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방산 장기생태조사지에서 10년간 하층식생구조변화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 for 10 Years in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at Mt. Gyebang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1, 2014년, pp.1 - 11  

천광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양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  임종환 (산림청 국제협력과) ,  신준환 (국립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계방산 온대북부 낙엽활엽수림에서 하층식생(관목층과 초본층)의 식생조성 변화를 구명하였다. 조사지에 출현하는 식물은 56과 93속 124종 17변종 3품종 2아종 1미분류군으로 총 14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종면적 곡선에서 초본층과 관목층의 종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tel-test 분석 결과, 상층의 기저면적은 하층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p < 0.0001). 평균중요치는 관목층에서 생강나무(21.585%), 철쭉(19.774%)이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본층에서는 조릿대(14.082%)와 생강나무(7.921%)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의 NMS 배열 결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종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층의 기저면적 증가에 따라 반응하는 종이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본층 조사구의 NMS 배열 결과, 관목층의 철쭉과 진달래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MRPP-test에 대한 식생조성의 변화 결과, 관목층은 5년 그리고 10년에 따른 식생조성의 변화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초본층은 5년 그리고 10년에 따른 식생조성의 변화가 유의성 있게 분석되어, 하층식생 중 초본층의 종조성은 관목층보다 종조성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understory vegetation composition (shrub and herb layers) in Mt. Gyebang as a northern-temperate deciduous broadleaf forest. Tracheophytes were 146 taxa, consisting 56 families, 93 genera, 124 species, 17 varieties, 3 forma, 2 sub-species and 1 un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첫 번째, 장기생태연구지에서 관찰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층식생의 10년간 중요치의 변화 및 종수의 변화를 제시하고 하층식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상층식생의 영향을 밝히는 것. 두 번째, 관목층과 초본층의 식생조성의 변화를 구명하여 숲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산림생태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산림의 경영과 보전, 나아가 국토의 개발 및 계획 등 여러 가지 패러다임에서 산림생태계가 제시 할 수 있는 증거가 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첫 번째, 장기생태연구지에서 관찰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층식생의 10년간 중요치의 변화 및 종수의 변화를 제시하고 하층식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상층식생의 영향을 밝히는 것. 두 번째, 관목층과 초본층의 식생조성의 변화를 구명하여 숲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계방산 장기생태조사지의 하층식생변화를 구명함으로써 한국의 산림생태계의 동적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계방산 장기생태조사구의 초본층과 관목층 종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으며, Mantel-test 결과, 초본층과 관목층은 상층의 기저면적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의 하층식생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은? 산림에서 하층식생은 상층의 수관의 발달에 의해 크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광량(light level), 양분유효도(nutrient availability), 수관통과우(throughfall precipitation), 토양수분 함량 등에 영향을 받는다(Leith and Aston, 1969; Kellomäki et al., 1977).
하층식생의 종이 숲의 생태계에서 하는 역할은? 또한 하층식생은 동물의 먹이원이 되는 종자나 묘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동물의 은신처와 선택적인 먹이원이 될 수 있다(Saunders and Puettmann, 1999; Royo and Carson, 2008). 하층의 종은 숲 전체로 보았을 때 적은양의 생물량(biomass)을 구성하지만 목본층과 양분관계에서 목본층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며 강우에 의한 양분손실을 막아준다(Yarie, 1980; Gilliam, 2007; Peterson and Rolfe, 1982; Mabry et al., 2008).
하층식생의 역할은? , 1977). 또한 하층식생은 동물의 먹이원이 되는 종자나 묘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동물의 은신처와 선택적인 먹이원이 될 수 있다(Saunders and Puettmann, 1999; Royo and Carson, 2008). 하층의 종은 숲 전체로 보았을 때 적은양의 생물량(biomass)을 구성하지만 목본층과 양분관계에서 목본층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며 강우에 의한 양분손실을 막아준다(Yarie, 1980; Gilliam, 2007; Peterson and Rolfe, 1982; Mabr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raun-B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the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U.S.A. pp. 439. 

  2.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Brown Company. pp. 194. 

  3. Cha, Y.J. and Lee, K.J. 2002. Nutrients Contents and Biomass Production of Dwarf Bamboo (Sasa borealis) alo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Deciduous Forests after Clearcutting in Mt. Baekwoon, Chonnam Province,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3): 396-404. 

  4. Cheon, K.I., Jung, S.C., Lee, C.W., Byun, J.G., Joo, S.H., Yoo, J.H., Lee, S.G., Choi, C.H., and Park, I.H. 2012. Community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5(4): 81-95. 

  5. Cho, Y.C., Hong, J.G., Cho, H.J., Bae, K.H., and Kim, J.S. 2011.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1): 34-41. 

  6. Cho, Y.C., Kim, J.S., Lee, J.H., Lee, H.H., Ma, H.S., Lee, C.S., Cho, H.J., and Bae, K.H. 2009. Early Responses of Planted Quercus serrata Seedlings and Understory Vegetation to Artificial Gap Treatments in Black Locust Plant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1): 94-105. 

  7. Condit, R. 1995. Research in large, long-term tropical forest plot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Abbreviation 10: 18-22. 

  8. Gilliam, F.S. 2007.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the herbaceous layer in temperate forest ecosystems. Bioscience 57: 845-858. 

