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원수종 쉬나무 수꽃과 암꽃의 화밀분비량, 당 함량 및 아미노산 분석
Analysis of Secreted Nectar Volume, Sugar and Amino Acid Content in Male and Female Flower of Evodia daniellii Hemsl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1, 2014년, pp.43 - 50  

김문섭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세현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송정호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혜수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밀원수종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쉬나무를 대상으로 수꽃과 암꽃의 화밀 분비량, 당 함량 및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수확할 수 있는 꿀의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기도 화성시의 2012년 쉬나무 수꽃의 개화 최성기는 7월 24일부터 26일이었으며, 평균 화밀분비량은 $2.73{\pm}0.73{\mu}L$, 화밀 당도는 17.4%를 나타냈다. 2012년 암꽃의 개화 최성기는 8월 7일부터 9일이었으며 평균 화밀분비량은 $0.63{\pm}0.49{\mu}L$, 화밀 당도는 25.7%를 나타냈다. 기상인자와 상관분석 결과, 화밀 분비량과 화밀 당도는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꽃 한 개당 당 함량을 산출한 결과, 수꽃은 $48.0{\pm}5.2{\mu}g$, 암꽃은 $37.8{\pm}8.7{\mu}g$으로 분석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Mann-Whitney's U-test, p=0.400). 이러한 당 함량을 가지고 수꽃 1개 화서에서는 최소 67.8 g, 암꽃 1개 화서에서는 최소 53.3 g의 꿀을 수확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아미노산 분석 결과, Serine, Glycine 및 Alanine은 수꽃에서 더 많은 함량이 검출된 반면, Asparatate, Glutamate, Asparagine 및 Glutamine은 암꽃에서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어 수꽃과 암꽃에서 7개의 아미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secreted nectar volume, nectar sugar content and amino acid in addition to estimating honey quantities that can ultimately reap in male and female flowers of Evodia daniellii Hemsl.. The maximum blooming period of male flowers was on 24 to 26 July in 2012. On a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ee-bee tree라고 불리며 고품질 벌꿀 생산을 위한 밀원수종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쉬나무를 대상으로 수꽃과 암꽃의 화밀 분비량, 당 함량 및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수확할 수 있는 꿀의 양을 추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밀생산의 동태란 무엇인가? , 1996). 또한 화밀은 개화기간 동안에 분비와 중단 그리고 재흡수를 반복할 수 있으며, 그것을 화밀생산의 동태(Dynamic)라고 한다(Wolff et al., 2006).
화밀에서 주요 당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 2003). 화밀에서의 주요 당은 이당체인 설탕과 6탄당 단당체인 포도당과 과당으로 구성된다. 규칙적인 변화는 아니었으나, 같은 종 안에서 화밀 생산의 변화는 개화 단계에 의하여 영향 받을 수 있고, 화밀 당도는 개화 단계와 시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된 바 있다(Petanidou et al.
쉬나무 목재의 특징은? 열매는 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검정색을 띄고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이나 등유로 이용하였다. 목재는 가구재나 건축재로 사용되고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관리가 용이하며(Lee, 1985), 밀원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들이 꽃을 많이 피우지 않는 7~8월에 꽃이 피기 때문에 밀원의 소재로서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izen, M.A. and Basilio, A. 1998. Sex differential nectar secretion in protandrous Alstremeria aurea (Alstremeriaceae); in production altered by pollen removal and receipt. American Journal of Botany 85: 245-252. 

  2. Baker, H.G. and Baker, I. 1982. Chemical constituents of nectar in relation to pollination mechanism and phylogeny. In: M.H. Nitecki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iochemical aspects of evolutionary biology 131-171. 

  3. Beutler, R. 1953. Nectar. Bee World. 34: 106-116, 128-136, 156-162. 

  4. Carter, C., Shafir, S., Yehonatan, L., Palmer, R.G., and Thornburg, R. 2006. A novel role for proline in plant floral nectars. Naturwissenchaften 93: 72-79. 

  5. Corbet, S.A., Willmer, P.G., Beament, J.W.L., Unwin, D.M. and Prys-Jones, O.E. 1979. Post-secretory determinants of sugar concentration in nectar. Plant Cell and Environment 2: 293-308. 

  6. Gillespie, L.H. and Henwood, M.J. 1994. Temporal changes of floral nectar-sugar composition in Polyscias sambucifolia (Araliaceae). Annals of Botany 74: 227-231. 

  7. Greco, C.F., Holland, D., and Kevan, P.G. 1996. Foraging behaviour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L.) on staghorn sumac [Rhus hirta Sudworth (ex-Typhina L.)] differences and dioecy. Canadian Entomologist 128: 355-366. 

  8. Han, J., Kang, M.S., Kim, S.H., Kim, C.S., and Lee, K.Y. 2010. Flowering blossom and nectar secretion characteristics of nectar source on Evodia daniellii Hemsl in Suwon.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25(3): 223-227. 

  9. Hrassnigg, N., Leongard, B., and Crailsheim, K. 2003. Free amino acids in the hemolymph of honey bee queens (Apis mellifera L.). Amino Acids 24: 205-212. 

