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방산의 고도와 사면방위별 하층식생구조 및 지표종 분석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 by Altitude and Azimuth Slope and Indicator Species Analysis in Mt. Gyebang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2, 2014년, pp.165 - 174  

천광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주성현 (경북대학교 임학과)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전자원보호구역 및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계방산의 하층식생구조와 고도 및 사면별 지표종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지 출현식물은 80과 203속 303종 38변종 5품종 4아종 총 35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중요치 분석결과,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9.143%), 당단풍나무(7.594%), 노린재나무(6.347%) 등이 우점 하였고, 초본층에서는 조릿대(8.653%), 오리방풀(2.936%), 대사초(2.897%) 등이 우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MS 분석결과, 주요종의 분포범위는 고도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관목층: $R^2$ >0.3, 초본층: $R^2$ >0.6). Plexus diagram 분석결과, 당단풍나무는 함박꽃나무, 청시닥나무, 참회나무 등과 연관성이 있으며, 초본층의 벌깨덩굴은 투구꽃, 박새, 귀룽나무 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도에 따른 유의성 있는 지표종은 60종, 사면방위별 유의성 있는 지표종은 30종이 분석되었다. MRPP-test 결과, 고도에 따른 집단 간 종조성은 이질적이며, 사면방위에 따른 종조성은 NE와 SW 간에 이질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mposi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and indicator species by altitude and slope azimuth in Mt. Gyebang designated as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and National Park. Tracheophytes were 350 taxa; 80 families, 203 genera, 303 spec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계방산 일대의 하층식 생구조와 분포양상을 밝히고 고도와 사면별 현존하는 지표종을 분석하여 선호하는 환경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하층식생의 분포 양상 및 지표종 자료는 보호구역 및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곳의 희귀·특산식물, 생태계 교란종, 귀화식물 등 여러 가지 유형의 식물종의 관리와 보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립공원 및 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계방산 일대의 하층식생 구조와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여러 가지 유형의 산림 생태계경영 중 하층식생의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27개 조사지에서 출현한 식물은 총 350분 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중요치 분석 결과, 관목층에서는 미역 줄나무, 당단풍나무, 노린재나무, 철쭉 등이 우점하며, 초본층에서는 조릿대, 오리방풀, 대사초, 터리풀 등이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층식생의 다양성의 역할은? 산림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생태계경영에서 하층식생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물종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Min and Osbert, 2013). 일반적으로 상층식생의 다양성은 환경의 이질성을 높이게 되어 하층식생의 종 다양성을 향상시키는데(Beatty, 2003), 하층식생은 숲 전체에서 차지하는 생물량은 적은편이나 상층에 필요한 양분공급, 종자의 발아 및 유목의 보호, 동물의 먹이원 및 은신처 등 생태계에서 많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Yarie, 1980; Saunders and Puettmann, 1999; Gilliam, 2007; Royo and Carson, 2008; Mabry et al., 2008).
지표종의 역할은? , 2011). 또한 지표종은 생태계에서 핵심종(keystone species)의 역할을 하는 종으로 그 지역 및 환경에 현존하는 종이다(Dufrene and Legendre, 1997). 생태계 보존과 관리를 위한 목표는 고유종의 유지, 고유한 생태계의 보호, 여러 가지 생태계 경영을 위한 규제 내에서 인간 활동의 수용 등이 있다 (Grumbine, 1994).
MRPP-test에 필요한 집단 기준을 위해 고도를 어떻게 나누었는가? 고도는 300 m단위,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MRPP-test에 필요한 집단기준 중 명확하고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변량분석의 최저집단수(Mielke, 1984)에 기준하였다. 이에 고도는 Low (<1,000 m, 관목층 조사구 n=34, 초본층 조사구 n=35), Mid (1,001-1,300 m, 관목층 및 초본층 조사구 n=44), High (1,301 m>, 관목층 조사구 n=46, 초본층 조사구 n=48)의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사면방위는 Yang and Kim(2002) 의 방법에 의한 4개 사면방위의 구배로 나누었으며, NE (0-90°, 관목층 조사구 n=20, 초본층 조사구 n=21), SE (91-180°, 관목층 조사구 n=24, 초본층 조사구 n=25), SW (181-270°, 관목층 및초본층 조사구 n=51), NW (271-359°, 관목층 조사구 n=29, 초본층 조사구 n=30)의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n, H.C., Kim, G.T., Choo, G.C., Um, T.W., Park, S.B., and Park, E.H. 2010.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of Picea jezoensis Stands at Cheonwangbong Area, Jirisan (M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4): 590-596. 

