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보건 분야의 공공-민간 파트너십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Issues on Public-Private Partnership of Global Health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1, 2014년, pp.4 - 12  

이현숙 (두원공과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김춘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and investigation of government agencies, communities, corporates, hospital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on-profit organization, and so on which perform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global health issues. Methods: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다음, 보건의료 관련 정부기관 및 정부산하 특별법인, 기업, 의료기관, NGO 및 NPO 등을 대상으로 국내·외 보건의료 분야의 PPP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 그 다음, 보건의료 관련 정부기관 및 정부산하 특별법인, 기업, 의료기관, NGO 및 NPO 등을 대상으로 국내·외 보건의료 분야의 PPP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위의 실증적인 자료분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파트너십을 정립하고 PPP 사업 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제보건기구와 외국 선진국의 PPP 사례를 통해 국제보건 원조에 적합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각 기관별 지원 및 중점 분야, 중점프로그램 영역, 중점 우선지원 국가 등 한국 내 파트너십이 가능한 잠재기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잠재적인 파트너십이 가능한 11개의 정부기관과 정부산하 특별법인, 8개의 지방자치단체, 27개의 기업, 20개의 병원 및 병원소속기관, 170개의 NPO 또는 NGO, 기타 1개 등 총 237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2011년 11월 1일부터 12월 1일까지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잠재적인 파트너십이 가능한 집단의 실질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환경 분석을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인 237개 기관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이를 통해 PPP 개념과 원칙, 파트너십 유형, 당면과제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국제보건 영역의 PPP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먼저, 우리나라 국제보건사업에 적절한 PPP의 개념 또는 가치를 규정하고자 한다. 그 다음, 보건의료 관련 정부기관 및 정부산하 특별법인, 기업, 의료기관, NGO 및 NPO 등을 대상으로 국내·외 보건의료 분야의 PPP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PP에서의 공공(public)이란? PPP에서의 공공(public)이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의 공공 자원을, 민간(private)은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private sector)의 자원을 의미한다[4].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5]에 따르면, ‘PPP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수행하는 공공서비스의 조달 및 이와 관련된 제반 방법’을 뜻한다.
PPP에 가장 타당한 원칙의 1, 2, 3순위는? 그 다음 PPP 원칙의 타당성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PPP에 가장 타당한 원칙의 1, 2, 3순위로는 각각 ‘투명성(transparency),’ ‘신뢰 (trust)’와 ‘역량(competencies)’ 순이었다. 또한 파트너십의 실현 가능한 대상 집단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NGO 집단은 NPO 및 NGO 가 가장 파트너십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집단이었고, 그 다음은 정부로 중앙정부부처가 파트너십의 실현가능성이 높은 집단이었고, 다음 순위는 기업으로 공공기업이 파트너십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집단이라고응답하였다.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는 이유는? 최근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안보, 사회, 경제, 환경, 빈곤 등 다양한 국제적인 이슈를 공동으로 대응하려는 요구에 따라 국제개발협력이 단순한 원조(aid)가 아닌 개발도상국 발전을 위한 개발(development)이라는 차원으로 인식과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 차원의 공공부문(public sector) 원조만으로는 개도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어렵고, 민간부문(private sector)인 시민사회와 다양한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들과의 협력이 강조되면서 개발원조의 질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공공-민간 파트너십(public-private partnership, PPP)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필요가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Special peer review: memorandum of republic of Korea.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8. 

  2.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pla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ector in 2011. [place unknow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2011. 

  3. Kim K. Korea: a case of government-led development. In: Leipziger DM, editor. Lessons from East Asia.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pp. 1-36 

  4. Link A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novation strategies and policy alternatives. New York: Springer; 2006. 

  5.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The study report of PPP project. Tokyo: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06. 

  6.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Geneva: World Economic Forum; 2008. 

  7.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The research of effective public-private partnership business model. Seongnam: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1. 

  8. International Monetary Fund. Manual on fiscal transparenc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7. 

  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AC statistical reporting directives.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2. 

  10. Choi MK. The revitalization of the private partnership of aid cooperation in Korea. Seongnam: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08. 

  11.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The building plan of ODA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the direction of PPP pilot projects related to our corporate. Seou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Development Cooperation Department; 2008. 

  12. Kang MS. The improvement of legislation for 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 Seoul: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11. 

  13. Jerome AT.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in Africa. Johannesburg: African Peer Review Mechanism Secretariat; 2008. 

  14.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infrastructure for development. Washington (DC): World Bank; 1994. 

  15. Stratton C. Mechanisms for job creation: quoted in OECD.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89. 

  16. Buse K, Harmer A;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Global health: making partnerships work: briefing paper. London: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07. 

  17. Kim CB, Han HJ, Park HJ, Lee HS.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healthcare sector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Seoul: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2012. 

  18. World Bank Operations Evaluation Department. The World Bank's approach to global programs: an independent evaluation. Washington (DC): World Bank; 2002. 

  19.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Feasibility of healthcare sector NGO support in developing countries: letter of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Seoul: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2011. 

  20.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Statistical compilations of foreign grants performanc. Seongnam: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