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복합문화공간의 문화커뮤니케이션과 쇼핑추구혜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ultural Communication and Shopping Benefit in Fashion Cultural Complex Spac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2, 2014년, pp.329 - 341  

김주희 (경성대학교 의상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ultural communication on the fashion distribution type and the shopping benefit in fashion cultural complex space. Surveys period was from Sep. 17th to Sep. 21st in 2012.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young 207 people who had shopping experiences in fash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복합문화 공간에서 패션소비자가 인식하는 문화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살펴보고, 패션복합문화공간에서 쇼핑시 추구혜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구체적으로 분류하고 쇼핑추구혜택의 연관성을 모색해봄으로서 문화예술 감성을 부가가치로 승화시킬 수 있는 패션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연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복합문화 공간에서 패션소비자가 인식하는 문화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살펴보고, 패션복합문화공간에서 쇼핑시 추구혜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구체적으로 분류하고 쇼핑추구혜택의 연관성을 모색해봄으로서 문화예술 감성을 부가가치로 승화시킬 수 있는 패션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연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패션과 함께 문화적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패션 복합문화공간의 문화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소비자가 함께 소통하는 문화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 분석방법으로 먼저, 설정된 척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문항의 신뢰도측정을 실시한 후, 패션복합문화 공간 소비자들의 문화커뮤니케이션과 쇼핑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살펴본다. 또한 패션복합문화공간에서의 문화커뮤니케이션이 쇼핑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으로는 신뢰도 검증, Varimax 방식의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패션복합문화공간에서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문화커뮤니케이션 요소와 쇼핑추구혜택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패션복합문화공간에서 시행하고 있는 문화 커뮤니케이션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따른 소비자가 추구하는 쇼핑추구혜택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한 표본조사 대상자는 1차 사전 설문지작성을 위한 목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와 1차 설문문항 검토내용을 토대로 최종 양적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 연구문제 5.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패션복합문화공간의 문화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연구문제 3. 패션복합문화공간의 문화커뮤니케이션 요인이 패션매장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연구문제 4. 패션복합문화공간의 문화커뮤니케이션이 쇼핑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구혜택이란 무엇인가요? 추구혜택이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거나 사용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혜택을 의미한다. 이는 소비행동을 하는 의미와 선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현대 소비자들은 패션상품을 소비할 때 무엇을 선호하나요? 패션복합문화공간이 등장하게 된 요인에는 여러 가지 배경이 있지만 현대소비자의 소비 니즈의 변화를 들 수 있다. 현대 소비자들은 패션상품을 소비할 때 올인원(all-in-one), 원스탑(one-stop)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형태를 선호하고 있다. 이들은 소득수준향상과 여가시간의 증가하면서 패션매장에서 단순한 쇼핑뿐 만 아니라 다른 문화나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을 필요로 하였으며, 더이상 쇼핑이 단순한 상품구매행위가 아닌 놀이와 소비를 아우르는 하나의 문화로서 즐기고 있다.
Sim 과 Min이 제시한 문화를 활용하는 방식 5가지는 무엇인가요? 이러한 문화를 활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Sim 과 Min(2002)은 5가지 활용방법(5S)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커뮤니케이션 활용방안에는 문화판촉(sales), 문화지원(sponsorship), 문화연출(synthesis), 문화 기업(style), 문화후광(spirit)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문화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단이 된다. 먼저, 문화판촉은 문화코드를 제품판촉에 이용하여 제품이미지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패션관련 PPL(Product placement) 전략, 문화예술축제, 문화예술이벤트, 문화예술 사은품행사 등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urdene, P. (2006). Megatrends. Yun Yeo Jung Translated(2010), Cheongrim Publish, 78-92. 

  2. An, H. S. & Nam, G. S. (2009). Targeted metropolitan cultural complex in the public media, public space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of indoor and outdoor connectivity, Seoul City Research, 10(3), 251-269. 

  3. Baek, I. S. (2007). The effect of the social comparison against appearance management working people's appearance information conjugate appearance management and fashion product purcha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Korea. 