  2. Barbier, S., Chevalier, R., Loussot, P., Berges, L., and Gosselin, F. 2009. Improving biodiversity indicators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ree genus abundance rather than tree genus richness and dominance for understory vegetation in French lowland oak hornbeam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8: 176-186. 

  3. Beatty, S.W. 2003. Habitat heterogeneity and maintenance of species in understory communities. In: Gilliam, F.S., Roberts, M.R. (Eds.), The Herbaceous Layer in Forests of Eastern North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77-197. 

  4. Braun-B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the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U.S.A. pp. 439. 

  5.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Brown Company. p. 194. 

  6. Brunet, J., von Oheimb, G., and Diekmann, M. 2000. Factors influencing vegetation gradients across ancient-recent woodland borderlines in southern Swede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1: 515-524. 

  7. Cheon, K.I., Jung, S.C., Youn, H.J., Byun, J.K., and Joo, S.H. 2012.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thunbergii Stand in the Eastern Coast of Gyeongsangbuk-do.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46(4) :57-68. 

  8. Cho, M.G., Jung, J.M., Jung, H.L., Kang, M.Y., and Moon, H.S.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46(5): 1-10. 

  9. Cho, Y.C., Hong, J.G., Cho, H,J., Bae, K.H., and Kim, J.S. 2011a.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1): 34-41. 

  10. Cho, Y.C., Kim, J.S., Lee, C.S., Cho, H.J., Lee, H.Y., and Bae, K.H. 2011b. Early Successional Change of Vegetation Composition After Clear Cutting in Pinus densiflora Stands in Souther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240-245. 

  11. Cho, Y.C., Kim, J.S., Lee, J.H., Lee, H.H., Ma, H.S., Lee, C.S., Cho, H. J., and Bae, K.H. 2009. Early Responses of Planted Quercus serrata Seedlings and Understory Vegetation to Artificial Gap Treatments in Black Locust Plant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1): 94-105. 

  12. Chun, S.H., Lee, H.S., and Lim, J.H. 2009. Distributional Patterns of Understory Vegetation at Mt. Geumdae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3): 339-350. 

  13. Curtis and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V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14. Dufrene, M. and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 345-366. 

  15. Gilliam, F.S. 2007.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the herbaceous layer in temperate forest ecosystems. Bioscience 57: 845-858. 

  16. Grumbine, R.E. 1994. What is ecosystem management? Conservation Biology 8: 27-38. 

  17. Hanley, T.A. 2005, Potential management of young-growth stands for understory vegetation and wildlife habitat in southeastern Alask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2(1): 95-112. 

  18. Heo, J.A. and Lee, J.S. 2002. Analysis of Pine Tree's Subvegetation Environment in the Urban Park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0(1): 47-53. 

  19. Jang, G.K., Song, H.K., and Kim, S.D. 1997. Study on 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 - do by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WINSP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2): 214-222. 

  20. Jung, S.H. and Kim, J. H. 2013.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by Consecutiv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Mt. Jir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3): 407-414. 

  21. Kang, C. 2002. A Study of the Jackknife Estimate. Journal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34: 325-331. 

  22. Kazuaki, T., Toshiya, O., and Kazuhiko, T. 2013. The combined effects of conservation policy and co-management alter the understory vegetation of urban woodlands: A case study in the Tama Hills area, Japa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0: 87-98. 

  23. Kellomaki S., Hari, P., Vuokko, R., Vaisanen, E., and Kanninen, M. 1977. The aboveground growth rate of a dwarf shrub community. Oikos 29: 143-149. 

