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하수오,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 종 판별법 개발
Development of Primer Sets for the Detection of Polygonum multiflorum, Cynanchum wilfordii and C. auriculatum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3, 2015년, pp.289 - 294  

김규헌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 ,  김용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 ,  김미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 ,  이호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 ,  이규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약연구과) ,  김종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약연구과) ,  성락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약연구과) ,  강태선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 ,  이진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 ,  장영미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성 식품원료로서 이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하수오,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에 대한 종 특이 프라이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종 특이 프라이머는 하수오,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에 대해 원물뿐만 아니라 육안 확인이 어려운 가공식품 등을 대상으로 사용원료의 진위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종 특이 PCR방법은 기존의 일반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지고 있는 식품 적용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apid screening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 species with similar appearance, Polygonum multiflorum, Cynanchum wilfordii and C. auriculatum, by using genetic markers. As a genetic marker, psbA-trnH gene in chloroplast was selected du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하수오,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의 종 판별을 위하여 엽록체 내 psbA-trnH 유전자를 대상으로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개발하였고 최적의 PCR 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개발된 판별법을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하수오, 백수오 원료 및 제품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백수오 및 하수오 제품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위 판별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유전자를 추출하였다. 하지만 가공 공정에 따른 가열 및 강압으로 DNA가 파괴 및 손실 됨에 따라 추출된 DNA양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법은 어떤 목적으로 이용되는가? 분자생물학 및 유전자 분석 기술의 발달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해 DNA 염기서열 차이를 이용한 종 판별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법은 종간 판별은 물론 동종 내에서의 판별이 가능한 방법으로 식품원료 진위 판별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16,23-25). 유전자는 모든 동·식물의 조직 내에 존재하며 식품 제조·공정 중 처리되는 압력, 고열 등에 대한 안정성이 단백질 보다 비교적 높은 장점이 있다.
식품 진위 판별에 유전자는 단백질과 다른 어떤 장점을 갖는가? 특히,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법은 종간 판별은 물론 동종 내에서의 판별이 가능한 방법으로 식품원료 진위 판별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16,23-25). 유전자는 모든 동·식물의 조직 내에 존재하며 식품 제조·공정 중 처리되는 압력, 고열 등에 대한 안정성이 단백질 보다 비교적 높은 장점이 있다. 유전자를 이용하는 방법 중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 영역을 증폭한 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정확한 종 판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염기서열 분석 시간이 비교적 길고, 유전자은행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염기서열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정확한 시료 동정이 어렵다.
열처리 가공식품에서의 식품원료 종 판별 시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하면 어떤 한계점이 있는가? 유전자를 이용하는 방법 중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 영역을 증폭한 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정확한 종 판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염기서열 분석 시간이 비교적 길고, 유전자은행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염기서열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정확한 시료 동정이 어렵다. 또한 비교적 긴 주형 DNA를 요구하기 때문에 열로 인해 DNA 손상 가능성이 있는 열처리 가공식품에서의 식품원료 종 판별에 한계가 있다. 최근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종 판별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특정 유전자 염기서열에만 반응하여 증폭시키는 프라이머를 개발하여 식품 중 식물성 원료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1,17,19,20,26,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se M.W., Cowan R.S., Holling sworth P.M., Van den Berg C. and Madrinan S.: A proposal for a standardised protocol to barcode all land plants. Taxon, 56, 295-299 (2007). 

  2. Chen S., Yao H., Han J., Liu C., Song J., Shi L., Zhu Y., Ma X., Gao T., Pang X., Luo K., Li Y., Li X., Jia X., Lin Y. and Leon C.: Validation of the ITS2 region as a Novel DNA barcode for identifying medicinal plant species., PLoS One, 5, e8613 (2010). 

  3. Choi H.S., Zhu M.F., Kim C.S. and Lee J.H.: Studies of name and herbal origins of Ha-Soo-Oh.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9, 81-91 (2003). 

  4. Focke F., Haase I. and Fischer M.: DNA-Based identification of Spices: DNA Isolation, Whole Genome Amplifica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9, 513-520 (2011). 

  5. Han J., Luan D.H.: Sow abortion caused by feeding Cynanchum auriculatum. Anim Husb Vet Med Xumu yu Shouyi, 16(6), 266 (1984). 

  6. Harmer J.E., Farrall L., Ortach M.J., Valent B. and Chunmley F.G.: Host species-specific conservation of a family of repeated sequence in the genomic of a fungal plant pathoge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6, 9981-9985 (1989). 

  7. Hebert P.D.N., Cywinska A., Shelley L.B. and Jeremy R.: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270, 313-321 (2003). 

