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섭식장애와 성장장애를 보이는 아동에 대한 다학제적 중재가 환모에게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and Failure to Thrive on Their Mother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5 no.1, 2014년, pp.20 - 27  

안경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유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장병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권정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intervention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ffects maternal mental health, parenting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in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and failure to thrive (FTT). Methods :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로, 다학제적 접근 중재 전후 부모의 불안 및 우울 등의 정서의 어려움,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집중적인 섭식 중재군에서의 이런 특성들의 변화와 중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섭식 및 성장에 어려움이 있는 환아들을 대상으로 집중섭식중재 및 유지치료 후 부모의 정서 상태,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중재 없이 관찰한 군과 비교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섭식 및 성장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학제적 접근에 의한 집중적인 섭식 중재 및 유지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로, 다학제적 접근 중재 전후 부모의 불안 및 우울 등의 정서의 어려움,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섭식 및 성장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학제적 접근에 의한 집중적인 섭식 중재 및 유지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로, 다학제적 접근 중재 전후 부모의 불안 및 우울 등의 정서의 어려움,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집중적인 섭식 중재군에서의 이런 특성들의 변화와 중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장장애란 무엇인가? 소아기의 섭식장애(feeding disorder)는 흔한 편으로, 정상 발달을 보이는 아동의 약 25%에서, 발달 지연을 보이는 아동의 약 80%에서 섭식의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으며,1) 심한 섭식장애가 지속되면 성장장애(failure to thrive)를 초래할 수 있다.2) 성장장애는 성장에 필요한 칼로리를 섭취하거나 이용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성장이 부적절한 질환으로서 뚜렷한 원인 없이 체중이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하는 것을 말하며, 일차 진료 수준에서 약 10%, 입원 환자의 3-5%에서 관찰되고, 크게 기질적 성장 장애와 비기절적 성장 장애로 나뉜다.3,4) 이런 섭식 및 성장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아동에게는 신체성장, 사회성 발달, 운동 발달, 그리고 정신적 발달이 방해될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는 고통을 초래하게 되어, 섭식 및 성장의 어려움이 있는 아이의 기질 및 부모의 정신병리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성장장애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소아기의 섭식장애(feeding disorder)는 흔한 편으로, 정상 발달을 보이는 아동의 약 25%에서, 발달 지연을 보이는 아동의 약 80%에서 섭식의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으며,1) 심한 섭식장애가 지속되면 성장장애(failure to thrive)를 초래할 수 있다.2) 성장장애는 성장에 필요한 칼로리를 섭취하거나 이용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성장이 부적절한 질환으로서 뚜렷한 원인 없이 체중이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하는 것을 말하며, 일차 진료 수준에서 약 10%, 입원 환자의 3-5%에서 관찰되고, 크게 기질적 성장 장애와 비기절적 성장 장애로 나뉜다.3,4) 이런 섭식 및 성장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아동에게는 신체성장, 사회성 발달, 운동 발달, 그리고 정신적 발달이 방해될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는 고통을 초래하게 되어, 섭식 및 성장의 어려움이 있는 아이의 기질 및 부모의 정신병리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섭식 및 성장의 어려움이 아이 및 부모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기질적으로 까다롭고 요구가 많거나, 부끄럽고 비사교적인 아이들이 섭식 어려움을 가지기가 쉽다.8-10) 한편, 섭식 및 성장의 어려움과 부모의 우울, 불안, 식이 어려움과 같은 정신병리가 상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5) 아이들이 기대한 만큼 섭식하지 않거나 성장하지 않게 되면 부모는 불안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으며,11,12) 역으로 우울과 불안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부모는 아이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지 못하거나 아이가 싫어하는 방식으로 섭식을 강요하게 되어 아이가 섭식의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12,13) 또한, 식이 및 성장의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을 양육하는 부모들은 높은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증가된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자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섭식의 어려움을 악화시킬 수 있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anikam R, Perman JA. Pediatric feeding disorders. J Clin Gastroenterol 2000;30:34-46. 

  2. Park SJ.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In: Hong KE, editor.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Seoul: Jungang Munwha Co.;2005. p.347-365. 

  3. Daniel M, Kleis L, Cemeroglu AP. Etiology of failure to thrive in infants and toddlers referred to a pediatric endocrinology outpatient clinic. Clin Pediatr (Phila) 2008;47:762-765. 

