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을철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수평 분포와 추가 영양염 공급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dditional Nutrients on Phytoplankton Growth and Horizontal Phyt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during the Autumn Season in Gwangyang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2 no.1, 2014년, pp.35 - 48  

배시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  김동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 기후연구부) ,  김영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  문창호 (국립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과 2011년 추계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그들의 성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만내외측의 19~20개 정점에서 생물학적 요인과 무생물학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영양염 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 현장 10개 정점의 표층수를 이용하여 생물검정실험을 수행하였다. 2010과 2011년의 영양염 수평적 분포특성은 내만해역I (정점1~9)과 섬진강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해역II (정점10~1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해역III (정점15~20)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해역별 차이가 명확하였다. 반면, 크기별로 분획된 Chl. a함량은 영양염농도가 낮은 해역으로 갈수록 극미소(Nano와 Pico)크기의 생물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양상은 2010년보다 2011년이 두드러졌다. 2010년 은편모조류가 대부분의 정점에서 85% 이상으로 우점하였고, 2011년에도 은편모그룹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군집중 대부분의 정점에서 50%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10년의 출현개체수의 1/10 수준에 머물렀다. 은편모그룹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생물군이 규조류 Chaetoceros spp.와 Skeletonema spp.로 나타났다. 생물검정실험에서는 전 해역에서 N첨가군과 NP첨가군의 효율이 대조군과 P첨가군에 비하여 높았고, 특히 현장 영양염농도가 낮게 기록된 정점8과 20의 NP영양염첨가군에서 약 2배의 높은 효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광양만에서 추계 갑작스럽게 높은 영양염이 공급될 경우 Skeletonema spp.와 같은 영양염 흡수능이 뛰어난 생물이 우점할 수 있을 것이며, 성층붕괴와 같은 일정량의 지속적인 영양염공급은 세포크기가 작은 기회성 특징을 가진 은편모그룹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additional nutrients on phytoplankton growth and horizontal phyt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during the autumn season in 2010 and 2011, we investigated the abiotic and biotic factors of surface and bottom waters at 20 stations of inner and offshore areas in Gw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의 역할을 무엇인가? 식물플랑크톤은 먹이 영양단계에서 상위 포식자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들은 광량, 수온, 염분, 영양염류와 같은 비생물학적인 요인과 더불어 상위 포식자의 포식압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해역의 환경특성에 따라서 시·공간적으로 시시각각 변동한다 (Mukai 1987;Frost 1991; Sommer 1994).
식물플랑크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식물플랑크톤은 먹이 영양단계에서 상위 포식자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들은 광량, 수온, 염분, 영양염류와 같은 비생물학적인 요인과 더불어 상위 포식자의 포식압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해역의 환경특성에 따라서 시·공간적으로 시시각각 변동한다 (Mukai 1987;Frost 1991; Sommer 1994). 우리나라와 같은 4계절이 뚜렷한 온대 해역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 춘계와 추계의 대증식이 잘 알려져 있고, 춘계의 대증식 (Spring bloom) 은 동계 수층혼합으로 공급된 영양염이 일사량 증가와 함께 작용하여 일어나며, 추계의 대증식은 하계 고갈된 영양염이 표층주변의 온도하강과 더불어 점차적인 성층의 파괴로 인하여 저층으로부터 재차 공급되는 영양염에 기인한다.
호우시 많은 양의 담수 유입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나? 만 북부지역에는 광양제철소와 남부지역에는 여천국가 산업단지가 위치해 있고,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서 생활 하수 및 산업공단지역으로부터 폐수가 유입될 수 있다. 호우시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되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광양만은 계절에 따른 강우 유입량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강우량의 차이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염 거동이 역동적으로 변동할 가능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 SW, DS Kim, YO Kim, CH Moon and SH Baek. 2014. The influence of nutrients addition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between spring and summer season in Gwangyang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19:53-65. 

  2. Baek SH and YO Kim. 2010. The study of summer season in Jinhae Bay - short 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and horizont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phytoplankton. Korean J. Environ. Biol. 28:115-124. 

  3. Baek SH, DS Kim, BG Hyun, HW Choi and YO Kim. 2011.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community distribution and nutrient limitation on growth rate of phytoplankton during a winter in Gwangyang Bay, Korea. Ocean Polar Res. 33: 99-111. 

  4. Baek SH, KS Shin, BG Hyun, PG Jang, HS Kim and OM Hwang.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e different water masses during early summer of southern sea of Korea. Ocean Polar Res. 32:1-13. 

  5. Barone R and L Naselli-Flores. 2003. Distribution and seasonal dynamics of Cryptomonads in sicilian water bodies. Hydrobiologia 502:325-329. 

  6. Cho ES, JB Kim, KH An, J Yu, JN Kwon and CS Jeong. 2006. The clarification of spatial-temporal patterns of phytoplankton from southern Korean coastal waters in 2004. J. Environ. Sci. 15:539-562. 

  7. Cho ES, SY Lee, SS Kim and YS Choi. 2007. Marin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June to October in 2004- 2006. J. Environ. Sci. 16:941-957. 

  8. Claesson A. and A. Forsberg 1978. Algal assay procedure with one or five species. Minitest. Mitt. Verein. Limnol. 21:21-30. 