  8. Herbert P.D.N., Retnasingham S., and DeWaard J.R.: Barcoding animal lif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divergences among closely related speci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270, 96-99 (2003). 

  9. Hwang T.Y., Seo M.J., Lee S.K., Park H.M., Jeong K.H., Lee Y.Y., Kim S.L., Yuu H.T., Lee J.E. and Kim D.W.: Discrimination of 110 Korean soybean cultivars by sequence tagged sites(STS)-CAPS markers.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 258-272 (2012). 

  10. Innocenzo M., Massimiliano P. and Enzo P.: Detection of DNA in virgin olive oils extracted from destoned fruits. 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224, 469-475 (2007). 

  11. Jo I.H., Bang K.H., Kim Y.C., Kim J.U., Shin M.R., Moon J.Y., Noh B.S., Hyun D.Y., Kim D.H., Cha S.W. and Kim H.S.: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 and molecular marker development for identification of Panax speci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21, 91-96 (2013). 

  12. Kim H.K., Kim Y.A., Lee A.Y. and Ko B.S.: Pattern analysis of Cynanchi wilfordi Radix and Polygoni multiflori Radix. Korea Journal of Pharmacognosy, 34(4), 278-281 (2003). 

  13. Kim M.J., Song B.H., Nam S.Y, Kim I.J., Lee C.H. and Yun T.: Effects of non-support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13, 268-272 (2005). 

  14. Kim M.J., Kim I.J., Choi S.Y., Han D.H., Kim Y.H., Lim S.C., Kim T.J., Nam S.Y., Song B.H., Oh B.U. and Park C.G.: Comparison of Cynanchum wilfordii, C. auriculatum, Metaplexis japonica and Polygonum multiflorum by morphological character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22, 113-120 (2014). 

  15. Kim M.K., Wang H., Kim Y.j., Sathiyamoorthy S., Kwon W.S. and Yang D.C.: Molecular authentication by multiplex-PCR of three similar medicinal plant species:Cynanchum wilfordii, Cynanchum auriculatum and Polygonum multiflorum (Fallopia multiflorum).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7(35), 2584-2589 (2013). 

  16. Kocher T.D., Thomas W.K., Meyer A., Edwards S.V., Paabo S. and Vellablanca F.X.: Dynamics of mitochondrial DNA evolution in animals: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with conserved prim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6, 6196-6200 (1989). 

  17. Kress W.J., Wurdack K.J., Zimmer E.A., Weigt L.A. and Janzen D.H.: Use of DNA barcodes to identify flowering pla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2, 8369-8374 (2005). 

  18. Kress W.J. and Erickson D.L.: A two-locus global DNA barcode for land plants: the coding rbcL gene complements the non-coding trnH-psbA spacer region. PLoS One, 2, e508 (2007). 

  19. Kress W.J. and Erickson D.L.: DNA barcodes : genes, genomics, and bioinformat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5, 2761-2762 (2008). 

  20. Lahaye R., Van der Bank M., Bogarin D., Warner J. and Pupulin F.: DNA barcoding the floras of biodiversity hotspo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5, 2923-2928 (2008). 

  21. Moon B.C. and Choo B.G.: Gene marker for classification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gerg, Cynanchum wilforid Max. Hemsl and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KR, 10-2009-0123113 (2009). 

  22. Olmstead R.G., Reeves P.A.: Evidence for the polyphyly of the Scropulariaceae based in chloroplast rbcL and ndhF sequence. Ann. Missouri Bot. Gard., 82, 176-193 (1995). 

  23. Park Y.C., Jin S.O., Kim M.R., Kim K.H., Lee J.H., Cho T.Y., Lee H.J. and Han S.B.: Detectio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Pueraria mirifica (Thai kudzu) in Processed Food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7, 466-472 (2012). 

  24. Park Y.C., Jin S.O., Lim J.Y., Kim K.H., Lee J.H., Cho T.Y., Lee H.J., Han S.B., Lee S.J., Lee K.H. and Yoon H.S.: Application for identification of food raw materials by PCR using universal primer.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7, 317-324 (2012). 

  25. Park Y.C., Lim J.Y., Kim M.R., Park Y.E., Lim J.D., Hwang C.R., Kim K.H., Lee J.H., Cho T.Y., Lee H.J., Lee S.J. and Han S.B.: Identification of faulty red pepper powder containing seasoned red-pepper sauc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7, 182-187 (2012). 

  26. Tomoaki M., Atsushi A., Takuma T., Sumitaka Y., Yutaka O. and Yoshida M.: Identification of animal species using the partial sequences in the mitochondrial 16S rRNA Gene. Legal Medicine, 11, 449-450 (2009). 

  27. White J.J., Bruns J., Lee S. and Taylor J.: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us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ic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 Academic press, 315-322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