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문산 산악지역의 봄철 기온특성
Characteristics of Springtime Temperature Within Mt. Youngmun Valley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1, 2014년, pp.39 - 50  

천지민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김규랑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이선용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강위수 (국가농림기상센터) ,  최종문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홍순성 (경기도 농업기술원) ,  박종선 (국가농림기상센터) ,  박은우 (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용삼 (양평군 농업기술센터)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정현숙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계곡에서 관측을 통하여 봄철 용문산 계곡의 온도 및 바람의 시공간적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2012년 3월부터 5월까지 기온 및 2, 3차원 바람을 관측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수리 계곡의 집중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용문산의 전기간 평균 기온감률은 $-0.44^{\circ}C$/100m이며 맑은 날($-0.48^{\circ}C$/100m), 강수일($-0.41^{\circ}C$/100m, 흐린 날($-0.40^{\circ}C$/100m) 순으로 기온감률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온상승률은 산 정상부분($0.89^{\circ}C$/1시간)에서 탁월한 대기와의 혼합효과에 의한 영향으로 계곡하부($1.45^{\circ}C$/1시간)보다 낮게 나타난다. 맑은 날 야간에는 산사면을 따라 냉각된 공기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온도와 바람장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계곡 저지대로부터 100-300m사이에서 온난대 형성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산정상과 계곡하부에서 측정한 고도별 온도분포의 관측결과 계곡하부에서는 지면으로 부터 1.5m까지 지면의 영향을 받는 냉기층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관측 높이별 바람분포를 관측한 결과 풍속은 높은 곳(3.5m)에서 강하며 비슷한 고도에 위치한 지점이어도 종관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점은 국지적인 바람의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views the results of recent observations in the Yeonsuri valley of Mt. Youngmun during springtime (March to May) in 2012. Automated weather stations were installed at twelve sites in the valley to measure temperature and 2, 3 dimensional wind. We examined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계곡에서 관측을 통하여 봄철 용문산 계곡의 온도 및 바람의 시공간적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2012년 3월부터 5월까지 기온 및 2, 3차원 바람을 관측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에서 나아가 산지에서 발생하는 기상현상을 더욱 조밀하고 정밀하게 관측하여 국지적인 산지의 기온분포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용문산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관측지점을 선정하고, 지점별로 4개의 높이에서 기온 및 바람을 측정하여 국지적 기상현상을 보다 세밀히 측정하고자 하였다.
  • 5m) 풍향 및 풍속의 시간평균을 종관 풍속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양평관측소의 10m 바람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풍속이 2.5m/s 이상인 날과 이하인 날로 구분하여 두 지점에서 종관풍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지점 모두 높은 곳 (3.
  • 용문산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관측지점을 선정하고, 지점별로 4개의 높이에서 기온 및 바람을 측정하여 국지적 기상현상을 보다 세밀히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봄철 용문산 산간지역의 기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수행한, 봄철 용문산 계곡의 온도 및 바람의 시공간적인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2012년 3월부터 5월까지 기온 및 2, 3차원 바람을 관측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수리 계곡의 집중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용문산의 전기간 평균 기온감률은 $-0.44^{\circ}C$/100m이며 맑은 날($-0.48^{\circ}C$/100m), 강수일($-0.41^{\circ}C$/100m, 흐린 날($-0.40^{\circ}C$/100m) 순으로 기온감률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온상승률은 산 정상부분($0.89^{\circ}C$/1시간)에서 탁월한 대기와의 혼합효과에 의한 영향으로 계곡하부($1.45^{\circ}C$/1시간)보다 낮게 나타난다. 맑은 날 야간에는 산사면을 따라 냉각된 공기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온도와 바람장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계곡 저지대로부터 100-300m사이에서 온난대 형성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산정상과 계곡하부에서 측정한 고도별 온도분포의 관측결과 계곡하부에서는 지면으로 부터 1.5m까지 지면의 영향을 받는 냉기층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관측 높이별 바람분포를 관측한 결과 풍속은 높은 곳(3.5m)에서 강하며 비슷한 고도에 위치한 지점이어도 종관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점은 국지적인 바람의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경기도 양평군의 특징은 무엇인가? 경기도 양평군은 동, 북, 서로 높은 산들이 둘러 쌓여있는 분지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산악형 분지 기후의 특징을 나타내어 같은 위도의 동해안 지방에 비해 연평균기온이 낮다. 그리고 주변에 위치한 북한강 상류의 댐이나 팔당댐 등이 한강수의 유동을 막아 겨울에 쉽게 동결되는 강물로 인해 내륙은 야간 복사냉각의 영향을 받는다(Hong and Ryu, 1997). 2010-2011년 경기도 농업기술원의 동상해 피해자료에 따르면 양평은 중부내륙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경기도 농업기술원 내부자료).
지구온난화로 인해 발생한 일은 무엇인가? 그러나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대해서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겨울의 길이가 짧아지고 최저기온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동해는 자주 발생되고 있다(Lee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r, S., and M. M. Orgill, 1989: Influence of external meteorology on nocturnal valley drainage wind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8, 497.517. 