  4. Cho, Y. S. (1995). Through the lobby space planning study on the design of multi-cultural space, Unpublished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 

  5. Colbert. F., Natel, J., & Poole, W. (1994). Marketing culture and the arts. Montreal: Morin. 

  6. Holt, Douglass B. (1995).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 132-140. 

  7. Jeong, C. H. & Hwang, S. H. (2007). Cultural arts study on the effects of perfume, Korea Cultural Policy Institute Conference Book, 6, 159-181. 

  8. Kim, D. N. & Cho, J. R. (2002). A study on the of strategical approach for successful CRM focused on the department st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0(2), 60. 

  9. Kim, M. J., Lee, B. A., Hong, Y. J., Park, S. S., Yong, H. S. & Oh, J. I.. (2005). Cultural marketing of cult-duct era, The Window of The Future. 

  10. Kim, S. S. & Lee, Y. Y. (1999). A exploratory study on segmentation of internet clothing buyer - Focusing buying motives. Distribution Research, 4(2), 75-91. 

  11. Kim, S. Y. & Hwang, J. S. (2011). Classifications and strategic directions of multi-brand fashion stor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5), 587-600. 

  12. Kim, T. H. (2008). New trends in fashion retail market, Seoul: Korea Credit Evaluation. 

  13. Kolb, B. M. (2000). You call this fun? response of young first-time attendees to a classical concert, International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Association, Helsinki, Finland. 

  14. Lee, K. A.(2008). A research on combined conception for consuming space in contemporary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4(2). 

  15. Lee, J. C. (2005). The store's retail marketing center, Global, p. 78 

  16. Lee, J. H., Kim M. J. & Lee J. M. (2005).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high-value-added cultural fashion produ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7), 968-977. 

  17. Lee, J. Y. (2012).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department store attitude and store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7), 677-689. 

  18. Lee, Y. S. & Shin, E. J. (2011). The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products for consumer awareness about the benefits sought and qualitative research, Korea Journal of Marketing, 12(4), 27-54. 

  19. Lee, J. Y. (2012).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department store attitude and store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7), 677-689. 

  20. Lee, Y. Y. (1999). Fashion marketing. Seoul: Kyomunsa. 

  21. Oh, J. W. (2009). Luxury fashion marketing strategy for multi-label store,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2. Park, H. S. & Kim, H. S. (2011). The effect of benefits and online shopping risks on channel selection for sexually fashion i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 13-25. 

  23. Park, J. K. & Gong, J. W. (2006). Marketing strategy for the audience's cultural enjoyment according to cultural consumption tastes & life-style types, Research of Tourism, 30(6), 11. 

  24. Park, J. M. & Lee, Y. R. (2011). Online channel integration strategies for fast fashion brands based on consumer benef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5), 601-611. 

  25. Park, J. H. (2010. 4). Notable 2010 consumption trends 7, marketing, distribution paradigm -The emergence of complex shopping mall is coming, not malling, Fashion Channel, 44-47. 

  26. Park, H. W., Park, J. H. & Lim, S. J. (2004). A study on pursuing benefits and satisfaction at fashion outlet st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7), 950-961. 

  27. Park, S. Y. (2002). Know consumer sentiment avatar. Journal of The Marketing, 36(1), 66-69. 

  28. Seo, G. Y. & Min, H. CH. (2008). Corporate space preferences and cultural complex study on corporate image. Seoul City Research, 9(4), 71-85. 

  29. Sheth, J. (1983). An integrative theory of patronage preference and behavior - In W. R. Darden & R, F. Lusch. Patronage behavior and retail management. New York: Elsevier Science Inc. 

  30. Sim, C. S. & Seo, Y. S. (2010). Urban leisure space as a complex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mall, The Tourism Socidty of Korea, 34(6), 191-210. 

  31. Sim, S. M. & Min, D. Y. (2002. 10. 30). The rise of cultural marketing and success strategies,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372, p.1-27. 

  32. Sin, G. CH. (2003). Country, company, product images practical examples of strategy an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rketing, 37(6), 24-31. 

  33. Sin, S. Y. & Hong, J. M. (2007). The effect of buying experiences of the fashion brands on the PPL(Product Placement) communication eff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222-1230. 

  34. Sin, S. Y. & Park, J. O. (1999). The clothing purchase tendency of the department patronage consumers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self-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6), 841-852. 

  35. Solomon, M. (2007). Consumer behavior(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