  4. Schwartz ID. Failure to thrive: an old nemesis in the new millennium. Pediatr Rev 2000;21:257-264; quiz 264. 

  5. Ammaniti M, Lucarelli L, Cimino S, D’Olimpio F, Chatoor I. Feeding disorders of infancy: a longitudinal study to middle childhood. Int J Eat Disord 2012;45:272-280. 

  6. Budd KS, McGraw TE, Farbisz R, Murphy TB, Hawkins D, Heilman N, et al. Psychosocial concomitants of children's feeding disorders. J Pediatr Psychol 1992;17:81-94. 

  7. Hagekull B, Dahl M. Infants with and without feeding difficulties: Maternal experiences. Int J Eat Disord 1987;6:83-98. 

  8. Lindberg L, Bohlin G, Hagekull B, Thunstrom M. Early food refusal: Infa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Infant Ment Health J 1994; 15:262-277. 

  9. Pliner P, Loewen ER. Temperament and food neophobia in children and their mothers. Appetite 1997;28:239-254. 

  10. Hagekull B, Bohlin G, Rydell AM. Maternal sensitivity, infant temperament, and the development of early feeding problems. Infant Ment Health J 1997;18:92-106. 

  11. Coultharda H, Harrisa G. Early food refusal: The role of maternal mood. J Reprod Infant Psychol 2003;21:335-345. 

  12. Harris G, Booth IW. The nature and management of eating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In: Cooper PJ, Stein A, editors. Feeding problems and eating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Vol 5. Chur: Harwood Academic Publishers;1992. p.61-84. 

  13. Murray L, Fiori-Cowley A, Hooper R, Cooper P. The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and associated adversity on early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later infant outcome. Child Dev 1996;67: 2512-2526. 

  14. Garro A, Thurman SK, Kerwin ME, Ducette JP. Parent/caregiver stress during pediatric hospitalization for chronic feeding problems. J Pediatr Nurs 2005;20:268-275. 

  15. Singer LT, Song LY, Hill BP, Jaffe AC. Stress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failure-to-thrive children. J Pediatr Psychol 1990;15: 711-720. 

  16. Hwang JB. Clinical approaches to failure to thrive of infants and toddlers: a new paradigm. J Korean Med Assoc 2012;55:770-776. 

  17. Choi SG, Kim SP, Lee S, Joung Y, Hong SD, Kim EY. Korean standardization of 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 for childre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201-210. 

  18. Shin SJ, Chung M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 Child Stud 1998;19:27-42. 

  19.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20. Yook SP, Kim ZS.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 Clin Psychol 1997;16:185-197. 

  21. Jon DI, Hong N, Yoon BH, Jung HY, Ha K, Shin YC,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Compr Psychiatry 2009;50:286-291. 

  22. Thomas A, Chess S.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Brunner/Mazel;1977. 

  23.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Charlottesville, VA:Pediatric Psychology Press;1990. 

  24. Gibaud-Wallston J, Wandersman LP.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roceeding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1978 Aug; Tronto, Ontario. 

  25.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71. 

  26. Beck AT, Epstein N, Brown G, Steer RA.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l 1988;56:893-897. 

  27. Hirschfeld RM, Williams JB, Spitzer RL, Calabrese JR, Flynn L, Keck PE Jr,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reening instrument for bipolar spectrum disorder: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Am J Psychiatry 2000;157:1873-1875. 

  28. Unlu G, Aras S, Guvenir T, Buyukgebiz B, Bekem O. [Family functioning, personality disorders, and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i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food refusal]. Turk Psikiyatri Derg 2006;17:12-21. 

  29. Greer AJ, Gulotta CS, Masler EA, Laud RB. Caregiver stress and outcomes of children with pediatric feeding disorders treated in an intensive interdisciplinary program. J Pediatr Psychol 2008;33:612-620. 

  30. Meyer EC, Coll CT, Lester BM, Boukydis CF, McDonough SM, Oh W. Family-based intervention improves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eeding interaction of preterm infants. Pediatrics 1994;93:241-246. 

  31. Craig GM, Scambler G, Spitz L. Why parents of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requiring gastrostomy feeding need more support. Dev Med Child Neurol 2003;45:183-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