  2. Barry, R. G., 2008: Mountain Weather and Climate (3rd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3. Chickering, J. W. Jr., 1884: Thermal belts, American Meteorological Journal 1, 213-218. 

  4. Chung, U., H. C. Seo, J. I. Yun, S. J. Jeon, K. H. Moon, H. H. Seo, and Y. S. Kwon, 2009: Extrapola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a mountainous terrain, Asia 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5(4), 473-482. 

  5. Chung, U., H. H. Seo, K. H. Hwang, B. S. Hwang, J. Choi, J. T. Lee, and J. I. Yun, 2006: Minimum temperature mapping over complex terrain by estimating cold air accumulation potential,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7, 15-24. 

  6. Choi, G. Y., B. R. Lee, S. K. Kang, and J. Tenhunen, 2010: Variations of Summertime Temperature Lapse Rate within a Mountainous Basin in the Republic of Korea - A case study of Punch Bowl, Yanggu in 2009.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4), 339-355. 

  7. Dunbar, G. S., 1966: Thermal belts in North Carolina, Geographical Review 56(4), 516-526. 

  8. Geiger, R., R. H. Aron, and P. Todhunter, 2009: The Climate Near the Ground (7thed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New York, 52. 

  9. Hong, S. J., and H. S. Ryu, 1997: The topography and landscape of the YangPyung. The second report on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1-6. 

  10. Heo, B. H., J. A. Lee, Y. O. Choo, J. H. Kim, N. C. Park, J. Y. Cho, S. J. Oh, M. S. Nho, and Y. J. Lee, 2005: Realtime Quality control system for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RQMOD).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90-391. 

  11. Kim, B. G., and Y. H. Park, 1967: The origin of the socalled Punch Bow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 61-66. 

  12. Kwon, Y. S., H. H. Lee, U. Han, W. H. Kim, D. J. Kim, D. I. Kim, and S. J. Youm, 1990: Terrain analysis of Haean basin in terms of earth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1(3), 236-241. 

  13. Lee, J. Y., 2009: Importance of hydrogeological and hydrologic studies for Haean basin in Yanggu.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4), 405-414. 

  14. Lee, M. H., B. W. Lee, Y. H. Kim, J. H. Lee, Y. H. Son, J. S. Chae, C. I. Jang, J. B. Lee, T. G. Oh, and S. H. Bae, 2010: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and fishery sectors and their measures for the global climate change.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Report, 7. 

  15.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1: Advanced Research on Industrial Meteorology (IV), 19-23. 

  16.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2: Advanced Research on Bio- and Industrial Meteorology (I), 8-24. 

  17. Oke, T. R., 1988: Boundary layer climates (2ndeds.), Routledge, New York. 

  18. Richner, H., and P. D. Phillips, 1984: A comparison of temperature from mountaintops and the free atmosphere - their diurnal variation and mean difference, Monthly Weather Review 112, 1328-1140. 

  19. Seo, H. C., S. J. Jeon, and J. I. Yun, 2008: Azimuthal distribu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s observed at sideslopes of a grass-covered inactive parasitic volcano ("Ohreum") in Jeju Island.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1), 25-31. 

  20. Song, H. Y., 2000: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mountain valley in winter. Han-Wol Academy, 121. 

  21. Yun, J. I., 2009: A simple method using a topography correction coefficient for estimating daily distribution of solar irradiance in complex terrain. The Korean Jo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1), 13-18. 

  22. Yun, J. I., D. S. Lee, J. Y. Choi, S. I. Cho, E. W. Park, and H. Hwang, 1999: Elevation-corrected spatial interpolation for near-real time generation of meteorological surface from point observation. AgroInformatics Journal 1(1), 28-33. 

  23. Yun, J. I., J. Y. Choi, and J. H. Ahn, 2001: The effect of climate data applying temperature lapse rate on prediction of potential forest distribution,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2), 96-104. 

  24. Yun, J. I., J. Y. Choi, Y. G. Yun, and U. Chung, 2000: A spatial interpolation model for daily minimum temperature over mountain regions,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 175-182. 

  25. Yoshino, M. M., 1984: Thermal belt and cold air drainage on the mountain slope and cold air lake in the basin at quiet, clear night, GeoJournal 8(3), 235-250. 

  26. Zangl, G., 2005: Dynamical aspects of wintertime cold-air pools in an Alpine valley system. Mon. Wea. Rev. 133 : 27212740, http://dx.doi.org/10.1175/MWR299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