  24. Kim, J.S. and Kim, T.Y. 2012.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aegae, Paju. pp. 688. 

  25. Kim, J.W. and Lee, Y.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pp. 240. 

  26. Korea Forest Service.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Geobook. Pocheon. pp. 332. 

  2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Climatological data. http://www.kma.go.kr (2013. 12). 

  28.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pp. 560. 

  29. Lee, M.J., Song, H.K. and Lee, S. 2001.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of Songinbong and Taeharyong in Ullungdo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WINSPAN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1): 57-66. 

  30. Lee, K.Y., Lee, S.W., and Song, H.K. 1997. The Analysis of Vegetation -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the Coniferous Forests in Subalpine Districts of Mt. Chiri by TWINSPAN and CC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3): 279-278. 

  31.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umes. Hyangmunsa, Seoul. pp. 914. 

  32.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umes. Hyangmunsa, Seoul. pp. 910. 

  33. Leith, H. and Aston, D.H. 1961.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of some herbaceous plants inside and outside deciduous woods in Germany. Canadian Journal of Botany 39: 1255-1259. 

  34. Mabry, C.M., Gerken, M.E., and Thompson, J.R. 2008. Seasonal storage of nutrients by perennial herbaceous species in undisturbed and disturbed deciduous hardwood forests. Applied Vegetation Science 11: 37-44. 

  35. McCune, B. and Grace, J.B.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 300. 

  36. McCune, B. and Mefford, M.J.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37. Mielke Jr, P.W. 1984. Meteorological applications of permutation techniques based on distance functions. Handbook of statistics 4: 813-830. 

  38. Min, Y. and Osbert, J.S. 2013. Effects of forest patch type and site on herb-layer vegetation in a temperate forest ecosyste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00: 14-20. 

  39.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2003.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The Blackburn Press. New York, U.S.A. pp. 547. 

  40. Odion, D.C., Sarr, D.A. 2007. Managing disturbance regimes to maintain diversity in forested ecosystems of the Pacific Northw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6: 57-65. 

  41. Oh, B.U., Cho, D.G., Kim, K.S., and Jang, C.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Daesin, Seoul. pp. 205. 

  42. Palmer, M.W. 1991. Estimating species richness: the secondorder jackknife reconsidered. Ecology 72: 1512-1513. 

  43. Park, I.H. and Seo, Y.K. 2002.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5) - Adequate Number of Plots for Tree and Shrub Strata in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s at Guryongsan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5(4): 394-400. 

  44. Royo, A. and Carson, W.P. 2008.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 dense understory on tree seedling recruitment in temperate forests: habitat-mediated predation versus competition.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8: 1634-1645. 

  45. Rubio, A., Gavilan, R.G., Montes, F., Gutierrez-Giron, A., Diaz-Pines, E., and Mezquida, E.T. 2011. Biodiversity measures applied to stand-level management: can they really be useful? Ecological Indicators 11: 545-556. 

  46. Saunders, M.R. and Puettmann, K.J. 1999. Use of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and browsing patterns to predict deer damage in Eastern White pine (Pinus strobus) plantations. Nor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16: 96-102. 

  47. Song, H.K., Jang, G.K., and Kwon, K.W. 1995. An Analysis of the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Major Hardwood Communities by TWINSPAN and CANOCO.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8(1): 99-108. 

  48. Song, H.K. and Kim, S.D. 1992. The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in Mt. Paekdu by Two - 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1(4): 310-319. 

  49. Thorsten K., Amparo A., Jurgen K., and Michael, K. 2013. Effects of altitude and climate in determining elevational plant species richness patterns: A case study from Los Tuxtlas, Mexico. Flora 208: 197-210. 

  50. Yang, H.M. and Kim, J.H. 2002. Analysis and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by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nal of Forest Science 18: 73-86. 

  51. Yarie, J., 1980. The role of understory vegetation in the nutrient cycle of forested ecosystems in the mountain hemlock biogeoclimatic zone. Ecology 61: 1498-1514. 

  52. Zhang, M., Kim, J.S., Cho, Y.C., Bae, S.W., Youn, C.W., Byun, B.G., and Bae, K.H. 2013. Initial Responses of Understory Vegetation to 15%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in Mature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in Gyungsangbuk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239-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