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팝업 스토어의 체험 유형에 따른 인지 요인이 브랜드 태도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gnitive factors on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cross different fashion pop-up store format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5, 2017년, pp.543 - 560  

최도리 (상명대학교 대학원 생활환경학과) ,  유지헌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which types of pop-up store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cross different fashion pop-up store forma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17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n subj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1] 패션 팝업 스토어 매장 유형별 소비자의 인지, 브랜드 태도, 행동 의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패션 팝업 스토어 매장 유형별 소비자의 인지 요인이 브랜드 태도에 미 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패션 팝업 스토어 매장 유형별 소비자의 인지 요인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본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각기 다른 유형의 팝업 스토어를 경험한 소비자가 갖는 매장의 인지적 요인에 대한 평가, 브랜드 태도, 행동 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어떤 유형의 팝업 스토어가 소비자로 하여금 가장 긍정적인 소비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을지 예측해보고자 한다. 더하여, 브랜드 태도 및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요인과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태도 요인을 팝업 스토어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매장의 형태에 따라 기획 단계에서 집중하여야 될 부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특정 브랜드만의 팝업 스토어를 비교 분석하거나, 팝업 스토어의 특성 중, ‘체험 마케팅’ 측면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혹은 팝업 스토어의 유형을 정의하는 등에 그쳤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 팝업 스토어의 체험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를 측정하기 위해 팝업 스토어에 대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유형 등 체험적 경험에 따른 브랜드 태도 연구를 진행한 Kim(2010)의 연구와 팝업 스토어를 체험한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대해 연구한 Kim(2011)의 연구에 사용된 소비자 인지에 관한 측정 자원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패션 시장에 대처하기 위하여 시도된 리테일 전략의 한 방안인 패션 팝업 스토어의 체험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 브랜드 태도 및 행동 의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패션 기업은 기획하는 팝업 스토어의 유형이나 혹은 운영하는 목적에 따라, 소비자로 하여금 브랜드 태도와 행동 의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떤 인지적 요인, 브랜드 태도 요인을 고려할 지에 대해 차별점을 두고 구상하여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운영 빈도가 높은 팝업 스토어 유형이 기업의 활용도가 높고, 이를 체험한 소비자 수가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판단하여, Yu and Choi(2015)의 국내 패션 팝업 스토어 현황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운영 빈도가 높은 세 유형, ‘유통업체 입점형’, ‘이종산업 제휴형’, ‘임시공간 임대형’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 세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 브랜드 태도 및 행동 의도의 영향 관계와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Yu and Choi(2015)의 매장 유형을 바탕으로, 패션 팝업 스토어의 체험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 브랜드 태도 및 행동 의도의 영향 관계와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기업이 기획하는 팝업 스토어의 세부 유형에 맞는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 팝업 스토어 유형에 따른 소비 자의 브랜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olbrook and Batra(1987)와 Low and Lamb(2000)의 브랜드 호감도, 선호도 및 브랜드 가치 등의 항목과, 팝업 스토어에 대한 소비자 브랜드 태도를 연구한 Kim(2011),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에 따른 소비자 브랜드 태도를 연구한 Cho(2012), 광고 유형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연구한 Nam(2010)의 연구에서 사용된 브랜드 태도 측정 자원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측정 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 팝업 스토어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행동 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정립한 행동 의도 측정 자원 중, ‘구매의도’, ‘재방문 의도’, ‘호의적 구전/추천의도’, ‘단골의도’ 등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 또한, Yu and Choi(2015)는 국내 패션 팝업 스토어의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팝업 스토어의 유형을 정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각 유형에 따른 소비자 행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심도 있는 마케팅 측면의 제언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각기 다른 유형의 팝업 스토어를 경험한 소비자가 갖는 매장의 인지적 요인에 대한 평가, 브랜드 태도, 행동 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어떤 유형의 팝업 스토어가 소비자로 하여금 가장 긍정적인 소비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을지 예측해보고자 한다. 더하여, 브랜드 태도 및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요인과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태도 요인을 팝업 스토어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매장의 형태에 따라 기획 단계에서 집중하여야 될 부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특정 브랜드만의 팝업 스토어를 비교 분석하거나, 팝업 스토어의 특성 중, ‘체험 마케팅’ 측면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혹은 팝업 스토어의 유형을 정의하는 등에 그쳤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정립한 팝업 스토어의 유형에 대해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접근함으로써 학문적으로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 기능하고자 하였으며, 팝업 스토어에 대한 소비자 연구의 범위를 세부 유형으로까지 확장 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초의 팝업 스토어 형태는? 팝업 스토어(pop-up store)란 짧게는 하루에서 길게는 몇 달 동안의 한정된 기간만 운영되는 방식의 매장을 의미하며, 팝업 리테일(pop-up retail), 플래시 리테일링(flash retailing) 등으로도 불린다(Gregory,2009). 1997년, Los Angeles에서 열린 Ritual Expo가 최초의 팝업 스토어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2002년 미국의 TARGET이 오픈했던 임시 매장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다른 여러 기업들도 팝업 스토어 마케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Gray, 2012; Moore, 1999).
‘고정형’과 ‘유동형’로 어떻게 구분을 하는가? Lee(2012), Sung, Zhu, and Yoon(2014)은 팝업 스토어의 유형을 ‘고정형’과 ‘유동형’으로 구분하였다. Lee(2012)의 연구에서는 공간 연출 특성을 기준으로 임차매장, 컨테이너, 부스, 버스로 나누고, 이를 고정형과 유동형으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사례와 연출 특성을 분석한 반면, Sung et al.(2014)은 운영 장소를 실내와 실외로 나눈 다음, 이를 다시 실내 고정형, 실외 고정형, 실외 이동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달리, Surchi(2011)의 연구에서는 팝업 스토어 유형을 네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팝업 스토어란 무엇인가? 팝업 스토어(pop-up store)란 짧게는 하루에서 길게는 몇 달 동안의 한정된 기간만 운영되는 방식의 매장을 의미하며, 팝업 리테일(pop-up retail), 플래시 리테일링(flash retailing) 등으로도 불린다(Gregory,2009). 1997년, Los Angeles에서 열린 Ritual Expo가 최초의 팝업 스토어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2002년 미국의 TARGET이 오픈했던 임시 매장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다른 여러 기업들도 팝업 스토어 마케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Gray, 2012; Moore,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jzen. I., & Driver, B. L. (1991). Predic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from behavioral, normative, and control belief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Leisure Sciences, 13(3), 185-204. doi:10.1080/01490409109513137 

