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노인불안도구(K-GAI)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K-GAI)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1 no.1, 2014년, pp.75 - 84  

김지윤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박명숙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오두남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Anxiety Inventory (K-GAI). Methods: Two hundreds and thirty six elderly were participated to test K-GAI. Goldberg's short screening scale for anxiety was tested for criterion valid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구의 타당도는 측정하려는 도구가 측정하려는 개념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타당화 연구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준거타당도 중 동시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준거타당도란 새롭게 개발된 도구와 외적 준거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 타당도로서 새롭게 개발된 도구와 외적 준거의 측정치를 같은 시기에 측정하여 검정하는 동시 타당도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Lee et al.
  • 또한, 타당도 검증 시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보기 위해 대부분 주성분 요인분석 등을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는 이분법 척도로써 변수가 등간 척도 이상의 양적변수이며 정규 분포를 이루어야 한다는 선행요건(Kang, Han, Kim, & Jhun, 2005)에 적합하지 않아 문항별 상관분석이나 요인분석을 사용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K-GAI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골드버그 불안도구가 선행연구(Lim et al., 2001)에서 한국인 일반인 대상의 불안선별기준 절단점(cut point)이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인에게 적용 가능한 절단점을 구하고 이를 국내 노인에게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고한 검사법인 골드버그 불안도구의 경우 절단점을 전체문항 총 점수 5점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의 신체적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건강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신속한 선별진단을 통해 정확한 심리중재가 요구되는 노인 불안장애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achana 등(2007)에 의해 개발된 노인 대상자에게 적합한 정신측정의 특성(Psychometric properties)이 반영된 노인불안도구(Geriatric Anxiety Inventory)의 한국판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 노인에게 활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Pachana 등(2007)의 새로운 간편 자가보고식 척도인 노인불안도구를 한국판으로 개발하여 국내 노인에게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한국 노인에 적용하기에 적합한지 그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Pachana 등(2007)의 GAI를 번역과 역번역을 거쳐 한국판 노인불안도구로 개발하여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는 방법론적 연구(methodological study)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검사-재검사법을 통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구의 안정성은 도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했을 때 어느 정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에 관계된 것으로 측정도구가 제대로 개발되었다면 반복적으로 측정을 하더라도 응답결과는 동일하게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Pachana 등(2007)이 개발한 노인불안도구(GAI)를 번역 · 역번역 및 수정 · 보완과정을 거쳐 한국판 노인불안도구(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를 개발하여 국내 노인에게 적용함으로써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증가양상을 보이는 불안장애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그들의 궁극적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조기에 불안증상을 선별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 줄 필요성이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이 반영되어 노인의 일반적인 불안정도 파악에 용이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노인불안도구가 국내에서도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Pachana 등(2007)에 의해서 개발된 노인불안도구(Geriatric Anxiety Inventory)를 도구개발 방법론적 연구 절차를 통해 국내 노인 236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노인불안도구(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K-GAI는 검사-재검사법 및 내적일관성을 통해 신뢰도가, 골드버그 불안도구와의 외적준거를 통해 동시타당도가 검증되었고, 민감도 및 특이도 분석을 통해 국내 정상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절단점이 산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안진단을 위한 도구의 문제점은? 즉 불안은 객관적으로 측정되기가 쉽지 않고, 불안의 측정도구는 내용이 불충분하고 부적절하거나 검사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불안진단을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측정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Pachana, Gallagher-Thompson, & Thompson, 1994). 그러나 대부분의 불안선별도구들은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거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도 정신심리적 사용의 관점에서 보면 노인의 불안 발견에 부족하거나(Davies, Burn, McKenzie, Brothwell, & Wattis, 1993), 도구에서 측정되는 신체증상이 다른 의학적 신체증상들과 중복되는(Hanel et al., 2009)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차의료 현장에서 노인의 불안증상이나 불안장애가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임에도 종종 간과되어 진단과 관리가 늦어지는 경우가 빈번한 현실이다.
불안장애의 평생유병률의 증가 추이는? 8%의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이는 2006년에 비해 36% 증가한 것이며, 이 중 특히 60대 이상 노인인구의 불안장애 유병률은 2006년 3.1%에서 2011년 5.8%로 2배에 가까운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다(Cho et al., 2011).
불안장애의 평생유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최근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의하면, 불안장애의 평생유병률은 8.7%로 알콜성 사용장애에 이어 두 번째 높은 유병률을 보였고, 일년 유병률은 24만 5천명으로 전체인구 중 6.8%의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H. L., Kim, D. H., Kim, Y. S., & Oh, D. Y. (2008). Symptomatic correlates of interpersonal trauma in out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ic Association, 47(6), 548-554. 

  2. Beck, A. T., Epstein, N., Brown, G., & Steer, R. A. (1988).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893-897. http://dx.doi.org/10.1037/0022-006X.56.6.893 

  3. Boddice, G., Pachana, N. A., & Byrne, G. J. (2008). The clinical utility of the geriatric anxiety inventory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Nursing Older People, 20(8), 36-39. 