  10. Jablonski, B. and Szklanowska, K. 1979. The proposal of changing the method of plant nectar secretion investigation. zesz. Nauk 23: 105-113. 

  11. Jakobsen, H.B. and Kristjansson, K. 1994.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floret age on nectar secretion in Trifolium repens L. Annals of Botany 74: 327-334. 

  12. Jung, Y.H. and Kim, K.J. 1984. Flowering process and pollination mechanism of genus Tilia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Biology 27: 107-127. 

  13. Kang, M.S., Han, J., Kim, S.H., Lee, K.Y., and Baik, E.S. 2009. Effects of pollinators on the fruit production of Korean black raspberry.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24(3): 153-158. 

  14. Kearns, C.A. and Inouye, D.W. 1993. Techniques for pollination biologists.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Niwot, Colorado. 

  15. Kim, T.W. 1987. Honey plant. Korea Beekeeping Science Research. pp. 159-196. 

  16. Kim, Y.S. and Smith, B.H. 2000. Effect of an amino acid on feeding preferences and learning behavior in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Journal of Insect Physiology 46: 793-801. 

  17. Kim, M.S., Kim, S.H., Han, J., Kang, M.S. and Park, Y.K. 2011. Honeybee visiting and nectar secretion characteristic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Chines Hawthorn.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26(2): 163-167. 

  18. Kim, M.S., Kim, S.H., Han, J., and Kim, J.S. 2012. Analysis of secretion quantity and sugar composition of nectar from Tilia amurensis Rupr.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27(1): 79-85. 

  19. Klinkhamer, P.G.L. and de Jong, T.J. 1990. Effect of plant size, plant density and sex differential nectar reward on pollinator visitation in the protandrous Echium vulgare (Boraginaceae). Oikos 57: 399-405. 

  20. Kuchmeister, H., Silberbauer-Gottsberger and Gotts-berger, G. 1997. Flowering, pollination nectar standing crop and nectaries of Euterpe precatoria (Arecaceae) an Amazonian rain forest palm. Plant System Evolution 206: 71-97. 

  21. Lee, C.B. 1985. An illustrated book of the Korean flora. Hyangmoonsa. pp. 990. 

  22. Lee, K.J. 1998. Seasonal distribution of flowering and classification of 198 woody species into honey-producing and pollen-collecting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13(2):121-132. 

  23. Nepi, M. and Pacini, E. 2001. Effect of pistil age on pollen tube growth, fruit development and seed set in Cucurbita pepo L. Acta Societatis Botanicorum Poloniae 70: 165-172. 

  24. Nepi, M. and Stpiczynska, M. 2007. Nectar resorption and translocation in Cucurbita pepo L. and Platanthera chlorantha Custer(Rchb.). Plant Biology 9: 93-100. 

  25. Nepi, M., Pacini, E., Nencini, C., Collaboli, E. and Franchi, G.G. 2003. Variability of nectar production and composition in Linaria vulgaris (L.) Mill. (Scrophulariaceae). Plant System Evolution 238: 109-118. 

  26. Nicolson, S.W., Nepi, M. and Pacini, E. 2007. Nectar production and presentation. Nectaries and Nectar. pp. 167-214. 

  27. Pacini, E., Nepi, M. and Vesprini, J. L. 2003. Nectar biodiversity: a short review. Plant System Evolution 238: 7-21. 

  28. Petanidou, T. 2003. Introducing plants for bee-keeping at any cost?-Assessment of Phacelia tanacetifolia as nectar source plant under xeric Mediterranean conditions. Plant System Evolution 238: 155-168. 

  29. Petanidou, T., Van Laere, A.J., and Smets, E. 1996. Change in floral nectar components from fresh to senescent flowers of Capparis spinosa (Capparidaceae), a nocturnally flowering Mediterranean shrub. Plant System Evolution 199: 79-92. 

  30. Petanidou, T., Van Laere, A.J., Ellis, W.N., and Smets, E. 2006. What shapes amino acid and sugar composition in Mediterranean floral nectars?. Oikos 115: 155-169. 

  31. Ryu, J.B. 2003. Classification of honey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18(1): 5-22. 

  32. Ryu, J.B., Jang, J.W., Park, D.K., and Choi, J.I. 2007.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Evodia daniellii Hemsley and foraging activity of honeybees.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22(2): 117-123. 

  33. Seely, T.D. 1986. Social foraging by honeybees: how colonies allocate foragers among patches of flowers. Behavioral Ecology and Sociobiology 19: 343-354. 

  34. Witt, T., Jurgens, A., Geyer, R., and Gottsberger, G. 1999. Nectar dynamics and sugar composition in flowers of Silene and Saponaria species (Caryophyllaceae). Plant Biology 1: 334-345. 

  35. Wolff, D., Witt, T., Jurgens, A., and Gottsberger, G. 2006. Nectar dynamics and reproductive success in Saponaria officinalis (Caryophyllaceae) in southern Germany. Flora 201(5): 353-3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