  9. Clay BL, P Kugrens and RE Lee. 1999. A revised classification of Cryptophyta. Bot. J. Linn. Soc. 131:131-151. 

  10. Conway HL and PJ Harrison. 1997. Marine diatoms grown in chemostats under silicate or ammonium limitation. IV. Transient response of Chaetoceros debilis, Skeletonema costatum, and Thalassiosira gravida to a single addition of the limiting nutrient. Mar. Biol. 43:33-43. 

  11. Dortch Q and TE Whitledge. 1992. Does nitrogen or silicon limit phytoplankton production in the Mississippi River plume and nearby regions? Cont. Shelf. Res. 12:1293-1309. 

  12. Dufour P, L Charpy, S Bonnet and N Gracia. 1999. Phytoplankton nutrient control in the oligotrophic south Pacific subtropical gyre(Tuamotu Archipelago). Mar. Ecol. Prog. Ser. 179:285-290. 

  13. Fisher TR, ER Peele, JW Ammerman and LW Harding. 1992.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Chesapeake Bay. Mar. Ecol. Prog. Ser. 82:51-63. 

  14. Frost BW. 1991. The role of grazing in nutrient-rich areas of the open sea. Limnol. Oceanogr. 36:1616-1630. 

  15. Han MS, K Furuya and T Nemoto. 1992. Species-specific productivity of Skeletonema costatum in the inner part of Tokyo Bay. Mar. Ecol. Prog. Ser. 79:267-273. 

  16. Huisman J, P van Oostveen and FJ Weissing. 1999. Critical depth and critical turbulence: two different mechanisms for the development of phytoplankton blooms. Limnol. Oceanogr. 44:1781-1787. 

  17. Iriarte A and DA Purdie. 1994. Siz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biomass and primary production in a temperate estuary (Southampton water): the contribution of photosynthetic picoplankton. Mar. Ecol. Prog. Ser. 115:283-297. 

  18. Jang PG, WJ Lee, MC Jang, JD Lee, WJ Lee, M Chang, KC Hwang and KS Shin. 2005.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distributions in Gwangyang Bay. Ocean Polar Res. 27:359-379. 

  19. Joo HM, JH Lee and SW Jung. 2011. Correlations between cell abundance, bio-volume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coastal waters Incheon, Tongyeong and Ulsan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9:312-320. 

  20. Justic D, NN Rabalais, RE Turner and Q Dortch. 1995. Changes in nutrient structure of river-dominated coastal waters: stoichiometric nutrient balance and its consequences. Estuar. Coast. Shelf. Sci. 40:339-356. 

  21. Kawamiya M, MJ Kishi, MDK Ahmed and T Sugimoto. 1996. Causes and consequences of spring phytoplankton blooms in Otsuchi Bay, Japan. Cont. Shelf. Res. 16:1683-1698. 

  22. Kim SY, CH Moon and HJ Cho. 2003. Relationship between dinoflagellate cyst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and phytoplankton assemblages from Gwangyang Bay, a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8:111-120. 

  23. Klaveness D. 1989. Biology and ecology of the Cryptophyceae: state and challenges. Biol. Oceanogr. 6:257-270. 

  24. Kwon KY, CH Kim, CG Kang, CH Moon, MO Park and SR Yang. 2002. Limiting nutrients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s determined by algal bioassay experiment. J. Korean Fish. Soc. 35:455-462. 

  25. Kwon KY, CH Moon and HS Yang. 2001. Behavior of nutrient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 Korean Fish. Soc. 34:199-206. 

  26. Lee DS. 1999.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distribution in summer and winter in the South S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4:371-382. 

  27. Lee YS, JS Lee, RH Jung, SS Kim, WJ Go, KY Kim and JS Park. 2001. Limiting nutrient on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6:201-210. 

  28. Lim DI, IK Um, SK Jeon, JM Yoo and HS Jung. 2003.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pseudo-estuarine environment from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8:151-163. 

  29. Marshall HG and R Lacouture. 1986. Seasonal patterns of growth and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the lower Chesapeake Bay and vicinity. Estuar. Coast. Shelf. Sci. 23:115-130. 

  30. Mukai T. 1987. Effects of micro-scale in situ environmental gradients concerning water qualities on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a coastal embayment. Estuar. Coast. Shelf. Sci. 25:447-458. 

  31. Mulaert K and K Sabbe. 1996. The diatom genus Thalassiosira (Bacillariophyta) in the estuaries of the schelde (Belgium/ The Netherlands) and the Elbe (Germany). Bot. Mar. 39:103-105. 

  32. Munawar M, A Mudroch, IF Munawar and RL Thomas. 1983. The impact of sediment-associated contaminants from the Niagara River mouth on various size assemblages of phytoplankton. J. Great Lakes Res. (2):303-313. 

  33.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New York. 173pp. 

  34. Reynold CS. 1984. The Ecology of Freshwater Phytoplankton.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384pp. 

  35. Sommer U. 1994. The impact of light intensity and daylenght on silicate and nitrate competition among marine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39:1680-1688. 

  36. Thurman HV and AP Trujillo. 1999. Essentials of Oceanography. Prentice-Hall, Inc. pp.374-375. 

  37. Townsend DW, MD Keller, ME Sieracki and SG Ackleson. 1992. Spring phytoplankton blooms in the absence of vertical water column stratification. Nature 360:59-62. 

  38. Yi SH, YS Sin, SR Yang and C Park. 2005.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Asan Bay. Ocean Polar Res. 27:149-159. 

  39. Yoo MH, TY Song, ES Kim and JK Choi. 2007. The characteristics on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western Jinhae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12:305-3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