  4. Cheung, G. (2007). Concurrent validity of the geriatric anxiety inventory in late-life depression.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9(2), 333-335. 

  5. Cheung, G., Patrick, C., Sullivan, G., Cooray, M., & Chang, C. L. (2012).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geriatric anxiety inventory and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in the detection of anxiety disorders in older people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4(1), 128-136. http://dx.doi.org/10.1017/S1041610211001426 

  6. Cho, M. J., Park, J. I., Bae, A., Son, J. W., Ahn, J. H., Lee, D. W., et al. (2011).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 Davies, K. N., Burn, W. K., McKenzie, F. R., Brothwell, J. A., & Wattis, J. P. (1993). Evalu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s a screening instrument in geriatric medical in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8(2), 165-169. http://dx.doi.org/10.1002/gps.930080209 

  8. Diefenbach, G. J., Tolin, D. F., Meunier, S. A., & Gilliam, C. M. (2009). Assessment of anxiety in older home care recipients. The Gerontologist, 49(2), 141-153. http://dx.doi.org/10.1093/geront/gnp019 

  9.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10. Fuentes, K., & Cox, B. J. (1997). Prevalence of anxiety disorders in elderly adults: A critical analysis.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28 (4), 269-279. http://dx.doi.org/10.1016/S0005-7916 (97)00025-6 

  11. Goldberg, D., Bridges, K., Duncan-Jones, P., & Grayson, D. (1988). Detect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general medical settings. British Medical Journal, 297(6653), 897-899. 

  12. Hanel, G., Henningsen, P., Herzog, W., Sauer, N., Schaefert, R., Szecsenyi, J., et al. (2009). Depression, anxiety, and somatoform disorders: Vague or distinct categories in primary care? Results from a large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7(3), 189-97.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09.04.013 

  13. Jung, S. Y., Lee, C. M., & Jo, B. Y. (2007). Appropriate questionnaire evaluation tools addressing objectives in primary medical research.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suppl 11), s156-166. 

  14. Kang, H., Han, S. T., Kim, K., & Jhun, M. (2005). Multivariate data analysis using SAS by examples. Paju: Freedom Academy. 

  15. Kim, S. M., Choi, S. O., Shin, K. I., & Lee, J. H. (2008). Validation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7(3), 292-301. 

  16. Lee, E. O., Im, N. Y., Park, H. A., Lee, L. S., Kim, J. I., Bae, J.,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4th ed.). Paju: Soomoomsa. 

  17. Lee, J. H., & Park, B. T. (1992). A study of anxiety scale applied to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9 (1), 156-166. 

  18. Lee, K. H., & Shin, S. J. (2013).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6), 697-70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697 

  19. Lee, Y. M., Kim, E. S., & Park, J. M. (2012). Vascular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6(2), 82-88. 

  20. Lenze, E. J., & Wetherell, J. L. (2011). A lifespan view of anxiety disorders.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13(4), 381-399. 

  21. Lim, J. Y., Lee, S. H., Cha, Y. S., Park, H. S., & Sunwoo, S. (200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xiety screening sca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8), 1224-1232. 

  22. Marquez-Gonzalez, M., Losada, A., Fernandez-Fernandez, V., & Pachana, N. A. (2012).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panish version of the Geriatric Anxiety Inventor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4(1), 137-144. http://dx.doi.org/10.1017/S1041610211001505 

  23.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aGraw-Hill. 

  24. Pachana, N. A., Byrne, G. J., Siddle, H., Koloski, N., Harley, E., & Arnold, E.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riatric Anxiety Inventor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9(1), 103-114. http://dx.doi.org/10.1017/S1041610206003504 

  25. Pachana, N. A., Gallagher-Thompson, D., & Thompson, L. W. (1994). Assessment of depression. In P. Lawton and J. Teresi(Eds.),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Focus on Assessment Techniques (vol. 14, pp. 234-256). New York: Springer. 

  26. Park, H. A. (2005). Problems and issues in developing measurement scales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Query, 14(1), 46-72. 

  27. Schisterman, E. F., Perkins, N. J., Liu, A., & Bondell, H. (2005). Optimal cut-point and its corresponding Youden Index to discriminate individuals using pooled blood samples. Epidemiology, 16(1), 73-81. http://dx.doi.org/10.1097/01.ede.0000147512.81966.ba 

  28. Wetherell, J. L., Birchler, G. D., Ramsdell, J., & Unutzer, J. (2007). Screening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geriatric primary car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2), 115-123. http://dx.doi.org/10.1002/gps.1701 

  29. William, W. K., & Zung, M. D. (1971).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s. Psychosomatics, 12(6), 371-379. 

  30. Youn, G. H., Oh, M. S., & Kwon, H. R. (2007). Death anxiety and aging.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6, 157-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