  2. Allport, G. W. (1935). Attitudes. In C. Murchison (Ed.),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pp. 789-844). Worcester, MA: Clark University Press. 

  3. Bitner, M. J. (1992).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56(2), 57-71. doi:10.2307/1252042 

  4. Boulding, W., Kalra, A., Staelin, R., & Zeithaml, V. A. (1993).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1), 7-27. doi:10.2307/3172510 

  5. Chae, H. J., Choi, H. Y., Jang, J. H., & Ko, E. J. (2012). The influence of pop-up store attributions toward brand attitude and revisiting intention: Focus on sports brand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3), 400-412. doi:10.5805/KSCI.2012.14.3.400 

  6. Chaudhuri, A., & Holbrook, M. B. (2001).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5(2), 81-93. doi:10.1509/jmkg.65.2.81.18255 

  7. Cho, W.-H.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of outdoor brand,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flagship sto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8. Fishbein, M. (1963).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at object. Human Relations, 16(3), 233-239. doi:10.1177/001872676301600302 

  9. Gray, B. (2012, December 5). On 10th anniversary of first NYC pop-up, retailers look back. Commercial Observer, Retrieved July, 21, 2017, from https://commercialobserver.com/2012/12/on-10th-anniversary-of-first-nyc-pop-up-retailers-look-back 

  10. Greenwald, A. G. (1968). Cognitive learning, cognitive response to persuasion, and attitude change. In A. G. Greenwald, T. C. Brock, & T. M. Ostrom (Eds.),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attitudes (pp. 147-170). New york: Academic press. 

