이에 NOx가스의 분자가 흡착하게 되어 전자의 전달 경로가 증가되어 저항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게이트-소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P-type Si의 채널 폭이 확대되어 드레인-소스 전류의 흐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드레인-소스 저항 변화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의 실용화 되어있는 가스센서의 문제점은? 가스센서는 저 농도와 고농도 가스 검출을 요구하고 있으며, 낮은 동작 온도, 대량 생산, 소형화 등 조건을 고루 갖추어야 하지만 기존의 반도체식 가스센서, 광 학식 센서 및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등 기존의 실용화 되어있는 가스센서는 높은 동작 온도 조건, 높은 가격, 소형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G. Kim, S. C. Kang, E. J. Shin, D. Y. Kim, J. H. Lee, and Y. S. Lee, Appl. Chem. Eng., 23, 47 (2012). 

  2. U. S. Jo, S. I. Mun, Y. J. Kim, Y. H. Lee, and B. G. Ju, J. KIEEME, 17, 294 (2004). 

  3. B. L. Allen, P. D. Kichambare, and A. Star, Adv. Mater., 19, 1439 (2007). 

  4. T. Someya, J. Small, P. Kim, C. Nuckolls, and J. T. Yardley, Appl. Nano. Lett., 3 (2003). 

  5. S. J. Sim and J. P. Kim, J. Kor. Inst. Eng. & Chem., 14, 31 (2011). 

  6. S. Iijima, Nature, 354, 56 (1991). 

  7. J. Suehiro, H. Imakiire, S. Hidaka, W. Ding, G. Zhou, K. Imsaka, and M. Hare, Sensor and Act. B: Chem, 114, 943 (2006). 

  8. H. J. Yoon, D. H. Jun, J. H. Yang, Z. Zhou, S. S. Yang, and M.M.C. Cheng, Sensor and Act B: Chem., 157, 310 (2011). 

  9. E. H. Espinosa, R. Ionescu, C. Bittencourt, A. Felten, R. Erni, G. Van Tendeloo, J. J. Pireaux, and E. Llobet, Thin Solid Films, 515, 8322 (2007). 

  10. T. Ueda, S. Katsuki, N. Heidari Abhari, T. Ikegami, F. Mitsugi, and T. Nakamiya, Surf. Coat. Technol., 520, 5325 (2008). 

  11. H. S. Kim and K. U. Jang, J. KIEEME, 26, 325 (2013). 

  12. H. S. Kim, S. H. Lee, and K. U. Jang, J. KIEEME, 26, 707 (2013). 

  13. M. K. Kwon and Y. T. Hong, J. KIEEME, 22, 38 (2009). 

  14. W. J. Lee, M. K. Choi, and K. U. Jang, J. KSDIT, 11, 55 (2012). 

  15. A. Afzal, N. Cioffi, L. Sabbatini, and L. Torsi, Sensor and Act. B, 171, 2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