  9. Gregory, R.G., Liza, S.C., Leslie, L.M., Rick, C., and Stephen, P.H. 2006. Long-term research impacts on seedling community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a permanent forest plot. 2006.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34: 34-39. 

  10. Hart, S.A. and Chen, H.Y.H. 2006. Understory vegetation dynamics of North American boreal forests. Critical Reviews in Plant Sciences 25: 381-397. 

  11. Heo, J.A. and Lee, J.S. 2002. Analysis of Pine Tree's Subvegetation Environment in the Urban Park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0(1): 47-53. 

  12. Hobbie, J.E. 2003. Scientific accomplishments of the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an introduction. Bioscience 53: 17-20. 

  13. Jung, D.J., Kim, H.R., and Shin, M.Y. 2003.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for Prolific Open-Pollinated Progeny Stands of Pinus koraiensis by Environmental Facto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3): 151-157. 

  14. Kang, C. 2002. A Study of the Jackknife Estimate. Journal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34: 325-331. 

  15. Kellomaki, S., Hari, P., Vuokko, R., Vaisanen, E., and Kanninen, M. 1977. The aboveground growth rate of a dwarf shrub community. Oikos 29: 143-149. 

  16. Kim, J.S. and Kim, T.Y. 2012.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aegae, Paju. pp. 688. 

  17. Kim, J.W. and Lee, Y.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pp. 240.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Climatological data. http://www.kma.go.kr (2012. 12). 

  19.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pp. 560. 

  20. Lee, C.S., Cho, Y.C., Shin, H.C., Lee, C.H., Lee, S.M., Seol, E.S., Oh, W.S., and Park, S.A. 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o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6): 593-602. 

  21. Lee, K.J. 2007. Tree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514. 

  22. Lee, T.B. 1980.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990. 

  23.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umes. Hyangmunsa, Seoul. pp. 914. 

  2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umes. Hyangmunsa, Seoul. pp. 910. 

  25. Lee, Y.W. and Hong, S.C. 1995.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 5-6. 

  26. Lieth, H. and Aston, D.H. 1961.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of some herbaceous plants inside and outside deciduous woods in Germany. Canadian Journal of Botany 39: 1255-1259. 

  27. Lim, J.H., Kim, K.T., Shin, J.H., Chun, J.H., and Bae, S.W. 2003. Ecological Structure and Dynamics of Permanent Plot in Mt. Gyebangs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Conference. pp. 113-114. 

  28. Mabry, C.M., Gerken, M.E., and Thompson, J.R. 2008. Seasonal storage of nutrients by perennial herbaceous species in undisturbed and disturbed deciduous hardwood forests. Applied Vegetation Science 11: 37-44. 

  29. Macdonald, S.E and Fenniak, T.E. 2007. Understory plant communities of boreal mixedwood forests in western Canada: natural patterns and response to variable-retention harvesting.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2: 34-48. 

  30. McCune, B. and Grace, J.B.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300. 

  31. McCune, B. and Mefford, M.J.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32. McGeoch, M.A. 1998. The selection, testing and application of terrestrial insects as bioindicators. Biological Review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73(2): 181-201. 

  33. Mielke, P.W. Jr. and Berry, K.J. 1982. An Extended Class of Permutation Techniques for Matched Pairs.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Theory and Methods 11: 1197-1207. 

  34.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2003.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The Blackburn Press. New York, U.S.A. pp. 547. 

  35. Noss, R.F. 1990. Indicators for monitoring biodiversity:A hierarchical approach. Conservation Biology 4(4): 355-364. 

  36. Palmer, M.W. 1991. Estimating species richness: the secondorder jackknife reconsidered. Ecology 72: 1512-1513. 

  37. Park, S.G., Yi, M.H., Yoon, J.W., and Shin, H.T. 2012.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Community and Effect its Dis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Lower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 82-90. 

  38. Peterson, D.L. and Rolfe, G.L. 1982. Nutrient dynamics of herbaceous vegetation in upland and floodplain forest communities.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Journal 107: 325-339. 

  39. Phillips, D.L. and Shure, D.J. 1990. Patch-size effects on early succession in southern Appalachian forest. Ecology 71: 204-212. 

  40. Pugnaire, F.I., Haase P., and Puigdefabregas, J. 1996. Facilitation between higher plant species in a semiarid environment. Ecology 77: 1420-1426. 

  41. Royo, A. and Carson, W.P. 2008.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 dense understory on tree seedling recruitment in temperate forests: habitat-mediated predation versus competition.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8: 1634-1645. 

  42. Saunders, M.R. and Puettmann, K.J. 1999. Use of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and browsing patterns to predict deer damage in Eastern White pine (Pinus strobus) plantations. Nor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16: 96-102. 

  43. Silvertown, J. 1987. Introduction to Plant Population Ecology.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Harlow. pp. 229. 

  44. Sokal, R.R. and Rohlf, F.J. 1995. Biometry, 3rd edn. W.H. Freeman & Co. New York, U.S.A. pp. 887. 

  45. Spellerberg, I.F. 1991. Monitoring Ecological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p. 334. 

  46. Whigham, D.E. 2004. Ecology of woodland herbs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s.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5: 583-621. 

  47. Whittaker R.H. 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ogical Reviews 42: 207-264. 

  48. Yarie, J. 1980. The role of understory vegetation in the nutrient cycle of forested ecosystems in the mountain hemlock biogeoclimatic zone. Ecology 61: 1498-15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