  11. Gregory, S. (2009, November). Why pop-up shops are hot. Time, 174(21). Retrieved July, 21, 2017, from http://content.time.com/time/magazine/article/0,9171,1940675,00.html 

  12. Holbrook, M. B., & Batra, R. (1987).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404-420. doi:10.1086/209123 

  13. Hwang, E. R., & Kim, C. H. (1995). 구전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문헌연구 [A study on the oral communication]. Advertising Research, 26, 55-84. 

  14. Jang, H.-Y., Jeong, H.-J., & Kim, J.-J. (2015). The effect of the VMD cognition dimensions of fashion stores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0(3), 427-452. 

  15. Jeon, Y. S. (2003). 광고 노출시점의 소비자 기분이 인지적?감정적 반응, 상표태도, 그리고 기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d-exposed consumers' mood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ponses, brand attitudes and memory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6. Jin, J. W. (2015). The influence of collaboration, fashion product type and fashion innovation on consumer purchase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7. Jun, C. N.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on the brand equ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gbuk-do, Korea. 

  18. Jung, G.-R. (2014).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a branded, experiential pop-up sto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B. K. (2013). A study on causal relations between shopping orientation for fashion goods, customer equ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H. J., & Lee, J. K. (2012).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 applied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7(1), 77-86. 

  21. Kim, J.-S. (2010). The influence of pop-up store experiences on brand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K. W., & Rhee, E.-Y. (1999). Clothing brand equity based on consumer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8), 1075-1085. 

  23. Kim, S. Y. (2011). A study on market research of apparel pop-up store in Korea and purchase behavior of apparel pop-up store experienced consum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Gyeonggi-do, Korea. 

  24. Kim, S. Y., & Kim, C. S. (2011). Comparison of feel/sense and purchase behavior among NIKE, PUMA, and KUHO pop-up store visito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288-1301. 

  25. Koh, E.-H. (1999). The moderating effect of affect intensity and need for cognition on attitude toward ad and attitude toward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6. Kotler, P. (2000). Marketing management (10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7. Kumar, V., & Shah, D. (2004). Building and sustaining profitable customer loyalty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tailing, 80(4), 317-329. doi:10.1016/j.jretai.2004.10.007 

  28. Lee, J.-S. (2007). The effects of evaluation attributes of customers on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al intention of service encounters: Focused on deluxe hotel.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2(2), 17-36. 

  29. Lee, M. J. (2012).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in designing pop-up store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arke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0. Low, G. S., & Lamb Jr, C. W. (2000).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6), 350-370. doi:10.1108/10610420010356966 

  31. Moore, B. (1999, July 9). Cutting-edge clothes and music at Ritual Expo. LA Times, Retrieved July, 21, 2017, from http://articles.latimes.com/1999/jul/09/news/cl-54193 

  32. Nam, S.-M. (2010). The effects of brand story advertising type on evaluations of consumer's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3. Richins, M. L. (1983). Negative word-of-mouth by dissatisfied consumers: A pilot study. Journal of Marketing, 47(1), 68-78. doi:10.2307/3203428 

  34. Shin, J. S., & Kim, M. (2013). Space marketing with customer participating and brand identity strategy: Focusing on the pop-up stor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6(4), 117-126. 

  35. So, G.-S. (1999). Effects of affective factors on apparel buy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36. Sung, G. H., Zhu, A. Z., & Yoon, G. G. (2014). Space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 for experienced marketing: Focused on fashion brand stor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9, 117-126. 

  37. Surchi, M. (2011). The temporary store: A new marketing tool for fashion brand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5(2), 257-270. doi:10.1108/13612021111132672 

  38. Wright, P. (1980). Message-evoked thoughts: Persuasion research using thought verbaliz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2), 151-175. doi:10.1086/208804 

  39. Yin, C. Q. (2012). The relationship among 4p's mix, customers' satisfaction, store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Focus on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custo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40. Youn, S. J.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commerce shopping application's characteristics on brand attitude: Regulation effects of product invol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41. Yu, J. H., & Choi, D. R.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and annual trends of pop-up fashion stores: Focused on domestic cas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5), 822-834. doi:10.7741/rjcc.2015.23.5.822 

  42. Yun, H. S., & Lee, J. K. (2014).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pop-up store: Focused on the 5S element of cultural market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9(4), 117-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