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수오,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및 하수오의 형태적 형질 비교
Comparison of Cynanchum wilfordii, C. auriculatum, Metaplexis japonica and Polygonum multiflorum by Morphological Character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2 no.2, 2014년, pp.113 - 120  

김민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김인재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최성열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한동호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김영호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임상철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김태중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남상영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송범헌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박춘근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discriminate Cynanchum wilfordii, C. auriculatum, Metaplexis japonica, and Polygonum multiflorum by morphological characters. Cynanchum wilfordii, C. auriculatum, and Metaplexis japonica(Asclepiadaceae) were easily distinguished from Polygonum multiflorum by twin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백수오와 하수오 재배현황은 2012년 특용작물 생산실적 (2013, MAFRA) 통계상 백수오 (은조롱)가 20호 농가에서 9 ha가 재배되어 16M/T 생산되고 있으며, 하수오는 276호 농가에서 71 ha가 재배되어 222M/T이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백수오 (은조롱)와 혼동하기 쉬운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및 하수오의 영양기관, 생식기관 및 생약재로 사용되는 뿌리의 형태적 형질을 검토하여 白首烏의 정확한 식별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은조롱,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하수오의 꽃색은 어떠한가? 꽃색은 은조롱은 황록색, 이엽우피소는 황백색, 박주가리는 연한 자주색을 띠며, 하수오는 흰색이다 (Table 3). 흰색 계열의 꽃이 피는 은조롱, 이엽우피소, 하수오와는 달리 연한 자주색 꽃이 피는 박주가리는 이들과 쉽게 구별이 되므로 꽃색은 유용한 판별 형질이었다 (Fig.
은조롱,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하수오의 잎몸의 형태는 어떠한가? 1). 잎몸의 형태는 은조롱은 난형 또는 난상 심장형, 이엽우피소는 난형, 박주가리는 심장형, 그리고 하수오는 난상심장형으로 관찰되었다. 4종 모두 잎의 기부가 심장저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여 잎의 모양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잎의 크기는 이엽우피소가 특히 컸다 (Fig.
은조롱,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하수오의 꽃의 형질은 어떠한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꽃의 형질은 은조롱,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및 하수오를 구분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 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형질로 꽃색이 연한 자주색이고, 화관 열편 끝부분이 뒤로 말리면 박주가리이다. 작은 흰꽃이 원추형으로 피어 있으면 하수오, 꽃받침이 뒤로 젖혀져 있으면 이엽우피소, 그렇지 않으면 은조롱으로 구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HS, Zhu MF, Kim CS and Lee JH. (2003). Studies of name and herbal origins of Ha-Soo-Oh.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9:81-89. 

  2. Chung GY and Jeong HJ. (1999). Study on the leaf morphology of Korean Aster L. and its allied tax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2:50-61. 

  3. Hwang IS, Yoo JH, Seong ES, Lee JG, Kim HY, Kim NJ, Lee JD, Han JK, Ahn YS, Kim NY and Yu CY. (2012).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seed soaking on germination in Cynachum wilfordii Hems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36-139. 

  4. Kim MJ, Song BH, Nam SY, Kim IJ, Lee CH and Yun T. (2005). Effects of non-support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3:268-272. 

  5. Lee MY, Mo SY, Kim DW, Oh SE and Ko BS. (2001). Discrimination and genetic relationship of Adenophorae triphylla(Thunb) A. DC. var. japonica Hara and Codonopsis lanceolata Trauty using RAPD analysi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9:205-210. 

  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3). Statistical source book of ginseng 20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39-40. 

  7. Oh BU and Kim JG. (1996). Fallopia koreana(Polygon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6:257-262. 

  8. Oh YJ, Paik WK, Yoo KO, Lee WT and Kim SP. (2003). The morphological study of Saussurea chabyoungsanic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6:194-199. 

  9. Paik WK. (1999).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lia(Gentian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2:324-339. 

  10. Paik WK. (2003). Taxonomic studies of Korean Tripterospermum japonicum Max. and Pterygocalyx volubilis Max.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6:61-73. 

  11. Yoo GO, Lee WT and Ryu SY. (2000). External morphology and numerical taxonomy of Hanabusaya asiatica populations in different habitat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3:80-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