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있어서 작업자세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허리 굴곡 자세를 중심으로-
A Study on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Back Flexion Postur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1, 2014년, pp.119 - 127  

박동현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노안나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최서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basis for quantitative index of working postures associated with WMSD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at could overcome realistic restriction during application of typical checklists for WMSDs evaluation. The baseline data(for a total of 603 jbs) for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동일한 작업에 대하여 분석결과에 대한 평가자간 일치율을 비교 했을 때 차이가 비교적 클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조립작업을 대상으로 하여 전체 작업주기동안 작업 자세관련 위험도를 작업자의 근골격계질환 관련 증상을 토대로 정량적으로 표현하여 평가자나 피 평가자들이 보다 더 현실감 있는 위험도 예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기존 평가방법의 이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평가자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파악하기에 앞서서 해당 작업을 수행해온 작업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증상 경험 여부와 해당 작업에서의 작업 자세 정보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적용하는 것이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작업을 수행해온 작업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증상 경험 여부와 해당 작업에서의 작업자세 정보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의 사례적 접근을 평가 방법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대부분의 사업장은 작업에 관련된 인간공학적 요소들을 축적한 자료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않고,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기준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체계적인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를 위하여 정량적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정립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결과의 타당성 검증 부분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관련성 등을 고려한 보다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방법을 도출하는데 있어서 좋은 토대가 되리라 판단 된다.
  • 본 연구에서는 A자동차회사의 주요부서의 총 603개 공정(작업주기: 약 0.9~3.0분)들을 기본 연구 대상으로 하고, A사 전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증상설문의 결과를 이용하여 작업 자세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참고로 설문에는 주요 신체 부위에 있어서의 증상뿐만 아니라 현재 수행하는 작업, 작업경력, 병력 등을 포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신체 부위별로 측정된 각도에 대한 K-평균 군집화 방법을 이용한 범주화에 있어서 각 군집 간(間)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군집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최초 군집의 수를 3개로 지정하여 군집을 실시하였고, 군집 간(間)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면 군집의 수를 증가시켜 다시 군집화를 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또한, 군집에 속한 변수의 수가 적을 때에는 가장 가까운 군집에 병합시켜 군집을 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리 조사한 증상설문조사 결과와 근골격계질환 발생으로 인한 치료 데이터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다음 그림은 통증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한 경우, 실제로 해당 신체부위에 근골격계질환이 발생한 비율을 표시하고 있다[Figure 3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유해요인조사에서 흔히 쓰이는 주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평가도구들의 현실적인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는 작업자세의 정량적 위험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해요인 평가나 작업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체크리스트 형태의 평가도구들은 작업주기 동안 한 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또는 열악한 작업 자세 한 두 동작에 대한 정보만을 분석하여 작업의 위험도를 평가하므로 작업의 강도나 지속시간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가도구 OWAS는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작업자세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OWAS의 경우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정밀한 분석에는 미흡한 단점이 있다. RULA와 REBA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에 있어서는 OWAS의 경우보다 한계를 가질 수있으나 정밀한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민감도를 요구하는 분석에는 OWAS의 경우보다 강점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16].
OWAS, RULA, REBA같은 타당성 평가들의 한계로 무엇이 제기되는가?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타당성 평가는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의 일치율에 근거하여 왔는데, 평가자내 일치율의 경우, 85%이상이면 좋은 일치도(good agreement)라고 알려져 있고[5], 평가자간의 일치율의 경우, 75%이상이면 그 결과를 인정(acceptable)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5]. 하지만 이와 같은 타당성에 대한 고려만으로 도출된 작업위험도 결과의 객관성 및 정확성을 설명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기존 평가방법의 이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평가자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파악하기에 앞서서 해당 작업을 수행해온 작업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증상 경험 여부와 해당 작업에서의 작업 자세 정보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적용하는 것이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근골격계질환자는 2010년과 2011년을 비교하면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최근 자료에 의하면 근골격계질환자는 2010년의 5,502명에 대비하여 2011년에는 약 7.7% 감소한 5,077명으로 나타났다[1]. 최근 근골격계질환발생의 이와 같은 지속적인 감소는 2003년에 도입된 근골격계질환 예방의무제도가 정착되고, 작업관련성 질환예방을 위한 정부의 지원사업이 확대된 결과라고 판단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1), "산업재해통계", http://www.kosha.or.kr/board. 

  2. 노동부(2010), "산업재해현황분석", http://www.index.go.kr/egams/. 

  3. 김정룡(2004),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인간공학", 민영사. 

  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8), "근골격계질환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 KOSHA Code H-30", 한국산업안전공단. 

  5. Altman, D.(1991), "Practical Statistics for Medical Research", Chapman & Hall, London, pp. 403-409. 

  6. Armstrong, T., Buckle, P., Fine, L., Harberg, M., Jonsson, B., Kilbom, A., Kuorinka, I., Silverstein, B., Sjogaard, G. and Viikari-Juntura, E.(1993), "A conceptual model for work-related neck and upper-limb musculoskeletaldisorder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19(2), pp. 73-74. 

  7. Bernard, B. (Ed.)(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erimity, and lower back". DHHS(NIOSH)Publication No. 97-14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8. 곽원택(2006), "인간공학적 작업부하평가 도구에 따른 근골격계 부담작업 평가 결과의 차이",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기도형, 박기현(2005), "작업 자세 평가 기법 OWAS, RULA, REBA 비교", 한국안전학회지, 20(2), pp. 127-132. 

  10. 이인석, 정민근, 최경임(2003), "지각불편도를 이용한 관찰적 작업자세 평가 기법의 비교", 대한인간공학회, 22(1), pp. 43-56. 

  11. 신용철(2004), "Rapid Entire Body Assessment의 신뢰도 및 타당성 평가",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4(1), pp. 1-6. 

  12. Brujin, I., Engle, A. and van der Gulden, J.(1998), "A simple metho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OWAS observations", Applied Ergonomics, 29(4), pp. 281-283. 

  13. Mattila, M., Karwowski, W. and Vilkki, M.(1992), "Analysis of working postures in hammering tasks on building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computerized OWAS method", Applied Ergonomics, 24(6), pp. 405-412. 

  14. Hair, J. Jr., Anderson, R., Tatham, R. and Black, W.(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Prentice Hall. 

  15. Johnson, R. and Wichern, D.(2007),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Prentice Hall. 

  16. Hignett, S. and McAtamney, L.(2000),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Applied Ergonomics, 31(2), pp. 201-205. 

  17. 정충영, 최이규(1996), "SPSSWIN을 이용한 통계 분석", 무역경영사. 

  18. May, S. and Lomas, D.(2010) "Posture, the Lumbar Spine and Back Pa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Rehabilitation, pp. 1-8. 

  19. 김영선, 권오준, 김기식, 구권호(2012), "한국 근로자의 요통 유병률과 근로환경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2(2), pp. 10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