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정보 채널의 등장과 함께 빅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응용을 활성화기 위해 국가별 빅데이터 정책을 분석하고 분야별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를 기술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상 생활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응용 서비스 원천 기술 및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충북대학교 빅데이터생활형서비스 연구센터(BLSRC)를 소개하고 센터에서 개발한 응용 서비스를 기술한다. 또한 빅데이터 사용을 활성화하고 실생활에 응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데이터화가 가속 화되는 이유는? 스마트 단말 확산, SNS 활성화, 사물네트워크(M2M) 확산으 로 데이터의 폭발이 더욱 가속화 되며 점차 빅데이터화가 가속 화가 되고 있다. 새롭게 발생하는 데이터의 상당수는 비정형 데 이터로서 기존의 기법으로는 분석에 한계가 존재가 존재한다.
빅데이터의 3가지 특징은? 새롭게 발생하는 데이터의 상당수는 비정형 데 이터로서 기존의 기법으로는 분석에 한계가 존재가 존재한다. 빅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의 데이터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하는 역량을 넘어서는 데이터 집합으로 거대한 데이 터 양(volume), 빠른 데이터 유통 및 이용 속도(velocity), 데 이터 다양성(variety)을 특징을 가진다[8][11][19][20][21]. 센서 데이터, 웹 로그 데이터, 소셜 데이터 등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 됨에 따라 정형 데이터에서 비정형 데이터에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2].
심야버스에 빅데이터가 어떻게 적용되었는가? 서울시에서 야간 유동인구가 높은 지역들을 대상으로 운영된 심야버스는 귀가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시민들의 문제를 효과 적으로 해결한 정책이다[3]. 노선을 결정하고 시행하는 과정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2013년 3월 한 달간 시민들 이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사용한 KT 휴대폰 전화 데이터 30 억여 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영국 정부의 빅데이터 역량 강화 전략",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동향 보고서, 2014. 

  2. 박세환, "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 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pp.15-24, 2014. 

  3. 성지은, 박기량,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사례 분석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제24권, 제2호, pp.94-106, 2014. 

  4. "빅데이터(Big Data) 활용단계에 따른 요소기술별 추진동향 과 시사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방송통신기술 이슈& 전망, 제10호, pp.1-19, 2013 

  5. http://opengov.seoul.go.kr/section/1520565 

  6. "Big Data 글로벌 10대 선진 사례- 빅데이터로 세상을 리드하다",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7. "너 나은 미래를 위한 데이터 분석 Big Data 글로벌 선진사례 II",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8. 배상태, "과학기술정책 네트워크 분석 기반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 보고서, 2014. 

  9. "정부3.0 빅 데이터 활용 확대 방안", 안전행정부, 2013 

  10. "정부3.0 세부추진계획", 안전행정부, 2013 

  11. 이진형, "데이터 빅뱅, 빅 데이터(BIG DATA)의 동향",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통권 47호, pp.43-55, 2012 

  12. "빅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전망", KISTI Market Report, 2013 

  13. 배동민, 박현수, 오기환, "빅데이터 동향 및 정책 시사점",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5권, 제10호, pp.37-74, 2013 

  14. "싱가포르의 빅데이터(Big Data) 활성화 정책 분석", 해외 ICT R&D 정책동향, 2013년 07호, 2013. 

  15. 최진명, "빅 데이터 시대(Big Data Era)의 데이터 활용과 전략",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지역정보화 동향 분석, 제3호, pp.1-11, 2012 

  16. "일본 빅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분석과 국내 시사점 I", 한국인터넷진흥원 글로벌 정보통신(ICT).방송 Weekly Issue, 2014 

  17.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세상 Big Data 글로벌 선진 사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18. M. Saecker and V. Markl, "Big Data Analytics on Modern Hardware Architectures: A Technology Survey", Proc. European Business Intelligence Summer School, pp.125-149, 2012 

  19. J. S. Ward and A. Barker, "Undefined By Data: A Survey of Big Data Definitions", The Computing Research Repository, 2013 

  20. M. Chen, S. Mao, and Y. Liu, "Big Data: A Survey", Mobile Networks and Applications, vol.19, no.2, pp.171-209, 2014 

  21. "Big Data: Beyond the Hype: Why Big Data Matters to You", BY DATASTAX CORPORATION White Paper,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